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말의 뜻을 안다는 것은 그 기원과 변화 과정을 알고, 지금의 현상을 안다는 의미입니다. 세계를 이해한다는 뜻입니다.
지금 한국에는 ‘주거 문화’만을 다룬 사전이 없습니다. 박물관에서 펴낸 〈한국의식주생활사전〉 등속이 있지만 민속학적으로 접근하거나, 어원의 정리 해설에 치우친 경우가 많죠. 〈행복〉이 창간 38주년을 기념하며 ‘한국주거문 화사전’을 선보입니다. 한국인의 생활 속에서 발생, 변화, 발전한 주거 문화의 면면을 ‘사전’이라는 집약적이며 직관적이고 함축적인 형태로 편집했습니다. 정해진 규칙에 맞춘 배열, 가지런한 형식미, 풍부한 근거 자료로 신뢰감을 높였습니다.
본디 사전은 원고 집필자와 편집자, 감수자만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사용자를 포함해 많은 사람의 지혜가 집약되 어야 한 권의 사전이 완성됩니다. 그 또한 긴 시간에 걸쳐 다듬어져야 하고요. “죽은 이와 이어지고 아직 태어나지 않은 이들과 이어지기 위해 사람은 말을 만들었다”는 사전 편집자의 말(〈배를 엮다〉)이 깊이 이해될 수밖에 없습 니다. 1987년 창간 이후 〈행복〉이 한국의 주거 문화에 몰두한 시간과 그 압축된 결과물을 ‘사전’이라는 형태로 묶고자 한 이유가 그것입니다. 과거를 박제하는 것을 넘어 요즘 떠오른 이슈, 앞으로의 예측 등도 함께 담았습니다.
Dictionary 〈행복〉이 정의한 ‘한국의 주거 문화’
일러두기
* 표제어는 ‘ㄱ ㄴ ㄷ’ 순으로 배열했습니다.
* ‘주거 형태’ ‘공간’ ‘살림살이’ 등 범주별로 찾아 읽어도 좋습니다.
* ‘오늘의집’ ‘배달의민족’처럼 특정 브랜드가 해당 산업을 대표하는 용어로도 쓰이는 경우는 브랜드명을 표제어로 삼았습니다.
주거 형태
5도2촌, 국평, 다가구주택 & 다세대주택, 도시 한옥, 반지하, 슬세권, 잠실 아파트, 전세, 집장사, 하이퍼엔드 레지던스
공간
남향집, 다용도실, 시스템 키친, 아이 방=공부방, 중문, 한국식 욕실, LDK
마감과 설비
도배, 온수 매트, 이중창, 체리색 몰딩, 층간 소음
살림살이
10자 장롱, 김치냉장고, 등받이 소파, 로봇 청소기 이모, 반려 TV, 상, 안마 의자, 이부자리
인테리어
북유럽 인테리어, 집 꾸미기 앱, 홈 ○○
기타
배달의 민족, 부동산, 집들이, 커뮤니티 센터, 행복이 가득한 집
Brand Story LX하우시스, 한샘, 알로소
<행복> 9월호를 통해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E-매거진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