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 3월호 또 하나의 가족 반려 동물 사람 사는 일도 신산스러운데 개나 고양이 따위에 신경 쓸 여유가 어디 있나, 생각하는 분이라면 이 기사를 꼭 살펴보셔야 합니다. 지구에서 숨 쉬는 그들은 모두 지구의 주인이며, 귀중한 생명이요, 누군가의 어미이자 자식이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그들은 사람의 둘도 없는 벗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이름부터 바꿔 부르세요. 애완 동물이 아니라 반려 동물입니다. 반
- 2010년 2월호 소리 건축가의 꿈 우리나라에서 파이프오르간이 제작된다는 사실, 알고 있었는가? 중세 유럽의 분위기가 물씬 나는 이 거대한 악기가 10년 전부터 한국에서, 한국인의 손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 주인공은 독일 정부가 인정한 파이프오르간 마에스트로 홍성훈 씨다. 아홉 번 째 제작하는 파이프오르간의 막바지 작업 중인 그를 만나러 양평 작업실로 떠났다.
- 2010년 2월호 아줌마도 시크를 안다! 방송에서 시크 chic, 시크를 외치던데 감이 딱 잡히질 않는다. ‘시크한 카페’ ‘시크한 성격’처럼 문화 전반을 수식하거나 ‘록시크’ ‘시크돌’ ‘시코노믹스’처럼 신조어로 탄생한 시크, 시크, 시크…. 대체 시크함의 정체는 뭘까, 아줌마도 시크해질 수 있을까.
- 2010년 2월호 여자의 일생을 닮은 색동 책거리 그림 아이 낳고 술빵처럼 부풀어버린 몸매, 월요일 아침 출근하는 남편의 낙오자 같은 뒷모습, 아이가 낮잠 든 동안 거실을 서성대는 아내의 하루. 그렇게 자잘한 일상의 것들이 사실은 여자를 지탱하는 가장 큰 힘이었음을 우린 늘 적당히 지치고 나이 든 후에야 깨닫는다. ‘여자 엄미금’도 그러했다. 살뜰한 남자 만나 그림 그리는 꿈을 잠시 접은 채 결혼을 하고, 아이
- 2010년 2월호 백호랑이 해, 한밤중에 태어난 아기가 큰 인물 된다지요? 2010년의 음력 정월. 60년 만에 찾아오는 상서로운 해, 백호랑이해가 밝았습니다. 호랑이처럼 용맹하고 강건한 아이를 만나기 위해 출산을 늦춘 산모도 있을 정도로 운기 가득한 올해. 그 시작은 열두 띠의 유래와 배열의 비밀로부터 시작합니다.
- 2010년 2월호 인생 반전의 비법 왜 하필 내 인생은 이렇게 꼬였을까? 왜 내겐 운조차도 따라주지 않는 걸까? 이렇게 한탄하고 있다면 작가 조앤 롤링의 사연을 들어보라. 직장 잃고, 이혼하고, 빈털터리 싱글맘으로 우울증에 시달리던 조앤 롤링. 이렇듯 막다른 길에서 탄생한 마법사 이야기가 바로 전 세계 판매 부수 1위를 차지한 책 <해리 포터>다. 피폐한 싱글맘이 세계 최고 부호
- 2010년 2월호 새해 다이어트 결심이 3일 만에 무너진 D라인 남편의 변명 “빨리 나가자니까.” 운동복 차림의 아내는 양손을 허리에 댄 채 남편에게 운동 가자고 채근한다. 사실 운동은 아내가 아니라 남편에게 필요한 것이다. 남편은 작년 연말에 체지방 과다에 콜레스테롤 수치도 높고 고지혈 증상도 있어서 운동이 꼭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게다가 남편은 매년 새해를 맞을 때마다 신년 계획이란 걸 세우는데, 그때 빠지지 않고 꼭 들어
- 2010년 2월호 팔레 드 서울 경복궁 옆 서촌, 종로구 통의동에 자리 잡은 갤러리 팔레 드 서울 Palais de Séoul은 서울 한가운데서만 누릴 수 있는 호사로운 풍경을 모두 품고 있다.
- 2010년 2월호 뗏목 타고 삼만 리 서울에서 번듯한 직장에 다니던 채바다 씨, 나이 마흔 넘어 가진 것을 모두 버리고 고향 제주로 돌아가 뗏목을 탔다. 제주에서 일본까지 노 저어 갔다. 고대 한민족이 그러했듯이. 옛날 옛적 변변한 배도 없이 우리 문화가 일본에 전파된 것은 바다의 힘이었음을, 누군가의 호기심과 모험심이었음을, 채바다 씨의 표류기가 증명했다. 엉뚱한 줄 알았는데, 실은 처절하고
- 2010년 2월호 이번 설엔 새로 의형제 맺듯 만나세요 KBS 드라마 <수상한 삼형제>에 나오는 장남과 차남 사이 갈등,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어느 집이나 겪는 거북한 문제다. 형제 갈등이 뿌리 깊은 집안의 아내들은 이번 설 명절의 가족 모임이 껄끄러울 것이다. 갈등 양상이 드라마처럼 겉으로 극적으로 드러나지 않으니 오히려 더 답답하다. 형제 사이의 갈등이 잠잠한 듯 보이는 이유는 남자들이 감정 표
- 2010년 2월호 1등을 꿈꾸는 2등 비스트에게 보내는 갈채 문화와 매너에 대한 탐구를 계속해온 손일락 교수가 지난 호에 이어 ‘요즘 애들’에게, ‘요즘 어른들’에게 들려주는 두 번째 ‘삶의 매너론’이다. 멤버 대부분이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 후 데뷔한 아이돌 그룹 비스트(손일락 교수는 비스트 멤버 손동운 군의 아버지이다)의 일화를 통해 삶의 고비마다 닥쳐오는 시련과 실패를 이겨내는 힘을 생각한다. 실패 공포증에 쌓인
- 2010년 2월호 친척이 가족처럼 살가워지려면 명절 이후 ‘친척 스트레스’로 상담을 받는 이가 상당수다.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날 친척이 둘러앉아 잘못된 말과 행동으로 서로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일은 피해야겠다. ‘예절 박사’라 불릴 만한 두 어른의 지혜로운 답을 통해 친척을 대하는 마음가짐과 친척 간에 지켜야 할 예절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