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10월호 필 必환경 시대의 제로 웨이스트 라이프 “제로 웨이스트 라이프를 직접 살아보면 어때?” “싫습니다.” 이번 호 기획 회의 중 나온 제안에 5초도 생각할 것 없이 거절한 건 제로 웨이스트 라이프는 주말이면 하루 세끼, 커피까지 배달 앱으로 해결하는 내 삶을 완전히 흔드는 일이기 때문이었다. 음식점 리스트가 즐비한 앱을 터치하면 한 시간 안에 온갖 음식
- 2019년 10월호 황홀한 버섯 꽃 같기도, 열매 같기도, 무기 광물 같기도 한 이 어여쁜 덩어리는 실은 버섯이다. 사진 작품 같기도, 조각 같기도 하지만 실은 브로치·목걸이·귀고리·부토니에르 같은 장신구다. 버섯에서 무한 증식과 분해라는 자연의 섭리를 포착한 젊은 장신구 작가 김희앙. 그가 이 황홀한 음지의 꽃에 푹 빠진 이유는 무엇일까?
- 2019년 9월호 장애가 불편하지 않은 세상을 디자인하다 - 5 장애를 극복할 수 없다면 장애를 불편하게 만드는 우리 주변의 환경을 극복하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제작한 제품과 서비스, 정보 통신 기술과 그걸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들의 의미 있는 이야기를 소개한다.
- 2019년 9월호 장애가 불편하지 않은 세상을 디자인하다 장애를 극복할 수 없다면 장애를 불편하게 만드는 우리 주변의 환경을 극복하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제작한 제품과 서비스, 정보 통신 기술과 그걸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들의 의미 있는 이야기를 소개한다.
- 2019년 9월호 장애가 불편하지 않은 세상을 디자인하다 - 4 장애를 극복할 수 없다면 장애를 불편하게 만드는 우리 주변의 환경을 극복하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제작한 제품과 서비스, 정보 통신 기술과 그걸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들의 의미 있는 이야기를 소개한다.
- 2019년 9월호 불, 흙, 유리의 삼각관계 도예가 권은영과 유리 공예가 이정원이 오랜 시간 협업을 준비했다. 오는 9월 1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청담동 조은숙 갤러리에서 열리는 2인전 에서 그 결과물을 만날 수 있다.
- 2019년 9월호 장애가 불편하지 않은 세상을 디자인하다 - 3 장애를 극복할 수 없다면 장애를 불편하게 만드는 우리 주변의 환경을 극복하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제작한 제품과 서비스, 정보 통신 기술과 그걸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들의 의미 있는 이야기를 소개한다.
- 2019년 9월호 아름다움이 나를 새롭게 하리라 ‘완벽한 제품만 시장에 내보낸다’라는 원칙으로 지난 50년간 국내 최초의 디자인 회사 바른손 신화를 써 내려간 박영춘 회장. 자녀들에게 회사를 물려준 그는 인적 드문 강원도 인제 산골의 압도적 자연 속에 자신만의 고유한 미감으로 독자적 풍경을 완성해냈다.
- 2019년 9월호 ‘아지오’ 구두 장인 정해숙, 조용한 세상에서 최고의 집중력을 발휘하다 여기 인터뷰이들이 공통적으로 말한 삶의 원칙이 있다. ‘자신의 부족함을 알기에 기꺼이 도움 받고, 그래서 감사하며, 보답하면서 사는 것.’ 그런데 문득 깨달았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해당하는 행복의 열쇠와 같다는 걸.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기에.
- 2019년 9월호 장애가 불편하지 않은 세상을 디자인하다 - 1 장애를 극복할 수 없다면 장애를 불편하게 만드는 우리 주변의 환경을 극복하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제작한 제품과 서비스, 정보 통신 기술과 그걸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들의 의미 있는 이야기를 소개한다.
- 2019년 9월호 사진가 피트 에커트Pete Eckert, 마음의 눈으로 본 세상을 카메라로 시각화하다 여기 인터뷰이들이 공통적으로 말한 삶의 원칙이 있다. ‘자신의 부족함을 알기에 기꺼이 도움 받고, 그래서 감사하며, 보답하면서 사는 것.’ 그런데 문득 깨달았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해당하는 행복의 열쇠와 같다는 걸.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기에.
- 2019년 9월호 바이올리니스트 송우련, 끝없는 연습으로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다 여기 인터뷰이들이 공통적으로 말한 삶의 원칙이 있다. ‘자신의 부족함을 알기에 기꺼이 도움 받고, 그래서 감사하며, 보답하면서 사는 것.’ 그런데 문득 깨달았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해당하는 행복의 열쇠와 같다는 걸.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