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4월호 하노이에 갈래요? 베트남 하노이는 1천 년의 역사를 지닌 오래된 도시다. 그만큼 볼 것도, 할 것도, 먹을 것도 많은 가운데 좀 더 베트남을 깊이 있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 2019년 4월호 삶을 기록하는 가족 명지대 설립 이사 故 유용근 씨 가족 의미 있는 행동을 평생 이어가면 가족의 전통이 된다 1 2016년 차남 유병안 대표의 회사 건축집단 MA의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사진작가 신선혜 실장이 찍은 가족사진. 위 수술 이후 유용근 씨의 완쾌를 축하하며 가족 열네 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2 유용근 씨의 회고록 <모두가 축복이고 사랑이었다>. 부부
- 2019년 4월호 아이야, 궁궐 숲에서 놀자! 서울 사대문 안, 왕이 거닐던 궁궐 숲에서 부모와 아이가 자연과 역사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계절마다 아름다운 숲과 다람쥐, 청설모가 뛰어다니는 창경궁은 궁궐 숲 체험에 제격인 장소다. 시 하나, “할아버지 지고 가는 나뭇지게에/ 활짝 핀 진달래가 꽂혔습니다/ 어디서 나왔는지 노랑나비가/ 지게를 따라서 날아갑니다.” _신영승의 &
- 2019년 4월호 당신의 별자리는 무엇인가요 <건축학개론> 이후 가장 대중적인 건축계 아이콘이라는 이 사람. 터럭만큼의 앎도 없는 나는 그와 건축을 이야기하는 청맹과니 짓은 하지 않았다. 대신 그가 낸 책 <당신의 별자리는 무엇인가요> 속 2층 양옥집, 늦은 밤 공항, 빈 놀이터를 묻고 또 물었다. 그리고 건축가 유현준이 자신을 만든 도시에 부치는 러브 레터가 내게, 당신에게 도
- 2019년 4월호 꿈꾸는 사물 “나는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가난해도 부끄럽지 않은 예술가로 살기 위해 파리로, 뉴욕으로 거처를 옮긴 황규백 작가는 세계적 판화가로 인정받으며 부와 명성을 누렸다. 고국으로 돌아온 그는 다시 붓을 잡고 마치 꿈꾸는 듯 서정적이고 환상적인 풍경과 사물을 그린다.
- 2019년 3월호 처음 마음 그대로 신선한 제철 식재료로 만든 음식을 찬 것은 차게, 따뜻한 것은 따뜻하게 내는 곳. 한식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품 서울이 10주년을 맞았다. 지난 10년 품 서울 식탁에 오른 1백58가지 음식을 보기 좋게 엮어낸 큼직한 요리책 <품>은 그 기념비라 할 만하다. 품 서울 노영희 셰프는 비결이 아닌 원칙을 이야기했다.
- 2019년 3월호 마흔의 여행법, 로드트립 마흔의 경계에 선 부부가 두 번의 호주 로드트립을 다녀왔다. 20대에는 배낭 하나 메고 유럽을 훑었고, 30대에는 특정 도시와 그곳에 사는 사람에 관심을 가지며 여행한 이들이다. 1년 간격으로 이어진 두 번의 로드트립은 ‘마흔에게’ 가장 필요한 시간을 만들어주는 여행이었다.
- 2019년 3월호 작업하는 사람, 백현진 인터넷 검색창에 ‘백현진’ 세 글자를 넣으면 가수, 화가라는 인물 정보가 뜬다. ‘위키백과’엔 그가 참여한 영화와 음반 목록이 주르르 펼쳐지고, ‘동영상’엔 최근 종영한 TV 드라마 <붉은달 푸른해> 개장수로 분한 모습이 나온다. ‘이미지’엔 강렬한 색채의 그림들이 시선을 끈다. 바다 물결처럼 매 순간 다른 존재를 펼쳐내는 멀티플레이어 아티스트
- 2019년 3월호 3월의 가치 있는 장보기 가격이나 품질 못지않게 나의 소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한 윤리적 소비가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리는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생산자의 건강한 윤리관과 환경 의식을 지지할 수 있지요. 생필품 하나를 사더라도 지구환경을 생각하는 보다 의식 있는 소비에 한 걸음 다가가볼까요?
- 2019년 3월호 느리게 걸으면 보이는 것들 김선두 작가의 가락동 작업실. 아교물에 갠 분채를 장지에 수십 번 덧칠해 색을 낸다. 그는 작품에 등장하는 화사하면서도 깊은 색채가 조각보와 우리 민화에서 온 것이라고 말한다. 1958년 전라남도 장흥에서 태어난 한국화가 김선두는 중앙대학교 한국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중앙대학교 한국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금호미술관과 박여숙화랑, 학고재 갤러리
- 2019년 2월호 이토록 유쾌한 추상! 덮고 자는 이불을 전시장 벽에 걸고, 바닥엔 노란 은행잎이 가득하다. 대관절 예술이란 무엇일까를 고민하기 이전에 너무나 유쾌한 작품들. 이슬기 작가의 눈과 손을 거치면 별것 아니던 일상 사물이 예술이 되어 말을 걸기 시작한다.
- 2019년 1월호 도쿄 여행의 필수 코스 도쿄 여행은 편한 신발과 복장이 필수이다. 아울러 번화한 신주쿠에서 잠시 쉴 수 있는 신주쿠교엔을 알고 가는 것 역시 필요하다. 신주쿠교엔은 봄, 여름, 가을은 물론 겨울도 좋다. 도쿄의 겨울 날씨가 아열대에 가까워 상록수가 많고 동백이 줄곧 피어 있어 심심하지 않으며, 눈 오는 날 노거수들의 실루엣은 포토제닉 자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