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 7월호 즐거운 대화와 여유로운 휴식을 주는 공간 “우리 와인 한잔 할까?”라는 제안이 반가운 계절이다. 긴 하루 끝에서 와인 잔을 기울이며 여름밤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와인 바 세 곳을 소개한다.
- 2008년 7월호 이베리코 쇠고기에 호주의 와규와 일본의 고베 비프가 있다면, 돼지고기에는 스페인의 이베리코가 있다. 천혜의 자연 조건을 갖춘 스페인의 목초지에서 세심하게 길러 생산하는 프리미엄 돼지고기 ‘이베리코’는 전 세계 유명 셰프와 미식가들이 사랑하는 식재료다. 이베리코의 맛은 쫄깃한 육질이 아닌 기름의 농도와 고소함으로 평가된다.
- 2008년 7월호 새콤달콤한 베트남 국수 분짜 낯선 향신료가 입맛을 돋우는 동남아 국수를 소개한다. 베스트셀러인 베트남의 포부터 샐러드 국수인 태국의 얌운센과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락사까지. 담백하고 개운한 남국의 맛, 동남아 국수로 이 더위를 즐겨보자.
- 2008년 7월호 태국식 그레이비소스 누들 낯선 향신료가 입맛을 돋우는 동남아 국수를 소개한다. 베스트셀러인 베트남의 포부터 샐러드 국수인 태국의 얌운센과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락사까지. 담백하고 개운한 남국의 맛, 동남아 국수로 이 더위를 즐겨보자.
- 2008년 7월호 싱가포르 대표 국수 락사 낯선 향신료가 입맛을 돋우는 동남아 국수를 소개한다. 베스트셀러인 베트남의 포부터 샐러드 국수인 태국의 얌운센과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락사까지. 담백하고 개운한 남국의 맛, 동남아 국수로 이 더위를 즐겨보자.
- 2008년 7월호 인도네시아 볶음 국수 미고렝 낯선 향신료가 입맛을 돋우는 동남아 국수를 소개한다. 베스트셀러인 베트남의 포부터 샐러드 국수인 태국의 얌운센과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락사까지. 담백하고 개운한 남국의 맛, 동남아 국수로 이 더위를 즐겨보자.
- 2008년 7월호 태국식 당면 샐러드 얌운센 낯선 향신료가 입맛을 돋우는 동남아 국수를 소개한다. 베스트셀러인 베트남의 포부터 샐러드 국수인 태국의 얌운센과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락사까지. 담백하고 개운한 남국의 맛, 동남아 국수로 이 더위를 즐겨보자.
- 2008년 7월호 태국식 오리엔탈 소스 볶음국수 낯선 향신료가 입맛을 돋우는 동남아 국수를 소개한다. 베스트셀러인 베트남의 포부터 샐러드 국수인 태국의 얌운센과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락사까지. 담백하고 개운한 남국의 맛, 동남아 국수로 이 더위를 즐겨보자.
- 2008년 7월호 베트남 대표 국수 포 낯선 향신료가 입맛을 돋우는 동남아 국수를 소개한다. 베스트셀러인 베트남의 포부터 샐러드 국수인 태국의 얌운센과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락사까지. 담백하고 개운한 남국의 맛, 동남아 국수로 이 더위를 즐겨보자.
- 2008년 7월호 색다른 향기와 면발이 관건이다 낯선 향신료가 입맛을 돋우는 동남아 국수를 소개한다. 베스트셀러인 베트남의 포부터 샐러드 국수인 태국의 얌운센과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락사까지. 담백하고 개운한 남국의 맛, 동남아 국수로 이 더위를 즐겨보자.
- 2008년 7월호 오늘 저녁에 뭐 먹지? 7월에는 가지, 호박, 실파, 피망, 노각, 산딸기, 아보카도가 제철이고, 장어와 닭이 최상의 맛을 낸다. 우리 땅에서 나는 가장 싱싱하고 맛이 좋은 제철 재료로 차린 밥상은 보약 한 재보다 몸에 이롭다. 요리 연구가이자 푸드 스타일리스트인 노영희 씨가 7월의 재료로 입맛 당기는 메뉴를 제안한다.
- 2008년 7월호 국이 좋아 국사발을 빚고 술이 좋아 술잔을 빚는다 그릇에 담길 음식을 상상하며 정성스레 흙을 빚는 도예가는 어떤 그릇에 무엇을 담아서 먹고 살까? 도예가들이 공개한 실제 모습 그대로의 밥상엔 일상 속 모습이 진솔하게 담겨 있다. ‘이렇게 먹고 살아 그런 작품이 나왔구나’라고 절로 느낄 만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