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년 6월호 천상에 사는 즐거움 Best 5 1 전망대에서 사는 기분을 만끽하라 하늘 위에 살고 싶은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백만 불짜리 전망을 독점할 수 있다는 것. 건물 맨 위층, 꼭대기의 로프트나 펜트 하우스가 비싼 이유는 물리적인 가치보다는 바로 이 전망의 가치 때문이다. 전망 있는 곳에 산다는 것은 그만큼 남보다 더 멀리, 넓게, 많이 볼 수 있다는 것. 하루 종일 집안에 있어도 사방에 볼
- 2006년 6월호 빌딩 숲 속의 옥탑 원룸 이제는 ‘국민 주택’의 표준이 되어버린 아파트. 하루가 다르게 쑥쑥 올라가는 아파트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모두가 이곳에 살고, 또 살아야만 할 것 같은 착각이 든다. 하지만 주변을 살펴보면 의외로 다양한 공간에서 개성 있게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도 하늘 위에, 땅 아래에. 과감히 이곳을 보금자리로 택한 여섯 명의 사람을 만났다. 하루 종일 햇
- 2006년 6월호 천장 높은 메자닌 로프트 이제는 ‘국민 주택’의 표준이 되어버린 아파트. 하루가 다르게 쑥쑥 올라가는 아파트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모두가 이곳에 살고, 또 살아야만 할 것 같은 착각이 든다. 하지만 주변을 살펴보면 의외로 다양한 공간에서 개성 있게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도 하늘 위에, 땅 아래에. 과감히 이곳을 보금자리로 택한 여섯 명의 사람을 만났다. 하루 종일 햇
- 2006년 6월호 허드슨 강을 품은 뉴욕 펜트하우스 이제는 ‘국민 주택’의 표준이 되어버린 아파트. 하루가 다르게 쑥쑥 올라가는 아파트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모두가 이곳에 살고, 또 살아야만 할 것 같은 착각이 든다. 하지만 주변을 살펴보면 의외로 다양한 공간에서 개성 있게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도 하늘 위에, 땅 아래에. 과감히 이곳을 보금자리로 택한 여섯 명의 사람을 만났다. 하루 종일 햇
- 2006년 6월호 남자들이여,당신도 집안 꾸밈에 소질이 있다는 것을 아는가? 혹시 알아챘는지 모르겠지만, 최근 들어 <행복>에 소개되는 멋진 집의 주인이 혼자 사는 남자인 경우가 부쩍 늘어났다. 이번 호 인테리어 특집에 등장하는 여섯 집 역시 공교롭게 모두 남자들의 집이다. 요즘 남자들은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데 적극적이라고 하는데, 비단 외양뿐만이 아니었던 것이다. 어쩌면 남자들이 집안 꾸밈에 더 소질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동안
- 2006년 6월호 가볍고 실용적인 투명함, 아크릴 색채와 형태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고 비용도 저렴한 아크릴은 산업화 이후에 등장한 소재로, 카림 라시드와 필립 스탁 같은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즐겨 사용하기도 합니다. 최근의 아크릴 제품은 그 광택과 투명함이 유리에 가깝게 진화하고 있어 더욱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 2006년 6월호 선명하고 시원한 컬러의 향연, 유리 유리는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투명 소재입니다. 최근의 유리 제품들은 컬러와 형태가 한껏 다채로워지며 그 화려함을 뽐내고 있습니다. 특히 유리의 투명함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강한 컬러를 쓴 제품들이 눈에 띄네요.
- 2006년 6월호 차갑고 맑게 빛나는 크리스털 날씨가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시각적인 온도를 낮추어줄 시원한 소품들로 집안을 꾸며보면 어떨까요? 청량감을 느끼게 해주는 대표적인 소재라면 역시 크리스털, 유리, 아크릴, 비즈 등 투명하게 반짝이는 것들을 들 수 있겠지요. 올여름 우리 집을 시원하게 만들어줄 리빙 제품을 추천해드립니다.
- 2006년 5월호 세라믹 디자이너 도미니크 크린슨의 제안 리빙페어의 가장 빛나는 부스는 다름 아닌 디자이너스 초이스. 정상급 디자이너가 트렌드의 가장 화두가 되는 주제를 가지고 저마다의 개성으로 공간을 연출, 관람객은 물론 각종 언론의 뜨거운 주목을 받는다. 올해의 주제는 ‘컨템포 코리아’. 패션 디자이너 장광효,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윤수, 세라믹 디자이너 도미니크 크린슨이 해석한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한국의
- 2006년 5월호 유쾌한 문구에서 형식을 깬 의자까지 스타킹, 털실, 탁구공, 아크릴, 고무…. 이번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의외의 소재들입니다. 젊은 디자이너들은 재활용 소재를 비롯한 신선한 재료를 과감히 선택했습니다. 물론 이를 더욱 빛내준 것은 그들의 참신한 디자인 감각이었습니다.
- 2006년 5월호 향수를 자아내는 복고풍 스타일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 레트로의 열풍이 여전히 식을 줄 모르고 있습니다. 70년대의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스타일은 촌스러운 듯 멋스러운 것이 오히려 더욱 앞선 감각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세련되고 매끈한 모던 가구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따뜻한 인간미를 전해줍니다.
- 2006년 5월호 아시아, 아프리카 대륙의 강렬한 제3세계 바람 2006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는 세계 각 지역의 개성이 담긴 가구와 소품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이국적인 스타일에 대한 열망은 중국, 중동, 아프리카 등 국경과 대륙을 초월한 새로운 디자인을 접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