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을 둘러싼 다채로운 이야기로 구성한 전시 <쌀의 직조>. 산업화를 통해 우리 삶에서 멀어진 짚공예를 재발견하는 기회다.
<쌀의 직조:The Texture of Rice>
기간 9월 26일(금)~11월 30일(일)
장소 신세계백화점 본점 더 헤리티지 5층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
벼의 이삭인 쌀은 오랫동안 우리 삶과 함께해왔다. 밥이 되어 한 끼를 든든하게 채워주고, 떡이나 술이 되어 흥겨운 자리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으며, 추수 후 남은 볏짚은 집과 살림살이가 되어 우리 일상을 따뜻하게 감싸주었다. 쌀과 볏짚은 단순한 곡식이 아니라 풍요와 삶의 지혜를 담아낸 문화의 원천으로, 우리에게 풍요로움을 선물해왔다. 신세계백화점 본점 더 헤리티지 5층에서 9월 2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열리는 <쌀의 직조: The Texture of Rice>는 쌀을 둘러싼 다채로운 이야기를 펼치는 전시다. 한국인의 삶을 지탱해온 벼와 짚공예의 가치, 그리고 이로써 뻗어나간 일상 전반의 문화를 소개하며 헤리티지를 이어가는 장인 정신을 통한 다양한 공예적 발견을 끌어낸다.
이번 전시는 협동조합 느린손, 김준환, 황정화, 김태연, LAB316, 파블룹, 김정옥, 칠량옹기가 참여했다.
전통을 잇고 현대 생활을 엮다
이번 전시는 하우스오브신세계가 지금껏 연구해온 쌀의 이야기를 한자리에 모았다. 먼저 짚풀 공예를 지켜온 장인들의 작업은 전시의 뿌리를 단단히 잡아준다. 마을 주민과 함께 짚공예를 다시 일상으로 불러들이고 있는 협동조합 느린손, 자연 재료를 정직한 손길로 엮으며 짚풀 공예의 맥을 잇고 후대를 양성하는 김준환 명장, 토종 볏짚을 중심으로 전통 공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오늘의 공예로 맥을 잇는 황정화 작가가 그 주인공이다. 동시에 전통을 현대 언어로 재해석해내는 작가들은 전시에 또 다른 켜를 만들어낸다. 김태연 작가는 버려진 비닐봉지를 실 삼아 다시 직조하고, 새로운 직물로 되살리며 새 생명을 부여한다. 이번 전시에도 비닐 쌀 포대를 해체해 다시 직조해낸 작품과 술병 망태를 재해석한 작품을 선보인다. 실과 매듭으로 직물을 만들어 지속 가능한 아이템을 선보이는 브랜드 파블룹fabloop(fabric과 loop의 합성어)을 운영하는 이준아 작가와 익숙한 재료에서 의외성을 이끌어내는 LAB316의 작업은 전통 공예 정신을 현대 우리의 일상 속으로 불러들이며 독창적 작품 세계를 구현한다. 한편 오랜 세월 벼로 시작된 다양한 먹거리를 담아낸 그릇은 소중한 사람에게 귀한 마음을 전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기도 한다. 전남 강진군 칠량면에서 국가무형유산 옹기장 정윤석 장인과 이수자 정영균이 3대째, 여전히 숨 쉬는 문화유산을 이어가고 있는 칠량옹기는 뛰어난 기능성과 조형미를 갖춘 생활 옹기를 선보인다. 자연에서 영감받은 형태와 색감을 작품에 담아내는 도예가 김정옥은 전통 분청사기의 박지문 기법을 현대적으로 풀어내 소박하면서도 깊은 아름다움을 전한다.
이번 전시는 협동조합 느린손, 김준환, 황정화, 김태연, LAB316, 파블룹, 김정옥, 칠량옹기가 참여했다.
쌀은 우리의 식탁을, 짚은 우리의 삶터를 지탱해왔다. 다 쓰고 나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짚은 가장 친환경적 재료이자 삶의 지혜가 담긴 문화다. 하우스오브신세계는 작품에 담긴 소중한 가치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 전시 공간을 노랗게 물들이며 가을 정취를 담아냈다. 모두가 장인이 되어 짚을 정리하고 새끼를 꼬던 시절, 일상과 작업이 공존하던 마루의 기억을 재해석한 공간도 눈길을 끈다. 한국의 좌식 문화를 그간 새롭게 선보이던 공간이 이번엔 짚 문화를 품고 다시 태어난 것이다. 추수를 앞둔 황금빛 논을 산책하듯, 쌀이 주는 풍요로움과 가을 정취를 신세계백화점 본점 헤리티지에서 천천히 음미해보는 건 어떨까. 장인의 손길을 통해 표현되는 소박한 아름다움부터 정교하면서도 섬세한 아름다움을 소개하는 하우스오브신세계의 에디션을 통해 수확에 담긴 풍요의 의미까지 두루 나누길 기대한다.
<행복> 10월호를 통해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E-매거진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