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1월호 암벽 오르는 여자는 섹시하다 대체 저 높은 곳을 오르는 이유는 뭘까? 몸을 부들부들 떨며 손바닥보다 작은 홀드에 몸을 내맡기는 아찔한 몸짓을 보고 있자니 머리카락이 쭈뼛쭈뼛 선다. 실내 암벽등반을 시작한 지 6개월째 접어드는 이은미 씨는 매주 두 번 암장을 찾는다. 그에게 벽을 오르는 일은 생각을 버리는 시간이고, 두려움은 일종의 즐거운 통증이다.
- 2013년 1월호 당신도 인생의 꽤 멋진 주인공입니다 경기도 미술관 학예연구사 황록주 씨가 기획한 전시는 늘 “황록주가 만든 전시답다”라는 평가를 받곤 한다. <아날로그> <패션의 윤리학> <선의 아름다움> 등 누구에게나 유효한 것, 누구라도 누려야 할 것, 누구나 즐거운 것을 모토로 한 그의 전시는 삶의 퍽퍽함을 다독일 줄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커뮤니티 아트 <동네 미
- 2013년 1월호 약다방 봄동 약차藥茶를 마시며 한의사와 건강에 대해 도란도란 얘기를 나눌 수 있는 힐링 카페가 있다. 한의사의 다방, 약다방 봄동이다.
- 2013년 1월호 제주 본태박물관 제주 본태박물관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전통과 현대가 조우하는 공간을 통해 우리 전통의 속 깊은 아름다움과 운치를 발견하는 것은 물론, 전시관 건축은 단순히 전시를 위한 껍데기가 아닌 스토리를 담아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건축은 그 속에서 이뤄지는 ‘콘텐츠’에 의해 완성된다는 말처럼.
- 2013년 1월호 상실의 시대에서 위로의 시대로 분노와 좌절이 모두의 가슴속에 흐르는 시대다. 위로를 건네는 심리 치료 전문가 최성애 박사가 예견된 이 시대에 감정 코칭을 알린 얘기를 들었다.
- 2013년 1월호 종이에 스미는 그림 문자도文字圖란 글자의 의미와 관계 있는 고사나 설화 등의 내용을 대표하는 상징물을 자획字畵 속에 그려 넣어 서체를 구성하는 그림이다. 18세기 후반에 시작해 19세기에 민화와 함께 유행했는데, 주로 병풍 그림으로 그려졌다. 꽃글씨라고도 불린 문자도는 한자 문화권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조형예술로 한자의 의미와 조형성을 함께 드러내면서 조화를 이루는 그림이
- 2013년 1월호 번트 대지 않는 인생 미국의 경제 주간지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에 따르면, 일본 프로 야구의 번트 수가 미국 메이저리그의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일본의 안전 우선주의가 일상생활 전반에 퍼져서 사회의 활력을 좀먹고 있는 것이지요. 도전하지 않는 젊음은 매력이 없습니다. 여기 삼진을 두려워하지 않고 인생의 배트를 당차게 휘두르는 청춘들을 소개합니다.
- 2012년 12월호 소통하는 와인을 꿈꾸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산지, ‘신이 선물한 와인의 땅’으로 불리는 나파밸리에서 비어데어Viader 와이너리를 운영하는 최초의 여성이자, 와인메이커 델리아 비어데어 씨를 나파밸리 와인협회가 주관한 나파밸리 와인 시음회에서 만났다.
- 2012년 12월호 花요일아침에는 매일매일 꽃이 핀다 花요일아침예술고등학교는 예술적 재능이 있어도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교육받기 어려운 청소년을 위한 무료 대안 학교다. 3년 전 홍문택 신부가 경기도 연천에 설립했다. 아이들에게 손에 잡히는 희망을 주고 사회적 자립을 돕고 싶다는 그는 사제보다는 교장 선생님이 더 잘 어울린다.
- 2012년 12월호 세 자녀를 미국 사회의 정직한 리더로 키워내다 장병혜 박사는 팔순에도 메모하고 그리며 자녀 교육법을 전하는 에너지를 갖고 있다. 늦가을, 효자동의 한 카페에 앉아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 말하며 앨리스, 피터, 낸시 세 아이의 엄마로 살아온 삶을 이야기하는 80세 노교수의 얼굴이 해맑다. 아이를 키우는 데 99%의 노력을 기울이느라 진이 빠진 엄마가 아니다. 편한 친구가 많고 살아온 생에 대한 자부심이 그
- 2012년 12월호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고, 움직이게 하라 발도르프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발도르프 자유 사범대의 쉴러 교수. 금쪽같은 우리 아이, 남다르게 가르치는 곳은 없을까? 공교육의 경쟁 구도 시스템에서 벗어나 내면과 신체가 모두 건강하고 성숙한 아이로 가르치는 학교가 있을까?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이의 부모라면 한 번쯤 하는 질문일 것이다. 아이가 대부분의 시간을 선생님과 또래가 있는 교
- 2012년 12월호 아주 특별한 아빠 양육법 자녀의 행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버지’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 래리 곽 박사 부부. 아이 하나를 뜨겁게 낳아, 가슴으로 품어 젖을 먹이며 키워 드디어 세상으로 나아가게 돕는 일. 지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자 행복한 일일 테다. 아이가 인생을 행복하다고 여기게 만든다는 건 더욱. 자식은 부모에게 영원한 채권자라던데, 이 불평등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