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어머니를 비롯해 주변에서 고혈압으로 고생하는 분들을 많이 봤습니다. 그러다 문득 고혈압에 좋다고 알려진 퉁퉁마디에서 소금 성분을 추출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거죠. 퉁퉁마디는 식용작물 중 유일하게 짠맛을 내지요. 사탕수수에서 설탕을 추출해 먹는 것처럼 퉁퉁마디에서 소금 성분을 추출하면 되겠다는 힌트를 얻었지요.”
(왼쪽) 퉁퉁마디 일명 ‘함초’라고 하는 염생식물로 세상에서 가장 짠 식용작물. 간척지, 폐염전, 바닷가 등 우리나라 서해안의 고염 지역에서 바닷물에 녹아 있는 미네랄을 먹고 자란다. 최근 고혈압, 심장병 등 심혈관계 질환과 당뇨병, 변비 등에 효능이 있는 작물로 주목받고 있다.

무엇보다 전북대학교 기능성 식품 임상시험 지원센터(센터장 채수완 교수)의 전임상시험 결과가 눈길을 끈다. 연구팀은 정상 모델과 본태성 고혈압 모델 생쥐를 대상으로 ‘정제염 섭취군’과 ‘파이토솔트 섭취군’, ‘대조군’ 등으로 나눠 4주간 실험한 결과, 정제염 섭취군은 정상 모델과 본태성 고혈압 모델 모두 혈압이 높아졌지만, 파이토솔트 섭취군은 두 모델 모두 혈압 상승이 억제됐다고 밝혔다. 특히 본태성 고혈압 모델도 파이토솔트 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해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이렇게 혈압 상승이 억제된 것은 유기 미네랄 성분의 식물소금이 체내의 나트륨 배설을 촉진시켰기 때문이다.
1 김득회 씨의 이력은 전방위적이다.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미국 휴스턴 대학원에서 인테리어 디자인으로 MFA 학위를 받고 미국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정책비서관과 부속실장을 지냈고, 이후 회계법인에서 컨설팅을 담당했다. 최근 세계 최초로 식물소금을 개발했다.
2 파이토솔트의 원재료인 말린 함초.
3 열수 추출기로 얻은 함초 농축액.
4 파이토솔트는 나트륨 함량은 낮고 칼륨을 비롯한 90여 종의 미네랄,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또한 천연의 글루탐산이 다량 함유돼 감칠맛이 난다.
“소금 성분 중에서 칼륨 성분이 특히 중요합니다. 칼륨의 역할 중 하나가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이죠. 바닷물에는 나트륨과 칼륨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중 나트륨 대 칼륨의 함량 비율이 25:1입니다. 천일염은 이 비율이 100:1, 그리고 파이토솔트는 5:1입니다. 퉁퉁마디의 나트륨 대 칼륨 함량 비율도 거의 5:1이지요. 고생대부터 생존해온 퉁퉁마디는 살아남기 위해 바닷물 속의 나트륨 흡수는 최대한 억제하고 칼륨은 최대한 흡수하는 식물 고유의 신진대사를 통해 완벽한 ‘미네랄 밸런스’를 이루어놓았습니다. 제가 개발한 식물소금은 미네랄 밸런스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자신을 ‘고혈압 없는 세상을 꿈꾸는 소금 장수’라고 말하는 김득회 대표. 파이토솔트의 특징 중 하나는 미네랄과 유기 영양소의 비율을 조절해 다양한 염도(50~90%)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 연말쯤 대량생산하여 판매할 예정.
문의 063-270-4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