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년 6월호 지하에 사는 즐거움 Best 5 1 일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소음과 자연 변화에 상관없이 일관된 환경을 유지하기 때문에 집중력을 요하는 작업을 하는 데 더없이 좋다. 지하에 유난히 스튜디오, 작업실이 많은 이유는 그만큼 일에 몰두하기에 좋은 환경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2 자연과 하나되는 삶 태초에 인간이 만든 최초의 집은 바로 땅속에 굴을 파서 만든, 땅 아래 마련한 공간이란
- 2006년 6월호 지상에 만든 정신적인 지하 작업실 혹여 뮤직 비디오라도 촬영한 것일까. 강렬한 컬러와 반짝이는 비즈 장식이 돋보이는 에스닉 패브릭으로 꾸민 침대, 술병을 활용해 만든 촛대와 별 모양 모로칸 램프, 그리고 유럽 어디에선가 봤을 법한 인형극 가면 장식…. 10평 남짓한 이곳에 어둠을 배경으로 펼쳐진 이국적인 풍경은 비범함 그 자체다. 침대 옆에 놓인 신시사이저와 기타, 아코디언 등의 악기가 아
- 2006년 6월호 사찰보다 고요한 지하 사무실 이제 갓 서른의 문턱에 들어선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학석 씨. 정상적(?)인 길을 갔다면 현재 그는 대학 졸업 후 취직을 하고 3~4년 차의 디자이너로 한창 손에 일이 익어갈 시점. 그런데 지금 김학석 씨는 무려 일곱 명의 직원을 거느린 인테리어 디자인 사무실 ‘designone’ 대표이자, 유명 프렌차이즈 레스토랑을 비롯해 중국 현지의 레스토랑과 브랜드 아
- 2006년 6월호 스위스 언더그라운드 하우스 스위스 동화 속에 나오는 아름다운 하이디 마을에서 차로 1시간 남짓 떨어진 작은 도시 디티콘Dietikon. 취리히가 지척에 내려다보이는 이곳은 병풍처럼 둘러싼 산 중턱에 별장 같은 집들이 둘러앉은, 전형적인 스위스 풍경을 보여주는 마을이다. 어른 키를 훌쩍 넘는 노란 유채꽃들이 양탄자처럼 깔려 있는 야트막한 언덕, 바로 여기에 이 지역 사람들 사이에서도
- 2006년 6월호 천상에 사는 즐거움 Best 5 1 전망대에서 사는 기분을 만끽하라 하늘 위에 살고 싶은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백만 불짜리 전망을 독점할 수 있다는 것. 건물 맨 위층, 꼭대기의 로프트나 펜트 하우스가 비싼 이유는 물리적인 가치보다는 바로 이 전망의 가치 때문이다. 전망 있는 곳에 산다는 것은 그만큼 남보다 더 멀리, 넓게, 많이 볼 수 있다는 것. 하루 종일 집안에 있어도 사방에 볼
- 2006년 6월호 빌딩 숲 속의 옥탑 원룸 이제는 ‘국민 주택’의 표준이 되어버린 아파트. 하루가 다르게 쑥쑥 올라가는 아파트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모두가 이곳에 살고, 또 살아야만 할 것 같은 착각이 든다. 하지만 주변을 살펴보면 의외로 다양한 공간에서 개성 있게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도 하늘 위에, 땅 아래에. 과감히 이곳을 보금자리로 택한 여섯 명의 사람을 만났다. 하루 종일 햇
- 2006년 6월호 천장 높은 메자닌 로프트 이제는 ‘국민 주택’의 표준이 되어버린 아파트. 하루가 다르게 쑥쑥 올라가는 아파트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모두가 이곳에 살고, 또 살아야만 할 것 같은 착각이 든다. 하지만 주변을 살펴보면 의외로 다양한 공간에서 개성 있게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도 하늘 위에, 땅 아래에. 과감히 이곳을 보금자리로 택한 여섯 명의 사람을 만났다. 하루 종일 햇
- 2006년 6월호 허드슨 강을 품은 뉴욕 펜트하우스 이제는 ‘국민 주택’의 표준이 되어버린 아파트. 하루가 다르게 쑥쑥 올라가는 아파트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모두가 이곳에 살고, 또 살아야만 할 것 같은 착각이 든다. 하지만 주변을 살펴보면 의외로 다양한 공간에서 개성 있게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도 하늘 위에, 땅 아래에. 과감히 이곳을 보금자리로 택한 여섯 명의 사람을 만났다. 하루 종일 햇
- 2006년 6월호 남자들이여,당신도 집안 꾸밈에 소질이 있다는 것을 아는가? 혹시 알아챘는지 모르겠지만, 최근 들어 <행복>에 소개되는 멋진 집의 주인이 혼자 사는 남자인 경우가 부쩍 늘어났다. 이번 호 인테리어 특집에 등장하는 여섯 집 역시 공교롭게 모두 남자들의 집이다. 요즘 남자들은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데 적극적이라고 하는데, 비단 외양뿐만이 아니었던 것이다. 어쩌면 남자들이 집안 꾸밈에 더 소질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동안
- 2006년 6월호 가볍고 실용적인 투명함, 아크릴 색채와 형태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고 비용도 저렴한 아크릴은 산업화 이후에 등장한 소재로, 카림 라시드와 필립 스탁 같은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즐겨 사용하기도 합니다. 최근의 아크릴 제품은 그 광택과 투명함이 유리에 가깝게 진화하고 있어 더욱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 2006년 6월호 선명하고 시원한 컬러의 향연, 유리 유리는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투명 소재입니다. 최근의 유리 제품들은 컬러와 형태가 한껏 다채로워지며 그 화려함을 뽐내고 있습니다. 특히 유리의 투명함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강한 컬러를 쓴 제품들이 눈에 띄네요.
- 2006년 6월호 차갑고 맑게 빛나는 크리스털 날씨가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시각적인 온도를 낮추어줄 시원한 소품들로 집안을 꾸며보면 어떨까요? 청량감을 느끼게 해주는 대표적인 소재라면 역시 크리스털, 유리, 아크릴, 비즈 등 투명하게 반짝이는 것들을 들 수 있겠지요. 올여름 우리 집을 시원하게 만들어줄 리빙 제품을 추천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