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10월호 사람과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건축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시발점으로 지구촌 곳곳에서는 ‘탈원전, 온실가스 감축’이 최대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유엔은 2015년 파리에서 기후변화총회를 열고, 지구 평균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협정을 공식 발효했지요. 사실상 화석연료 시대의 종말을 예고합니다. 앞선 기술력을 보유한 선진국
- 2017년 10월호 내 머릿속 보통의 물건 한눈에 보기엔 별다를 것 없는 평범한 정물화, 작품 제목도 ‘보통의 물건(Ordinary Object)’이다. 하지만 색연필을 종이에 대고 수없이 힘주어 눌러 그은 선으로 완성한 김시문 작가의 그림은 차분하면서도 미묘한 색감으로 보는 이의 시선을 서서히 사로잡는다.
- 2017년 9월호 요리사 남성렬 “몇 년 전 술자리에서 남성렬 셰프를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던 중 한식을 대하는 진중한 태도에 굉장히 놀랐습니다. 손맛도 좋고 새로운 음식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더군요. 한식의 원형은 유지하면서 이탤리언 조리법을 더해 다양한 음식을 시도하는 자세를 높이 평가해요. 지금 이 마음가짐만 그대로 유지한다면 잘해내리라 생각합니다.&r
- 2017년 9월호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나리 “시대정신을 담은 디자인, 세상을 이롭게 하는 데 보탬이 되는 디자인을 하는 사람을 크리에이터라 할 수 있는데, 나 역시 크리에이터라 불리기에는 역부족이에요. 하지만 도전 정신이 있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디자이너를 이야기한다면 엔알디자인팩토리의 김나리 대표가 될 겁니다. 대규모 사옥과 상업 공간, 단독주택 등 분야를 넘나드는
- 2017년 9월호 아티스트 조기석 “우연히 인스타그램 사진을 통해 그의 작품을 봤어요. 구도가 신선하다고 느꼈지요. 알고 보니 사진도 찍고, 세트도 만들고, 드로잉도 하는 등 경계 없이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 친구더라고요. 한 우물만 파야 한다고 생각하던 우리 세대와는 다른, 딱 요즘 세대 아이들 모습이죠. 같이 작업해보고 싶어 <보그> 패션 화보 작업을 함께 했고,
- 2017년 9월호 가구로 태어나다 폐기물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는 패브릭을 좀 더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묘안이 없을까? 대규모 텍스타일 제조사 중 하나인 덴마크 크바드랏사에서 섬유 보드 브랜드 리얼리를 론칭했다. 그들의 목표는 단순히 섬유의 재사용 또는 재활용이 아닌,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순환 디자인이다.
- 2017년 9월호 가구 디자이너 박길종 “어딜 가나 럭셔리하고 화려한 가구가 많이 보입니다. 하지만 길종상가의 가구는 완전히 그 반대죠.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소재로 완벽한 비례감을 구현해 공간에 스며드는 가구를 만들어요. 박길종 디자이너는 말이 많지 않은 편인데, 그래서 의뢰인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해 디자인으로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소통이 화두인
- 2017년 9월호 건축&인테리어 디자이너 김치선&문유선 “디자인 황금기에는 건축가가 설계를 하면서 그 공간에 맞는 가구를 디자인했어요. 그렇게 고민한 결과물이 지금도 열광하는 세기의 아이콘이 되었고요. 김치선, 문유선 디자이너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단순히 설계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시공과 마지막 디테일까지 책임지려 노력하는 디자이너예요.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을 이해하는 과정을 매 순간 소중히 여
- 2017년 9월호 현대자동차 아트 디렉터 이대형 “30년 이상 자동차 전문 기자로 일하며 다양한 사람을 만났지만 현대자동차 아트 디렉터 이대형 차장은 가장 인상 깊은 인물 중 한 명입니다. 예술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날카로운 안목을 통해 자동차 회사의 딱딱한 조직에 감성과 상상력을 불어넣고, 대중과 예술이 만날 수 있는 접점을 넓히고 있습니다.” _ 채영석(글로벌 오토뉴스 국장)
- 2017년 9월호 패션 디자이너 이지연 “오랫동안 헤라서울패션위크의 헤어 아트 디렉터를 맡으면서 4천2백여 회 이상 백스테이지를 총괄했습니다. 전쟁터 같은 백스테이지에서 디자이너와 스태프의 전우 혹은 적군으로 지내다 보니 어떤 사람이 진짜 크리에이터인지 알아보는 눈이 절로 생기더라고요. 자렛 이지연도 그중 한 사람으로 패션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마케팅 안목을 갖춘 것은 물론, 크리에이
- 2017년 9월호 아트 디렉터&브랜드 컨설턴트 양재혁 “인체 공학의 특성을 살린 인문학적 디자인 가구부터 제품과 작품의 경계에 놓인 오브제까지 작업 범위가 넓은, 그야말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예요. 탁월한 안목과 도전 정신을 무기 삼아 세계를 무대로 누비죠. 디자이너뿐 아니라 아트 디렉터, 브랜드 컨설턴트로서 한국의 디자인을, 한국의 브랜드를 널리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겁니다.”_ 우경
- 2017년 9월호 광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배금별 “배금별 씨의 소주 광고 경쟁 피티를 봤어요. 그 당시 ‘소주’ 하면 아저씨 혹은 예쁜 여자 연예인을 앞세운 광고가 주를 이뤘는데 그 친구는 김광석의 음악과 함께 삶의 애환을 담은 감성적 아이디어를 냈죠. 광고는 즉각적 반응을 이끌어내야 하기에 브랜드의 장점을 나열하다 끝나는 것이 기존 광고 스타일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