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2020년 5월 행복은 생각하기 나름이 아니다

친구가 사업을 시작한다기에 열렬히 응원했다. 새 인생을 축하하며 소주 한잔도 기울였다. 2020년을 예측하는 책들을 모조리 읽었다는 친구의 자신감 넘치는 모습이 기억난다.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모두가 짐작하는 대로다. 트렌드 분석 전문가들이 일언반구조차 하지 않은 상황 앞에 배는 침몰했다. 몇 명의 직원이 “아무것도 안 하면서 월급 받는 게 미안하다”면서 자진 퇴사를 했을 정도다. 친구는 소상공인 특별 대출을 받기 위해 새벽 1시부터 대기하고 있는 사진을 내게 보냈다. 차마 “어떻게든 버티라”라고 말할 수도 없었다. 

 

초유의 일이다. IMF 외환 위기 때보다 후유증이 심할거라는 분석이 여기저기서 등장한다. 신호는 이미 감지된다. 구조 조정으로 해고되고 아이 돌봄 문제로 경력이 단절되었다는 사람이 여럿이다. 외부 충격은 고스란히 내부로 전달된다. 예민해진 사람들이 거리두기조차 불가능한 좁은 집에서 매일 부대끼니 어찌 시한폭탄이 터지지 않겠는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정 폭력은 증가했고 아동 학대 신고는 급증했다. 이미 여러 가정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1997~1998년에도 그랬다. 전무후무한 국가부도 위기를 겪으며 사람들은 인생의 패러다임을 송두리째 바꿨다. 어떻게든 나부터 살고 보겠다는, 오직 각자도생各自圖生의 철학만이 모든 분야를 지배했다. 부동산 투기는 투자가 되었고 조기교육은 적기 교육으로 둔갑했다. 인간에겐 돈 외의 가치가 있음을 알려준 인문학은 돈이 안 된다는 오명 속에 퇴출당했다. 욕망의 컨베이어 벨트는 일부의 성공 사례로 대중을 유혹하는 ‘자기 계발’이란 윤활유를 연료로 맹렬히 움직였다. 그 결과, 행복도 ‘쟁취’의 대상이 되었다. 다른 말로, ‘불행을 이겨내지 못한 자’가 행복을 운운하는 건 노력하지 않는 자의 도둑놈 심보로 취급당했다. 

 

지금도 그럴 조짐이 보인다. “위기를 기회로”라는 말에 익숙한 사람들의 무용담 대잔치가 여기저기서 등장하고 있다. 집에서도 운동을 멈추지 않았다, 집필에 전념했다, 1인 방송에 뛰어들었다 등등 자신은 모두에게 주어진 ‘같은’ 시간을 ‘다르게’ 사용했다면서 자랑하기 바쁘다. 자화자찬으로 끝나면 다행이다. 하지만 ‘그럴 수 있는’ 조건을 쏙 빼버린 개인의 경험담이 인생의 진리처럼 포장되면 ‘불가능은 없다’는 무례한 결론이 도출된다. 긴 터널 속에서 휘청거리는 사람들이 농락당하는 판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행복과 노력을 결부하면 위험하다. 특히, 사회가 흔들릴 때의 이런 조합은 ‘넘어진 사람’의 뒤통수를 가격하는 부메랑에 불과하다. 우리는 결코 공평하게 위기에 처하지 않았다. 불행은 가장 아래에서 고군분투하는 사람의 삶부터 야금야금 씹어 먹는 굉장히 정직한 녀석이다. 그러니 “행복은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말은 위험하다. 내가 친구에게 별 말도 하지 못한 이유다. 덜 비틀거릴 사회를 만드는 것만이 행복한 사람이 늘어나는 유일한 방법이다. 

 


3월 초 코로나 포비아가 맹렬해질 즈음 오찬호 님이 신문에 기고한 ‘우리는 더 위태로워질 것이다’라는 글을 읽으며 탄복했다면, 이 글도 스크랩하셔야 합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어쩌다 어른>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등에 출연해 ‘불평불만 투덜이 사회학자’라는 타이틀을 얻은 그는 세상이 좋은 쪽으로 변화하기 위해 ‘유쾌한 염세주의자’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2년간 여러 대학에서 사회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대통령을 꿈꾸던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나는 태어나자마자 속기 시작했다> 등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민낯을 고발하는 여러 책을 썼습니다. ‘실천 인문학’이라는 부제를 단 <하나도 괜찮지 않습니다>는 국립중앙도서관 추천 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글 오찬호(사회학자) | 담당 최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