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8월호 나를 위한 여름 향기 이제 향기도 개성 시대. 싱그러운 여름 향기로 당신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세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 2016년 8월호 책상 위 재구성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사무를 보는 상’이라는 책상의 사전적 정의. 이제 내가 좋아하는 것, 요즘 관심사, 취향을 모아 보물섬처럼 구성한 한 뼘 공간이라는 추가 설명을 더해야 할 때다.
- 2016년 8월호 행복 안테나 행복 안테나 무더위에 지치기 쉬운 8월입니다. 산으로 바다로 떠나는 것도 좋지만, 거실 소파에 누워 시원한 수박과 선풍기를 곁들이며 <행복>의 즐거운 소식을 만나보세요. 어쩌면 행복한 여름휴가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숨어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 2016년 8월호 나는 B급 감성이 좋다 비스트럭처B structure 황민혁 디자이너와 처음 만난 건 작년 겨울이다. 신진 디자이너의 등용문인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 자신이 깎고 다듬은 가구를 대중에게 처음 선보인 것. 그 후 친구의 집을 소개하는 한 TV 프로그램에서 외국인 친구가 살고 있는 한옥의 가구를 만든 디자이너로 이름을 알렸다. 그는 넌지시 집을 짓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고, 그의 가구가
- 2016년 8월호 낙락헌 樂樂軒 집의 이름만 들어도 웃음이 피식 흘러나온다. ‘즐거울 락’을 연달아 쓴 낙락헌은 즐겁고 또 즐거운 집. 영어로는 knock knock(똑똑)! ‘허당虛堂(비우는 집)’이란 별칭을 붙일 만큼 유쾌한 세 식구가 모여 사는 이 집은 은평 한옥마을에 들어선 열 번째 한옥이자 한옥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담은 집이다.
- 2016년 8월호 林으로 돌아간 木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나무 가구. 유행을 타지 않아 시간이 지나도 촌스럽지 않은 것이 나무 가구의 매력인 줄 알았건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안에도 분명 트렌드가 존재한다. 수종, 디자인, 디테일, 믹스 매치 소재까지 그 변주가 무궁무진한 것. 특히 지난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도 유난히 신진 목가구 디자이너가 눈에 띄었다. 열 팀의 목가구 디자이너에게 지금
- 2016년 8월호 일상과 건축의 맥락 잇기 소담하게 핀 수국과 핑크빛 결실을 맺은 배롱나무, 단정하게 정리된 농기구들, 일관된 취향으로 채워진 예술 작품…. 만약 공간이 누군가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여러 단서를 제공한다면, 건축가 이성란의 서초동 자택은 증거 찾기가 더할 나위 없이 수월하다. 건축가라는 업을 떼어놓고도 순도 높은 취향만으로 얘기가 되는 공간. 먼저 그의 라이프스타일을 들여다보기 전
- 2016년 8월호 어바웃 해피니스 세상에는 각양각색의 사람과 삶의 방식이 존재하지만 그들의 목표는 단 하나, ‘행복해지는 것’이다. 홈 인테리어 열풍으로 다양한 집 꾸밈 방법을 알려주는 방송 프로그램과 책이 난무하지만, “도대체 ‘행복한’ 집은 어떤 집일까?”라는 질문에 대답하기란 쉽지 않다. 디자인 컨설턴트이자 트렌드 예측가로 활동하는 어맨다 탤벗Amenda Talbot은 세상 사람 모두
- 2016년 7월호 우산 꽂이 장마철, 온 가족 우산이 모여 어수선한 현관을 깔끔히 정돈해주고 개성 있는 공간으로 꾸며주는 우산 꽂이를 모았다.
- 2016년 7월호 네 안에 나 있다! 안에 무엇을 담았는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만든 것인지 한눈에 알 수 있는 투명 아이템은 여름에 진가를 발휘한다. 어느 공간, 어떤 제품과도 자연스레 어우러지는 데다 보는 것만으로도 속이 시원해지는 투명 아이템의 매력.
- 2016년 7월호 먹고 놀고 배우고 누리자 구두 공장이 줄지어 있는 성수동 골목길을 걷다 보면 삼각 지붕의 빨간 벽돌 건물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50년 전에는 정미소였고 최근까지 창고로 사용한 이 낡은 건물의 정체는 복합 문화 공간 ‘대림 창고 갤러리 컬럼’이다. 너와나무로 만든 육중한 문을 열고 들어서면 미식과 예술이 어우러진 공간이 펼쳐진다.
- 2016년 7월호 디자인 벽시계 어느덧 1년의 반이 지났다. 나의 시간은 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걸까? 유용한 기능과 디자인을 갖춘 팔방미인 벽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