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2010년 10월 오늘을 살라! (문정희 시인)

시인 문정희 씨의 첫 번째 글
“시인이 먹어야 할 음식은 고독이요, 시인이 마셔야 할 공기는 자유이다”라며 당당하고 뜨거운 혼을 가진 시인이 되려고 했었다. 그러나 그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자주 실감하곤 한다.
최근 한 시 낭송 행사의 무대에 선 나의 모습을 누군가 카메라로 찍어서 보내준 사진을 보고, 순간 가슴이 서늘해지는 것을 느꼈다. 머플러를 자연스럽게 두르고 서 있는, 제법 잘 나온 사진이었다. 그러나 사진 속의 나는 끝내 떨쳐버리지 못한 범속한 욕망을 열정이라는 이름으로 감싸고 서 있는 산만한 요즘 사람일 뿐이었다.
자유롭기는커녕 나만의 내밀한 밀실을 상실한 채 시간의 속도 속에서 전전긍긍하고 있는 것이었다.


지난여름 동안, 이 가을에 새로 나올 시집을 묶으면서 절절히 느낀 것도 바로 그것이었다. 시집 제목을 <다산 多産의 처녀>라고 붙인 것까지는 그럴듯했다. 생명과 창조로 가득한 대지모 大地母의 이미지를 노래하고 싶었고, 마지막 한 방울까지 쥐어짜듯이 쓰고 또 고쳤으므로 그것 또한 시인으로서 축복이었다. 나는 쓴다! 그것이 즉 나의 성공이요, 존재의 전부 아닌가.
그런데 출판사의 형식을 따른 것이라고는 하지만 나는 이 시집에다 권위 있는 평론가의 해설을 붙이고 뒤표지를 후배 시인의 찬사로 장식하면서, 속으로 더욱 흡족해하는 자신을 발견했다.
아직도 이런 치장을 해야만 나의 시가 돋보인다고 생각하는 스스로가 실망스러웠다. 자신의 평가를 남에게 맡기는 어리석음이라니….

“행복의 척도는 자신이 이룬 것을 증명할 필요가 없는 경지에 이를 때까지 이기적인 자아를 제압할 능력의 정도에 달려 있다”라는 말을 한 것은 시인 알렉산더 포프 Alexander Pope였다. 그것은 감사나 찬사가 필요 없는 상태에 머물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한다. 즉 다른 사람의 의견이 좋다고 해서 거기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아직 큰 바다가 어딘지도 모르는 눈먼 물고기에 불과했다. 마른 땅 위에서 퍼덕이는 물고기처럼 서로의 침으로 서로를 적셔주며 겨우 생명을 유지하는 시간 속의 어린 존재인 것이다.
인간이 제대로 산다는 것은 이리도 어렵기만 한 것일까?
멕시코시티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는 화가 프리다 칼로 뮤지엄에 갔을 때였다. 원색의 꽃으로 만발한 그 집에는 그녀가 생전에 입은 레이스 드레스를 비롯하여 찻잔과 가구들이 잘 비치되어 있었다. 격정적 사랑, 상처와 고통으로 가득했던 예술가의 생애는 한마디로 슬프고 아름다웠다. 하지만 이 집 어디에도 그녀는 없었다. 방마다 문을 열고 찾아보았지만 오직 무상 無常이 전부였다.

멕시코 유수의 박물관에, 기념품 가게에도 그녀의 그림이 있다지만 그게 그녀와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어느 나라 방송국이 와서 그녀의 삶과 예술을 조명하고 관광객들의 호기심이 끝없이 밀려든다 한들 그것은 오로지 그들의 일인 것이다.
나는 물었다. 교통사고로 으깨어진 몸을 감싸던 철제 코르셋 속의 아픔과 그 많던 눈물은 모두 어디로 갔는가.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고? 그때 기둥마다 걸려 있는 해골 인형들이 깔깔 웃으며 소리 질렀다.
“어제는 지나갔고 내일은 알 수 없다. 오늘을 살라!”고 다그쳤다.
인생이건 예술이건 짧고 긴 것은 내가 재는 것이 아니었다. 짧은 것은 나쁘고 긴 것이 꼭 좋은 것도 아니었다.
갈등과 모순이 생의 내용이고, 살아 있는 시간이 즉 행복인 것이다. 나의 소관도 아닌 서투른 계산에서 벗어나는 지점에서야 내가 그토록 갈구하던 내밀한 고독과 눈부신 자유가 펼쳐지는 것이다.
바람 속에 나는 다시 날개를 펼치었다. 다만 불새로 활활 타오르기 위해.


문정희 선생의 시는 내게 ‘뜨겁고 순정하고 깊은’ 것으로 남아 있습니다. 청춘의 날에 그의 시집 <찔레> <오라, 거짓 사랑아> 등을 옆구리에 비수처럼 끼고 다닌 문청 文靑이라면 이 이야기를 금세 이해할 것입니다.
거침없는 시어로 선명한 목소리를 내는 그의 시엔 알몸, 유방, 항문 같은 단어가 예사로 등장했고, 생명의 열기와 관능이 들끓고 있었지요. “영감이 떠올라서 써대는 시는 없다. 시는 모두 경험이고 노력이고 시간”이라 말하는, 그래서 더 뜨겁고 순정하고 깊은 시인. 그가 석 달동안 <행복> 독자에게 ‘정말 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일까요? 그 시작은 ‘갈등과 모순이 생의 내용이고 살아 있는 시간이 즉 행복’이라는 화두입니다.
오늘 하루, 이 문장을 찬찬히 곱씹어보세요. 당신의 행복은 바로 오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