- 2017년 9월호 라마레따 총괄 아트 디렉터 이랑주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을 읽고 내가 먼저 출판사를 통해 연락했어요. VMD에 관한 자신만의 노하우로 소상공인을 돕는 모습에서 진정성을 느꼈죠. 이제는 개성 있는 화장품을 온라인 세상에 진열하며, 그야말로 라이프스타일을 창출하고 선도하는 사업가로 성장한 그녀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_ 홍성태(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겸
- 2017년 9월호 마켓컬리 대표 김슬아 “평소에도 스마트폰 앱을 통해 마켓컬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신선한 식재료를 구입하면 집 앞까지 도착하는 모든 과정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플랫폼의 힘에 감탄하곤 합니다. 젊은 친구가 제안한 아이디어 하나가 놀랍도록 다양한 식문화 경험을 제공하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참 기특합니다.” _ 지춘희(
- 2017년 9월호 도예가 배세진 “배세진 작가의 작업에는 시간이 담겨 있어요. 옹기도 마찬가지예요. 과거와 현재의 옹기 작가들은 모두 이런 수련 과정 속에서 작품을 만들어왔습니다. 배세진 작가의 작품을 처음 본 것은 학고재 갤러리 <오늘의 옹기> 특별전에서였어요. 흙 띠를 쌓는 전통적 옹기 기법을 흙 조각을 쌓는 방식으로 재해석한 그의 작품을 보고 옹기의 미래를 보았
- 2017년 9월호 홍보 전문가 김나영 “울산에 있는 한정식집을 30년 넘게 운영하고 있는 어머니 밑에서 자란 친구예요. 그래서인지 감각이 예사롭지 않았어요. 다양한 활동을 하느라 바빴을 텐데도 식문화를 제대로 공부하려는 의지가 강했어요. 궁중 음식도 배웠고요.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전시를 기획할 수 있었던 게 아닐까요? 계속해서 좋은 전시, 새로운 음식 문화를 많이 보여주길 기대합니
- 2017년 9월호 외식 사업가 장진우 “요즘은 특정 장르보다 라이프스타일에 능한 이들이 눈에 많이 띄는데, 장진우가 그중 한 명입니다. 식음료나 식당을 개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역 개발에 앞장서는 사람이고, 식당을 매개로 지역 문화를 변화시키고 있으니까요. 그 영역 또한 점점 넓어지고 있어서 기대를 놓을 수가 없어요.” _ 정구호(패션 디자이너 겸 연출가) &lsq
- 2017년 9월호 루트임팩트∙HGI 대표 정경선 “차세대 크리에이터를 추천해달라는 말을 듣자마자 이 친구가 떠올랐습니다. 또래에 비해 성실하고, 사회 이슈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통해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의지가 엿보였습니다. 제 나름의 방식으로 체인지메이커를 모으고, 루트임팩트의 규모를 키워나가는 모습을 보면 그의 다음 행보가 무척 기대됩니다.” _ 은광표
- 2017년 9월호 건축가 최수연 “재주 많고, 보기 드물게 진지한 태도를 지닌 젊은 건축가입니다. 선배 건축가 홍재승 소장과 함께 설계한 제주 김창열미술관으로 많은 칭찬을 받았지요. 그 밖에도 중문 단지에 들어설 복합 쇼핑몰 등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최수연 대표가 설계한 건물이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어떻게 어우러질지 기대가 큽니다.” _ 박여
- 2017년 9월호 건축가 곽상준∙이소정 “올해 서울시건축상 심사를 하면서 만난 수많은 건축가 중 눈에 띄는 젊은 건축가들이었어요.재료의 물성에 대해 상당히 관심을 갖고 고민하며 작업하더군요. 특히 최근에 설계한 청바지 제조 회사 사옥에서 콘크리트로 데님의 질감을 표현했는데, 재료를 색다르게 활용하는 발상이 참신하게 느껴졌습니다.” _ 김인철(건축가, 아르키움 대표) &l
- 2017년 9월호 가구 디자이너 윤새롬 “윤새롬 작가는 물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소재에 대한 과감한 도전, 그리고 조형 감각까지 갖춘 친구죠. 어릴 적 해외에 거주하며 얻은 자연의 영감을 작품에 녹여내는데, 젊은 나이에 자신의 정체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남들과 차별화한 작품을 만드는 점을 높게 삽니다. 자기 자신을 잘 아는 것이 결국 작업은 물론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대한 새로운
- 2017년 9월호 웨딩&라이프스타일 컨설턴트 양태인 “멋지고 풍요로운 삶의 방식을 만들어나가는 데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자기다움이라고 생각해요. 웨딩 비즈니스에 국한하지 않고 파티 플래닝, 공간 디렉팅 등 폭넓은 라이프스타일 분야에서 다양한 재능을 펼치는데, 어떤 분야든 딱 아뜰리에 태인만의 각이 살아있죠. 무엇보다 태인 씨가 해석하는 한국적 웨딩 스타일이 아주 감각적이에요. 서양 드레스를 입어도
- 2017년 9월호 사진가 비바스트 김석준 “젊은 사람들과 일할 기회가 좀처럼 없는 편인데, 뇌리에 박힐 만큼 인상적인 이가 있었어요. 여러 사진가에게 숙제처럼 옷을 찍도록 하는 프로젝트에서 김석준을 만났지요. 옷을 대하는 태도도 단연 돋보였고, 사진 속 옷이 소름 돋도록 드라마틱했어요. 옷에 이야기를 더할 줄 아는 사람이었고요. 분명 다음이 더 기대되는 사진가입니다.” _ 진
- 2017년 9월호 갤러리스트 정승진 “정승진 대표를 만난 건 5년 전 한남동 지익스비션 갤러리 오픈식 때였어요. 국내엔 한국 작가의 디자인 제품을 정식으로 기획하고 전시하는 갤러리가 없었는데, 과감하게 도전한 점이 인상 깊었죠. 정승진 대표는 물성에 대한 색다른 시각이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공예를 파인아트로 끌어들이는 과감한 시도를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공예를 사랑하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