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11월호 바우하우스 암호 풀기 오늘날 모더니즘의 상징이 된 바우하우스는 1919년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설립한 이후 불과 14년 동안 존속한 혁신적 디자인 학교다. 모던 디자인이 태동하던 20세기의 시대적 양분을 그대로 흡수한 바우하우스를 이해할 수 있는 여섯 가지 키워드를 각 생활 공간별로 풀어보았다.
- 2019년 11월호 발랄하고 경쾌한 오렌지 재기 발랄하고 생동감 넘치는 오렌지 컬러에 주목할 것. 일상에 오렌지색을 살짝 가미하면 한층 조금 더 경쾌하게 보낼 수 있을 테니! 가구는 곡선 또는 비정형의 재치 있는 형태를 지닌 것으로, 입을 옷은 패턴과 엠보싱으로 포인트를 준 것으로 골라보자.
- 2019년 10월호 매일 자연과 식물에게 질문합니다 충남 태안반도 ‘막골’, 서해 바다와 맞닿은 곳에 자리한 천리포수목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수목원이다. 최창호 정원사는 이곳에서 부원장 겸 식물부 총괄을 맡고 있다. 18만 평에 가까운 수목원에서 그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식물은 없다고 할 수 있다.
- 2019년 10월호 정원은 비울수록 가득 채워집니다 꾀와 기교를 부리지 않고 담담하게 조경가의 길을 걸어온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 김용택 소장의 공간은 그를 닮아 차분하고 안온하다. 개인 주택부터 정신병원 등 공공 정원까지 그 비운 여백에는 홀로 명상하고 사색하며 정서적 안위를 얻게 하는 놀라운 힘이 있었다.
- 2019년 10월호 시카 디자인SIKA DESIGN 인간의 편의를 위해 자연을 무분별하게 개발하는 일이 만연한 오늘날, 주목할 만한 리빙 브랜드가 있다. 바로 덴마크의 시카 디자인. 천연 라탄을 소재로 한 핸드메이드 가구는 자연의 선순환을 이끌며 가구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 2019년 10월호 풍경이 익는 작업실 허명욱 작가가 경기도 용인에 새 작업실을 지었다. 숲과 면한 오각형 땅에 나란히 자리한 쌍둥이 건물은 작품과 공간, 안과 밖의 경계 없이 자연과 관계를 맺는다. 생명이 움트는 봄, 한없이 푸른 여름을 지나 다채로운 색色의 기운이 가을을 맞는다.
- 2019년 10월호 과수원집 소원재 제주도 남부 지역인 서귀포시 남원읍에 위치한 마을, 한남리에 담아한 집이 들어섰다. 밤낮없이 분주한 서울살이를 뒤로하고 제주 생활을 택한 젊은 부부는 제 삶의 속도에 맞춘 시간을 따라 너그러운 일상을 보낸다.
- 2019년 10월호 폐소재 디자인 폐소재로 만든 디자인 제품이 진화한다. 폐소재로 만들었다는 사실보다 디자인 자체가 훌륭하고 간결해 더욱 눈길이 간다. 영원히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부터 목재와 대리석, 신생활 쓰레기라 불리는 대마와 와인 찌꺼기까지. 폐소재가 연 디자인의 새로운 세계.
- 2019년 10월호 최순우 옛집을 채운 조선 목가구 교향곡 김종학 화백은 1960년대 중반부터 조선시대 목가구와 민예품을 수집해왔다. 우리 전통 공예품에 대한 화백의 관심과 애정은 실로 대단해서 수십 년간 집적된 수집품의 폭 역시 깊고 넓다. 화백의 수집품은 이미 여러 전시를 통해 공개되었으나 이번 최순우 옛집 전시는 여러 면에서 좀 더 특별하다.
- 2019년 10월호 순환하는 플라스틱 플라스틱은 한때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낙인찍혔지만 재생 가능한 디자인 제품을 선보이며 재평가받고 있다. 땅속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 등 순환 가능한 플라스틱 가구들을 모았다.
- 2019년 10월호 지역 주민과 함께 가꾸는 공공 정원 ‘정원’의 사전적 의미는 ‘집 안의 뜰이나 꽃밭’. 아직까지 정원을 ‘개인 공간’으로 한정짓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정원의 개념은 식물원이나 수목원 같은 ‘공공 정원’을 아우른다. 도시에 아파트 생활자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공공 정원의 역할이 중요하며, 공공 정원 역시 지역 주민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 2019년 10월호 연리재連理齎 금슬이 좋은 부부, 효성이 지극한 부모 자식을 의미하는 ‘연리지’에서 이름을 가져온 연리재. 가족의 건강과 생활을 고려해 에너지 효율을 추구한 연리재는 삶의 질을 개선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며 환경보호에 동참하는 진정한 친환경 주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