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9월호 버킷플레이스 '오늘의집' 대표 이승재 ‘좋은 공간이 인생을 변화시킨다’를 모토로 인테리어 원스톱 플랫폼 ‘오늘의집’을 운영하는 이승재 대표의 현재는 온통 일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하다.
- 2020년 9월호 방송인·서점 대표 김소영 취향과 안목이 여물어 빛을 띠기 시작하는 서른세 살은 지금 무슨 고민을 하고,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 방송인부터 국회의원, 공예가, 안무가, 사업가 등 사회 각계 분야에서 단단히 자신의 경력을 쌓아가는 일곱 명을 만났다.
- 2020년 9월호 내 인생, 33주년 <삼십세>를 쓴 잉게보르크 바하만 식으로 말하자면, 서른세 살은 ‘매력이 있다/매력이 없다, 이성적이다/비이성적이다, 얌전하다/거침이 없다 등등의 방법으로는 말할 수 없는’ 나이입니다. 미숙과 성숙 사이에 끼인 나이, 스스로를 젊다고 내세우는 게 어색해지는, 그러나 아무튼 젊은 나이. 자신에게 반해 있지도 않으면서 여전히 자
- 2020년 9월호 질문하는 미술, 번역하는 미술가 어떤 미술가는 그림을 그리거나 조형물을 만들고, 어떤 미술가는 영상을 찍거나 퍼포먼스를 벌인다. 김홍석 작가는 번역을 한다. 사회와 문화 속에서 단어를 발굴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번역한 뒤, 이를 무수한 형태의 작품으로 완성한다. 조형부터 회화, 사진, 영상, 퍼포먼스까지 전방위적으로 전개되는 그의 작업은 관념을 전복하며 현실을 재조명해 끝없이 우리에게 질문
- 2020년 8월호 확신의 길을 묵묵히 걷다 나무를 깎고 다듬고 이어서 하나의 가구를 만들기까지의 과정은 그야말로 지난한 몰입의 시간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년간 꾸준히 한다는 것은 일종의 수련과도 같은 일이리라. 이 쉽지 않은 길을 걷기 시작한 스튜디오 신유의 신용섭&유승민 작가와 먼저 출발해 견고한 터를 구축한 박종선 작가가 만났다. 나무가 수분을 머금어 팽창하는 계절의 어느 날.
- 2020년 8월호 북극의 빛, 오로라를 찾아서 극지의 살얼음 같은 공기, 적요한 설원과 순백의 전나무 숲을 파고드는 일몰, 그리고 까만 밤하늘 위로 신의 옷자락처럼 너울대는 푸른빛의 장막. 여름의 한가운데서 꺼낸 겨울 캐나다의 가장 눈부신 풍광들.
- 2020년 8월호 다닝으로 메꾸는 일상의 기쁨 구멍 난 양말을 꿰매어 신고, 해진 청바지를 기워 입는, 자칫 구차스럽게 느낄 법한 일이 ‘다닝’이라는 니팅 기법을 통해 창작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 2020년 8월호 깨지고 이 나간 그릇에 더한 가치 도자기를 수리하는 김수미 작가는 단순히 깨진 그릇만 붙이는 게 아니다. 흠집 위에 장식을 더하고, 그렇게 다시 태어난 물건은 앞으로의 시간을 이어나간다.
- 2020년 8월호 이제는 정말 음악이 필요한 시간 주목받기를 꺼리던 숫기 없는 강원도 소녀가 세계 무대를 누비는 젊은 거장으로 성장하기까지, 손열음의 곁에는 늘 음악이 함께했다. 음악은 그의 친구이자 동료였으며, 연주는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그리고 지금, 평창대관령음악제 예술감독으로 돌아온 그는 우리 앞에 베토벤의 메시지를 꺼내 들었다. 음악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이 시대, 그가
- 2020년 8월호 한지문화산업센터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KCDF)이 북촌에 한지문화산업센터를 개관했다. 전국 20여 개 전통 한지 공방의 4백여 종 한지를 한데 모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유일의 한지 종합 지원 센터인 이곳은 일반 관람객은 물론, 공예가와 디자이너를 위한 아카이브로, 우리 한지의 새로운 판로로 기능할 예정이다.
- 2020년 8월호 지금 국제갤러리에서는 Courtesy of the artist’s estate and Kukje Gallery<Wook-kyung Choi>@국제갤러리 K1 최욱경 작가의 예술은 자신의 삶만큼이나 강렬하다. 45세에 사망한 그는 고작 20년 남짓 화가로 활동했을 뿐이지만, 그의 작품은 단색화가 지배적이던 1970~1980년대 남성 중심의 한국 화단에 명료
- 2020년 8월호 갤러리는 진화한다 시대에 따라 예술이 변한다면, 예술이 변한 만큼 갤러리도 변해야 한다. 이제 갤러리는 그 어느 곳보다 혁신적인 실험과 학습의 장소, 변화를 반영하며 끊임없이 예술의 저변을 넓히는 시대적 공간이다. 오랜 리모델링 끝에 재개관한 국제갤러리 K1이 바로 그 사실을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