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 3월호 심재덕 씨의 뒷간 라이프 세계의 ‘뒷간 문화’를 고양시키기 위해 출범한 ‘세계화장실협회’의 존재를 아는가? 이 단체의 회장 심재덕 씨는 뒷간에서 태어난 ‘개똥이’이며 화장실 문화의 중흥에 투신한 인물이다. ‘미스터 토일렛’으로 불리는 그는 왜 ‘뒷간 라이프’에 몰두하게 된 것일까.
- 2008년 3월호 셰이커 교도에게 배우는 가드닝의 기술 버몬트 주 산속에서 홀로 사는 타샤 튜더(콜더컷 상을 수상한 동화작가)도 “정원에 대해선 절대 겸손하고 싶지 않다”라고 했지요. 자신을 ‘스틸 워터’의 교도라고 말하는, 고요한 물처럼 마음에 격정을 담지 않고 사는 이 할머니에게도 정원은 흥분과 자랑의 대상인가 봅니다. 들풀 하나도 손 가지 않은 게 없기 때문이겠지요. 꽃과 꿀로 가득한 정원으로 달려가고 싶
- 2008년 2월호 [한옥을 찾아서] 한옥 짓은 13인의 장인들 여기 13명의 장인이 있다. 나무가 기둥이 되기까지 해와 바람을 맞으며 지내온 수십 년 세월처럼, 한옥에 그리고 전통 건축에 평생을 바친 사람들이다. <행복>에서는 지난 2007년 12월호 독자엽서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과연 독자들은 얼마나 한옥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꼭 알고 싶은 정보는 무엇인지. 설문에 응답한 <행복> 독자
- 2008년 2월호 백색 가전이 가고 블랙 가전이 온다 ‘가전제품을 단지 기계로 보지 않는다.’ 가전제품을 만드는 사람들은 소비자들이 이를 인테리어의 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여기 현명한 선택을 위해 참고할 몇 가지 정보를 소개한다.
- 2008년 2월호 [2008_02 행복감각 4] 동양의 선이 가미된 미니멀리즘 전 세계가 고요하고 신비스러운 동양적인 감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디자이너들은 미니멀리즘의 간결한 디자인에도 동양의 서정적인 선과 여백의 미를 담고 있습니다. 간결하고 차가운 미니멀리즘이 올봄 부드러운 여운을 선사합니다.
- 2008년 2월호 [2008_02 행복감각 3] 1950년대 레트로풍 플라워 패턴 봄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플라워 패턴. 올해는 1950년대 레트로풍이 인기를 끌 전망입니다. 시선을 압도하는 빅 패턴보다는 소박하고 잔잔한 꽃송이가 시선을 끕니다. 바이올렛, 옐로, 핑크, 그린 등 비비드한 컬러 매치도 매력적이네요.
- 2008년 2월호 [2008_02 행복감각 2] 무채색에서 발전한 파스텔 컬러 모노톤의 유행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지만 올 봄을 기점으로 다시 컬러가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밝은 그레이 컬러 위로 슬며시 올라온 페일 파스텔 컬러는 여성스러우면서도 도시적인 느낌을 선사합니다.
- 2008년 2월호 [2008_02 행복감각 1] 오감이 즐거운 오가닉 소재 봄맞이 집 단장을 계획하고 계신가요? 국내외 트렌드를 최전방에서 가장 먼저 접하는 디자이너와 브랜드 매니저가 2008년 봄·여름에 유행할 최고의 스타일을 미리 귀띔해줬습니다. 몸뿐만 아니라 눈까지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오가닉 소재, 무채색에 가까운 파스텔 컬러까지 올봄은 한층 멋지게 피어날 것 같습니다.
- 2008년 2월호 이태원 골목길의 스테인리스 스틸 하우스 이 집엔 아직 사람이 살지 않는다. 흰 벽, 천장, 바닥과 거대한 계단만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감싸인 건물 안에 살고 있다. 그런데 어디선가 수런거림도 들리고 무언가 움직인 것처럼 그림자도 너울댄다. 분명히 빈집인데도 말이다.
- 2008년 2월호 조명으로 만드는 책상의 운치 나의 하루 중 가장 사적인 시간을 보내며 생활의 벗이 되어주는 책상. 옷차림과 같아서, 그곳엔 스스로의 모습이 드러난다. 몸단장을 위해 거울 앞에 서듯, 마음을 단장할 때는 어김없이 책상 앞에 앉는다. 그 작은 공간에 조명이란 액세서리로 분위기를 더한다. 습관처럼 밝힌 그 불빛이 마음을 지배하기도 한다. 꿈과 현실이 만나는 한 평의 공간, 그곳에 ‘나만의
- 2008년 2월호 옷걸이의 무한도전 어느새 수북이 쌓여 처치 곤란이 되는 세탁소 옷걸이. 그러나 누가 이들을 쓸모없다 했는가. 철사 옷걸이를 선두로 다양한 옷걸이가 옷장을 탈출, 무한변신을 감행했다. 모빌부터 가구로까지 다시 태어난 옷걸이의 ‘제2의 인생’.
- 2008년 1월호 [2008_01 행복감각 4] 눈부신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소재의 활약 형태와 표현의 한계에 도전하는 신소재의 개발은 디자인의 가능성을 넓혀주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이 곧 디자인의 발전을 이루는 셈이지요. 이는 특히 빛을 공간에 퍼뜨리는 조명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