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6월호 도예가 김상인 도예가 김상인의 백자는 푸른빛이 서려 아스라하면서도 묘하게 포근한 흰빛, 바로 ‘설백’으로 유명하다. 전시명이 <설백>인 걸 보니 이번 전시 에서 설백의 백자를 주로 선보이는 건가? 그렇다. 우선 설백의 백자 이야기부터 하겠다. 조선 시대에는 기술적으로 완벽히 철을 제거하지 못했기에, 철이 발색해 진한 청빛이 나는 백자가
- 2023년 6월호 드러내지 못한 마음 미심쩍다. 그의 그림을 보고 떠올린 첫 단어다. “관계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감정을 연극처럼 캔버스에 풀어놓으며”라는 작품 설명이 무색하게 화면은 이다지도 밝고 우스꽝스러운데 말이다! 찬찬히 뜯어보면 밝지만 어둡고, 우스꽝스러운데 슬픈 그림.
- 2023년 5월호 월제 혜담 스님 전 세계 1백60여 점, 국내에는 불과 20여 점 남은 진귀한 국가문화유산 고려 불화. 월제 혜담 스님은 잊힌 고려 불화를 ‘화불’, 즉 ‘그림으로 나타난 부처’로 동시대에 불러들이고 세상에 알려왔다. 깊은 수행으로 정진한 부처의 손끝이 그 안에 오롯하다.
- 2023년 5월호 우리 곁의 불교 음력 4월 8일, 올해는 양력으로 5월 27일이 부처님 오신 날입니다. 신자든 신자가 아니든 부처가 가르쳐준 진리, 이를 통한 대자유와 평안의 길은 누구나 꿈꾸는 것입니다. <행복>이 2023년의 모습으로 우리 곁에 살아 있는 부처의 가르침을 들려드립니다. 작품을 통해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중생을 부처님 세계로 인도하는 한국의 대표적 승려 장인
- 2023년 5월호 전통은 현재진행형! 코펜하겐에서 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감프라테시GamFratesi는 자연적이고 지속 가능한 소재를 사용해 견고하게 만들어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아늑하고 편안한 기분을 자아내는 디자인을 추구한다. 무엇보다 서로 다른 전통과 문화를 결합해 강력한 스타일을 선보이는 감프라테시의 공동 설립자 엔리코 프라테시를 만났다.
- 2023년 5월호 종교를 초월하는 사유의 공간 현대 불교 건축은 부처의 가르침을 마주함과 동시에 자아를 찾는 과정도 중요해진 불교의 성격을 반영하며 진화하는 중이다. 신행信行 활동을 위한 공간과 더불어 삶의 여유를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해 불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접근할 마음이 드는 공간, 그리고 불교의 오랜 정신 세계를 현대적 재료와 형식으로 표현한 공간이 늘어나고 있다.
- 2023년 5월호 스마트 학습 플랫폼 '아이스크림 홈런' 세 살 버릇 여든이 아니라 1백 세까지 가는 시대다. 성적을 넘어 평생 함께할 공부 습관은 부모가 아이에게 줄 수 있는 큰 선물이 아닐까? 스마트 러닝 서비스 ‘아이스크림 홈런’은 유아부터 중등 교육까지 폭넓은 연령을 아우르는 스마트 학습 서비스로, 공부에 흥미를 가지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가는 환경을 선사한다.
- 2023년 5월호 반계리 은행나무가 내게 들려준 이야기 수백 사람을 품어 그 아래로 할아범도, 아범도, 새악시도 모두 모여들게 하는 큰 나무 한 그루가 ‘계신다’. 마을을 지켜주는 큰 어른이자, 지혜의 전수 장소요, 감정의 정거장이며, 나약한 인간의 정신적 기도처였던 나무. 대한민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은행나무로 꼽히는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 은행나무 앞에 가면 사시사철 그 나무를 사생하는 화가가 있다. 벌써 4년
- 2023년 5월호 아트바젤, 홍콩의 귀환 지난 3월 아트바젤을 시작으로 오랫동안 닫혀 있던 홍콩의 빗장이 드디어 열렸다. 온라인 페어가 아닌 국제 참관객을 맞이한 건 2019년 이후 4년 만이다. 기대와 흥분으로 넘실대던 아트 축제 분위기와 더불어 홍콩 피플에게 추천받은 핫 스폿도 소개한다.
- 2023년 5월호 <Like dissolves Like> 흙, 공기, 물이 1000℃ 넘는 화탕지옥 속에서 한 몸으로 녹아 새 피가 도는 도자 작품으로 태어나듯 서로 다른, 매우 다른 두 작가가 갤러리 지우헌에서 처음 만난다. 이들은 한 몸으로 녹아들 것인가?
- 2023년 5월호 부처 안의 인간, 그리고 우주 노상균 작가는 붓 대신 캔버스 위에 시퀸을 수놓아 광대한 우주를, 별자리를, 부처와 예수를 ‘그렸다’. 빛을 머금었다 발산하는 축광 안료로 역시 우주를, 지형도를, 부처와 예수를 그렸다. 그 가운데 그가 찾아낸 건 결국 그 안의 먼지 같은 인간이라는 것, 우주의 최소 단위가 다시 우주를 보여주는 아이러니.
- 2023년 4월호 자연과 사람, 예술이 만나는 자리 빛과 바람이 수시로 드나드는 공간은 자연과 사람을 소통하게 한다. 선명한 계절의 자취가 시간의 밀도를 높이고 번잡한 일상 속에서 잊힌 것, 사라져가는 소중한 것을 상기시킨다. 예술이 우리 삶에 필요한 이유도 이와 같을 터. 정종미 작가가 서촌의 낡은 한옥을 개조해 예술을 들인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