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년 2월호 마음의 온도를 높여주는 조명 숍 8 실용성은 물론 디자인 감각을 겸비한 조명등으로 행복 온도를 높여보자. 모던에서 빈티지까지,취향 따라 고를 수 있는 다양한 스타일의 조명 제품을 만날 수 있는 곳을 소개한다.
- 2009년 2월호 모던 공간에 피어난 담담한 멋 뽀얗게 김이 서린 아궁이 위 떡시루, 눈이 소복이 쌓인 기왓장, 시원한 동치미가 익어가던 할머니의 장독대…. 이제는 기억 저편으로 잊혀가는 우리네 전통 생활 소품에 꽃과 식물을 담았다. 이들은 한 폭의 동양화처럼 집 안 곳곳에 잔잔한 여운과 그윽한 향기를 남긴다.
- 2009년 2월호 행복 온도 5℃ 높이기 1900년 파리만국박람회에 등장한 전기관. 살아 움직이는 듯 환상적인 전구 장식으로 둘러싸인 이 거대한 성은 주위의 모든 것을 압도하며 사람들을 매혹시켰다. 조명은 사람의 감성을 깨운다. 때로는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처럼, 때로는 붉게 물든 석양처럼 다가온다. 무심한 공간에 편안한 휴식을, 때로는 경쾌한 생동감을 주는 빛으로 가족의 행복 온도를 5℃ 높여보자
- 2009년 2월호 아날로그에는 손맛이 있다 물리학 용어인 ‘아날로그’에서 우리는 책, 레코드판, 라디오, 자전거 같은 것을 떠올립니다. 아날로그라는 단어에는 디지털 시대와 대변되는 지난 시대에 대한 향수와 그리움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21세기에 만나는 아날로그는 감성의 언어로 어머니처럼 다정하고 황소처럼 느릿한 삶의 여유를 보여줍니다. 네 명의 아날로그 예찬론자를 만났습니다. 기본에 충실한 공간에
- 2009년 2월호 아날로그는 시간을 이기는 힘이다 물리학 용어인 ‘아날로그’에서 우리는 책, 레코드판, 라디오, 자전거 같은 것을 떠올립니다. 아날로그라는 단어에는 디지털 시대와 대변되는 지난 시대에 대한 향수와 그리움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21세기에 만나는 아날로그는 감성의 언어로 어머니처럼 다정하고 황소처럼 느릿한 삶의 여유를 보여줍니다. 네 명의 아날로그 예찬론자를 만났습니다. 기본에 충실한 공간에
- 2009년 1월호 한국적인 터치의 새로운 시도 재기 발랄한 아이디어 각축장인 2008년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www.designfestival.co.kr)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국내외의 주목받는 디자이너들과 함께 만드는 디자인 축제의 현장에서 만난 눈에 띄는 제품들을 소개합니다.
- 2009년 1월호 집은 예술을 담는 그릇이다 까르띠에 한국 지사장인 프랑스인 필립 갈티에 씨. 그의 집에는 시선이 머무는 곳마다 미술 작품이 걸려 있다. 10대 때부터 컬렉션을 시작했을 정도로 미술에 대한 그의 취미는 오래된 것. 어쩌면 일상 속에서 예술을 음미할 줄 알기에 ‘보석’이라는 예술적 상품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할 수 있는지 모른다.
- 2009년 1월호 간결한 조형미에 우리네 정서를 담다 1 분청 터짐합 단원도예(031-762-8820)의 도예가 조민호 씨 작품. 거친 흙 질감을 살린 합으로 뚜껑에는 분청에 사용하는 전통 기법으로 연화문을 새겨 넣었다. 2 단양 백자 주발세트 청주시 한국공예관(042-268-0255)의 서영기 씨 작품. 단양 지역에서 나는 물토로 제작한 주발 세트로 조선 단양 백자가 지닌 간결하면서도 단아한 형태미를 재현했
- 2009년 1월호 새해 첫 선물을 위한 숍 작은 선물 하나 고르는 것도 막막할 때가 있다. 이럴 때 도움 되는 두 가지 취향의 소품 숍을 소개한다. 이곳에서는 일년 내내 기분 좋은 선물을 고를 수 있다.
- 2009년 1월호 일상이 특별해지는 디자인 발랄한 아이디어 각축장인 2008년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www.designfestival.co.kr)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국내외의 주목받는 디자이너들과 함께 만드는 디자인 축제의 현장에서 만난 눈에 띄는 제품들을 소개합니다.
- 2009년 1월호 새해를 맞이하는 순백의 향기 다난했던 한 해를 정리하고 신년을 계획해보는 1월, 도화지처럼 새하얀 꽃에 가족의 소망을 담아본다. 집 안 곳곳에 소복이 내려앉은 말간 눈꽃. 그 뽀얀 색감과 그윽한 향기는 어떤 화려한 꽃보다 로맨틱하고 따뜻하다. 마음속까지 깨끗하고 맑은 기운을 전하는 화이트 플라워로 연출한 여섯 가지 표정.
- 2009년 1월호 서울의 살롱 창덕궁 옆 은덕문화원 창덕궁과 작은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은덕문화원. 원래 궁궐 내 군기창 자리였다고 전해지는 이곳은 창덕궁의 정취를 앞마당처럼 담고 있는 집이다. 원불교에서 운영하는 곳이지만 종교 색을 뛰어넘어 열린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은덕문화원은 다양한 문화계 인사들에게 서울의 살롱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