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노영희의 철든 부엌 여름이 드는 밥상
여느 때보다 변덕스러운 날씨의 봄이건만 절기는 단골손님처럼 때맞춰 옵니다. 입하立夏를 맞으면 봄이 물러가고 여름에 접어들지요. 이즈음이면 여름 작물이 자리 잡아 열무며 오이로 김치를 담가 먹고, 통통하게 살이 오른 꽃게는 별미로 즐기기 좋답니다. 밥상에 철마다 바뀌는 자연의 기운을 올려보세요. 자연이 베푸는 축복이 음식에 고스란히 들어 있답니다.


5월은 입하로 시작한다. 입하는 보통 어린이날 무렵으로, 올해는 때가 같다. 이름 그대로 ‘여름에 드는’ 시기로 서리가 사라지고 초여름 날씨가 이어지니 이즈음에는 비닐하우스에서 가꾸던 모종이 모두 텃밭으로 자리를 옮긴다. 곡우 때 장만해둔 못자리도 뿌리를 내려 자리를 잡고 바야흐로 농번기에 접어든다. 1년 중에 농민들이 손꼽는 고된 시기가 이때인 것. 논에서 종일 허리를 숙이고 모를 내는 일이 여간 힘든 노동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추, 고추, 가지, 오이, 애호박 등이 텃밭에 늘 푸르게 자랐으니 반찬거리 걱정 없이 끼니를 푸짐하게 즐길 수 있는 때이기도 하다. 어릴 적에도 이즈음부터 끼니때마다 밭에서 채소를 뜯어다 반찬거리를 풍성하게 올리던 엄마 모습이 눈에 선하다. 내게 입하가 밥상을 푸르게 만드는 ‘푸성귀 철’인 이유다. 열무며 오이로 담가 아삭한 맛이 일품인 여름 김치도 이즈음부터 즐겼다. 밥심으로 사는 한국 사람에게 밥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김치 아니던가. 밥상 위에 오른 김치를 보면 철이 바뀐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1년 내내 맛있는 김치만으로도 아쉬운 줄 몰랐다.

그중에서도 열무김치는 비빔밥, 국수 등 별미로도 즐겨 다양하게 먹었다. 열무김치를 담글 때는 엄마 곁을 지키고 앉아 있기도 했다. 국물에 넣을 밀가루 풀 때문인데, 삼베 보자기에 넣고 물에 담근 뒤 주물럭거리는 모습이 마치 재미있는 놀이 같았다. “여름 김치엔 밀가루 풀을 넣고, 겨울 김치엔 찹쌀 풀을 넣어야 한다.” 음식맛을 재료에 맞게 제대로 내려면 환경에 따라 방법이나 재료를 달리해야 한다는 말씀은 지금도 음식 만들기를 업으로 삼은 사람으로서 원칙으로 지키고 있다. 요즘처럼 냉장고도 흔치 않고, 김치냉장고는 없던 시절이었으니 ‘다라이’라고 부르던 아가리가 넓게 벌어진 둥글넓적한 그릇에 찬물을 가득 붓고 여름 김치가 든 옹기 항아리를 담가놓아 김치가 빨리 시지 않게 하던 기억도 어렴풋하다.

김치가 소박한 일상식으로 계절을 느끼게 해주었다면 별미로 즐기던 제철 음식은 밥상을 화려하게 해주었다. 이즈음에 제일 인기인 음식은 단연 간장게장이었다. 애호박을 숭숭 썰어 넣고 고추장을 풀어 끓인 꽃게호박지짐이도 아버지가 좋아하셨기 때문에 종종 별미로 맛볼 수 있었다. 꽃게가 워낙 발라 먹기 어려운 음식인지라 어릴 적에는 어른이나 즐기는 음식처럼 여겨졌지만 통통하게 오른 살의 쫄깃한 식감과 감칠맛은 입안에 호사였다. 그 맛 때문에 이즈음이면 한식당에서도 간장게장을 내는데, 등딱지를 그릇 삼아 살을 잘 발라서 먹기 좋게 담아낸다. 음식을 공부하면서 그 맛의 매력에 반한 승기악탕勝妓樂湯도 이즈음에 빼놓지 않는 메뉴다. ‘맛이 매우 뛰어나(勝) 기녀(妓)와 음악(樂)보다 더 낫다’는 뜻으로 ‘승기악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숭어 또는 도미, 조기 등에 간장을 한 번 바른 후 구워 냄비에 담고 쇠고기와 여러 가지 채소, 고명을 함께 넣어 육수를 부어 끓인 음식으로, 나는 주로 도미를 넣어 만든다. 살이 덜 부서져 깔끔하게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깊고 시원한 국물 맛이 일품이라 나중에 국수나 흰떡을 넣어 먹기도 한다. 손이 많이 가지만, 반할 정도의 맛을 지닌 음식을 선보이는 것도 음식을 통한 호사 중 하나일 터. 여기에 철 따라 먹는 일은 호사의 극치라 하겠다.



간장게장
재료(4~5인분)
꽃게 1~1.5kg(3~5마리), 진간장 3컵, 참치액 1/4컵, 맛술·청주·매실청 1/2컵씩, 깻잎 5~6장, 레몬 슬라이스 1/3개분
국물 북어 대가리 2개분, 게 다리(3~5마리분), 대추 10개, 마른 고추 2개, 대파 1대, 양파 200g, 쪽마늘 80g, 저민 생강 40g, 감초 5g, 다시마 10cm 1장, 통후추 1큰술, 물 10컵
만들기 1 꽃게는 솔로 깨끗이 씻어 등딱지를 떼어낸 다음 등딱지 속의 모래주머니와 몸통에 붙어 있는 부채 모양의 아가미를 떼어낸다. 게 다리는 반 정도 잘라낸다. 밀폐 용기에 손질한 게를 차곡차곡 담아서 냉동실에 1시간 정도 넣어두었다가 꺼낸다. 그래야 먹을 때 살이 잘 발라진다.
2 냄비에 ①의 손질한 게 다리와 분량의 국물 재료를 넣고 물 10컵을 부어 센 불에 올린다. 우르르 끓으면 중간 불로 줄이고 국물이 반으로 될 때까지 조린 다음 체에 밭쳐 국물을 5컵 정도 준비한다.
3 냄비에 ②의 국물과 참치액, 맛술, 청주, 매실청을 붓고 센 불에 올린 뒤 끓어오르면 중간 불로 줄여 5분 정도 끓이다가 레몬 슬라이스와 깻잎을 넣은 뒤 불을 끄고 식힌 다음 체로 국물만 밭는다.
4 밀폐 용기에 게를 등이 밑으로 가게 담은 뒤 진간장을 부어 냉장고에 넣고 2~3일 정도 숙성시킨다.

꽃게호박지짐이
재료(4인분)
꽃게 500g(2마리), 애호박 1개, 새송이버섯 100g, 대파 1대, 풋고추·홍고추 1/2개씩
국물 쌀뜨물 4컵, 고추장·된장 2큰술씩, 다진 마늘 1큰술, 후춧가루 약간
만들기 1 애호박은 3cm 길이로 토막 내서 길이로 썰어 씨 부분을 발라낸다. 버섯은 씻어서 길이로 굵게 찢고, 고추와 대파는 어슷하게 썬다.
2 꽃게는 솔로 깨끗이 씻어 손질한 뒤 1마리를 6등분한다.
3 냄비에 쌀뜨물을 붓고 나머지 국물 양념을 푼다. 여기에 ①의 채소를 넣고 끓이다가 꽃게를 넣고 끓인다.

승기악탕
재료(4인분)
도미(혹은 숭어) 50g 짜리 4토막, 무·숙주 80g씩, 표고버섯 60g, 당근 40g, 미나리 30g, 쇠고기 육수 6컵, 소금·후춧가루 약간씩, 달걀지단(고명용) 적당량.
유장 진간장·국간장·청주 1/2큰술씩, 생강 5g, 후춧가루 약간
양념장 국간장 2큰술, 설탕·다진 파 1큰술씩, 다진 마늘 1/2큰술, 참기름 1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만들기 1 도미(혹은 숭어)는 껍질 쪽에 5mm 간격으로 칼집을 낸다.
2 분량의 재료로 유장을 만든 뒤 ①의 생선에 고루 발라 달군 팬에 지진다.
3 무는 폭 1cm, 길이 3cm, 두께 3mm 크기로 썬다. 당근도 같은 크기로 썰고, 표고버섯은 납작하게 썬다. 양념장을 만든 뒤 채소를 각각 무친다.
4 숙주는 머리와 꼬리를 떼어내고 데쳐서 식힌 뒤 소금과 후춧가루로 양념한다. 미나리는 4cm 길이로 썬다.
5 냄비에 육수를 붓고 ③의 무와 당근을 넣고 끓이다가 무가 익으면 ②의 생선 지진 것과 표고버섯을 넣고 한소끔 끓인다. 여기에 ④의 채소를 넣고 좀 더 끓여서 간을 맞춘다. 그릇에 담은 뒤 달걀지단을 얹어 장식한다.

열무김치
재료
열무 1묶음(절여서 물기 뺀 것 750g), 굵은소금 1/2컵, 쪽파 10뿌리
밀가루 풀 밀가루 1큰술, 물 1컵
양념 홍고추(씨 뺀 것) 100g, 양파 1/4개, 마늘 6쪽, 생강 1톨, 멸치 액젓(혹은 까나리 액젓) 1/4컵, 설탕 2큰술, 소금 약간
만들기 1 열무는 뿌리를 잘라낸 뒤 길게 그대로 씻어서 굵은소금을 뿌려 30분 정도 절인 다음 물에 살살 헹궈 건져 물기를 뺀다. 마구 주물러 씻으면 풋내가 나므로 주의한다.
2 냄비에 분량의 물을 붓고 밀가루를 넣은 뒤 약한 불에서 저어 풀을 쑨다.
3 홍고추는 길이로 반 갈라서 숟가락으로 긁어 씨를 빼내고 적당한 크기로 썬다. 믹서에 양파, 마늘, 생강, 액젓을 넣고 갈다가 고추를 넣고 굵게 간다. 볼에 쏟아 설탕을 섞는다.
4 ①의 열무에 ②의 밀가루 풀과 ③의 양념을 넣고 살살 버무린 다음 소금으로 간을 맞춰 김치통에 담고 비닐을 덮어서 뚜껑을 덮는다. 어느 정도 익으면 냉장고에 넣고 먹을 때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그릇에 담는다.



요리 노영희(스튜디오 푸디)

구술 정리 신민주 기자 | 사진 김용일 기자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2년 5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