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년 10월호 요리로 신나는 Show를 하라 국내 디자인 마케팅 회사의 대표주자인 (주)인터그램 대표 안동민 씨는 요리하는 걸 좋아한다. 본능과도 같은 창의력에 대한 욕구와 시시때때로 번뜩이는 아이디어의 결과, 그의 요리는 매번 변화하고 성장을 거듭한다. 그 모든 과정을 ‘재미있는 놀이’라 여기며 신나게 즐기는 그의 쿠킹 노트를 공개한다.
- 2007년 10월호 눈처럼 폭신폭신한 시루떡 정말 맛있게 먹은 시루떡이 있다. 그 시루떡은 소금과 물, 멥쌀가루로만 만든 것이었다. 단순한 조합으로 만든 그 떡을 처음 입에 넣었을 때 ‘왜 이리 싱거워’라는 느낌 외에 별다른 감흥이 없었다. 그런데 씹을수록 구수하면서도 달큼한 맛이 입 안을 가득 채우는 것이 아닌가.
- 2007년 10월호 캠핑장에서의 만찬 축복받은 계절 가을은 춥지도 덥지도 않은, 들놀이하기에 딱 좋은 계절이다. 이번 주말, 가족들과 함께 차에 텐트와 버너 하나 싣고 밖으로 나서보자. 가을이 깊어가는 소리를 들으며 먹는 식사 한 끼는 몸은 물론 영혼까지 살찌울 테니. 하나 장만하면 야외에서도 레스토랑 못지않은 근사한 음식을 즐길 수 있는 도구들.
- 2007년 10월호 [된장찌개vs.미역국 9] 우거지된장찌개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
- 2007년 10월호 [된장찌개vs.미역국 8] 도미미역국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
- 2007년 10월호 [된장찌개vs.미역국 7] 미역들깨국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
- 2007년 10월호 [된장찌개vs.미역국 6] 신김치된장찌개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
- 2007년 10월호 [된장찌개vs.미역국 5] 홍합미역국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
- 2007년 10월호 [된장찌개vs.미역국 4] 해물된장찌개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
- 2007년 10월호 [된장찌개vs.미역국 3] 강된장찌개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
- 2007년 10월호 [된장찌개vs.미역국 2] 닭미역국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
- 2007년 10월호 대한민국 음식의 대명사 된장찌개 vs. 미역국 1 <행복> 독자들이 식탁에 가장 자주 올리는 찌개와 국은 된장찌개와 미역국이다. 두 메뉴 모두 쉽고 친숙한 음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딱히 정해진 레시피 없이 열이면 열 끓이는 방법이 제각각인 된장찌개와 미역국,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먹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