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7월의 행복론] 멜랑콜리 맨
친구가 묻는다. “넌 무슨 재미로 사니?” “글쎄… 우울한 재미?” 맞다. 난 ‘우울한 재미’로 산다.
혼자 밥을 먹고, 매사에 불만이 많고, 비 오는 날을 좋아한다. 19세기 작가들처럼 결핵에도 걸렸었다.
고대 생리학에 따르면 인간의 체내에는 네 가지 체액이 흐른다. 혈액, 점액, 담즙, 흑담즙.
이 이론에 따르면 네 가지 체액의 배합 정도가 사람의 체질이나 개성을 결정한다.
다른 체액보다 흑담즙이 많은 사람에게는 우울한 기운이 짙다. 우울을 뜻하는 그리스어
‘멜랑콜리 melankholia’ 도 ‘멜라스 melas(담즙)’와 ‘콜레 khole(검은색)’의 합성어에서 비롯되었다.
흑담즙 우위형 인간, 즉 ‘멜랑콜리 맨’은 지극히 주관적이고 인내심이 강하며 창조적이어서
예술가나 사색가, 종교인, 도덕가가 많다. 하지만 20세기 말,
결핵이라는 ‘낭만적 질병’이 급격히 사라지면서 ‘멜랑콜리 맨’ 또한 멸종 위기에 처했다.
한 여론조사 기관에 따르면 미국인들의 85%가 ‘나는 매우 행복하다’거나 ‘그럭저럭 행복하다’고 느낀다.
문학과 심리학의 관계를 주로 다루는 작가 에릭 G. 윌슨은 그의 저서 <멜랑콜리 즐기기>에서 이렇게 말한다.

“미국인들은 행복에 대한 강박관념 때문에 우울증 따위는 불필요한 맹장처럼 도려내려고 한다.
그 결과 인류의 창조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멜랑콜리마저도 멸종 위기에 놓이게 된 것이다.
이런 움직임은 지구온난화 같은 생태학적 위기, 핵무기 확산 같은 디스토피아적 상황 못지않게 위험하다”.


멜랑콜리가 멸종 위기를 맞은 건 인간이 행복을 정복하려 들기 때문이 아닐까.
지독한 부부 관계, 고달픈 직장 생활,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행복해야만 하는
당위성에 사로잡혀 ‘행복하기 위한 연극’의 주인공을 자처하고 있는 것은 아닐는지.
하지만 우리는 이 문제에 있어 정직해야 한다. 직장 상사와 점심을 먹을 때,
가족 동반 해외여행을 떠날 때 당신은 진정으로 행복한가?
그것이 당신의 삶을 지탱해줄 만큼 커다란 기쁨을 가져다주는가?
아마도 그건 아닐 것이다.
결핵이라는 멜랑콜리를 겪으면서 나는 행복했다.
미국의 예술평론가인 수전 손태그가 지은 <은유로서의 질병>을
옆구리에 끼고 다니며 결핵으로 생을 마감한 예술가들의
이름을 종이에 적어 외우고, 그들의 작품을 하나하나 찾아 읽었다.
그 재미에 빠져 약으로 인한 육체적 고통이나 심리적 불안도 잊었다.
그 오롯한 심연은 나를 건강한 인간으로 만들어주었다.
스물아홉의 고비를 멜랑콜리로 극복한 후에야 깨달은 것이다.
적당한 우울을 달고 사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라는 것을.

* 이 작품은 사진작가 정창기 씨의 꽃 연작 ‘어둠 속에 피어나는 빛’입니다. 실처럼 가느다란 줄기로 삶을 지탱하는 ‘양귀비 poppy’의 모습이 멜랑콜리를 자극합니다. 슬픔 속에 행복이 피어납니다.

정세영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0년 7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