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무언가를 소망하며 살잖아요. 그렇게 추구하고 이루고자 하는 모든 것이 맺힐 수 있는 나무라고 상상하며 그렸어요. 그 나무에서 열린 황금 열매는 사람마다 다르겠지요. 이렇게 꿈이 알알이 여무는 나무 아래 잠시 쉬었다 갈 수 있다면 어떨까요? 단꿈이나마 참 아늑하고 편안하겠지요.” 많은 동물 중 염소가 등장한 사연을 묻자 그는 “염소는 내가 아는 동물 중 가장 순한 동물”이라 답한다. 나무 아래에서 괜히 자존심 내세우거나 성질부리지 말고, 마음껏 쉬다 가기를 바란다는 작가의 위트가 아닐까 싶다.
박정민 씨의 최근 작품에는 나무가 자주 등장한다. 나무는 자연의 생명력을 온몸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싹이 움트고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히는가 하면 잎을 떨어뜨린 뒤 얕은 호흡으로 겨울을 견뎌낸다는 점에서 그렇다. 자연의 일부인 사람과 동물도 자연과 같은 생명력으로 충만한 상태를 가장 좋아한다는 그는 그 생명력을 추적하다 보니 나무에 이르게 되었다고 말한다. 생명력을 어떻게 정의하느냐는 물음에 그는 “동어 반복 같지만, 있는 그대로 자연스러운 기운”이라고 답한다.
좀 모호하다면 자연스러운 기운이 넘치는 그의 화폭 속으로 들어가보자. 나무가 우거진 숲의 어느 한쪽에 하늘을 나는 기이한 새가,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가, 그리고 애틋하게 서로를 바라보는 연인이 있다. 각 요소의 자유분방한 동세만큼이나 눈길이 가는 것은 색이다. 원색의 향연이다. “요즘 가장 아름답다고 여기는 색이 자연의 색이에요. 자연의 색은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것 같아요. 그럼에도 자연의 색을 구현하려다 보니 원색을 찾게 되었어요.”
1 키아프 전시회에 출품된 자신의 작품 ‘해바라기(내 어머니의 자장가)’(2006) 옆에 선 화가 박정민 씨.
2 ‘깊은 숲 속’(2006)
3 ‘언덕에서(사랑은 긴 기다림)’(2006)
박정민 씨에게 그림이란 ‘색의 예술’이다. “저는 그림을 그릴 때 색이 주는 느낌을 즐기려고 해요. 생소하게 들리겠지만, 저는 형태를 구상할 때도 그 색이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 형태를 택해 그립니다. 그러니까 형태란 색과 색이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실루엣이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의 그림에서 나무나 사람, 동물 등의 형태가 단순한 것도 그 때문이다. 그는 색과 색이 맞물릴 때의 아름다운 어울림을 추구하기 때문에 형태가 자세하거나 복잡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색이란 제 작품의 전부라고 해도 틀리지 않아요. 그래서 색을 쓰는 감각에 따라 제 작품이 계속 달라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리고 그 감각이 좀 더 자유로워지면 궁극적으로 언젠가는 형태가 사라질 것 같아요. 그러면 최대한 단순화된 형태 안에서 색이 좀 더 자유롭게 춤출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해요.”
박정민 씨가 색의 자유로움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유화다. 유화 물감을 한 면에 30~40번 정도 덧칠하는데, 같은 색이라도 겹쳐서 칠할 때마다 깊이감과 색감이 다르다. 다른 하나는 투명 아크릴 판과 비슷한 폴리 카바네이트 판의 앞뒤에 아크릴 물감으로 그리는 기법이다. 수성인 아크릴 물감 고유의 선명하고 경쾌한 느낌을 극대화하기 위해 그가 직접 고안했다. 우선 아크릴 물감으로 한 면에 밑그림을 그리고 뒤집어서 색을 메운다. 이렇게 하면 앞면의 밑그림뿐 아니라 뒷면의 작업도 투명하게 비쳐 보인다. 앞면과 뒷면 사이에 아크릴 판이라는 3mm의 간극이 있기 때문에 공간감도 느껴진다. “아크릴이나 유화 물감을 캔버스에 칠하면 가장 먼저 칠해서 밑에 깔렸던 색이 사라져요. 그런데 이 기법은 가장 먼저 그린 선이 제일 위에 남고, 그 뒷면에 색 메우기 작업을 하면 모든 색이 투명한 판에서 입체적으로 겹쳐지며 살아나지요.” 경쾌한 붓의 흐름을 읽을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아크릴 물감을 투명하고 매끈한 판에 그리면 붓 자국이 그대로 남기 때문이다. 1993년 첫 개인전을 열 때도 이 독특한 기법으로 주목을 받았다.
박정민 씨의 작품이 어딘가 낯익다면, <행복> 2004년 8월호의 표지를 기억하기 때문일 것이다. 요즘은 그때보다 자연을 모티프로 한 작품에 더욱 천착하기는 하지만, 인물상을 보면 박정민 씨 특유의 부드러운 곡선이 그대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인터뷰에서 그는 “내 작품의 영원한 테마는 사랑”이라고 말했다. 그 이야기가 지금도 유효할까? “그럼요. 사랑이 없으면 세상의 모든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그가 생각하는 사랑은 어떤 모습일까? “절대적인 사랑이 있다고 믿어요. 제 힘으로 어떻게 되지 않는 사랑, 의식하지 않아도 한없이 깊고 넓어지며 거부할 수 없는 사랑 말이지요.” 그의 가슴속 절대적인 사랑은 작품에서 어떻게 드러났을까? 여기, 만물이 약동하는 울창한 숲 속에 한몸이 된 연인이 있다. 그러니 박정민 씨에게 사랑은 자연의 생명력과 같이 자연스러운 기운이라는 뜻도 될 것이다.
프로필
1961년에 태어난 화가 박정민 씨는 동국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유화 및 그만의 독특한 기법으로 그리는 아크릴화에는 따뜻한 힘이 느껴진다. 모자母子, 집 안 풍경, 숲 속 나무와 동물 등 일상과 자연을 바라보는 화가의 애정 어린 시선도 읽을 수 있다. 1993년 관훈미술관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으며 작년 아트사이드에서의 전시까지 개인전을 여섯 번 더 열었고, 20여 차례 단체전에 참여했다. 1999년에는 가나아트갤러리의 후원으로 파리 아틀리에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박정민 씨의 최근 작품에는 나무가 자주 등장한다. 나무는 자연의 생명력을 온몸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싹이 움트고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히는가 하면 잎을 떨어뜨린 뒤 얕은 호흡으로 겨울을 견뎌낸다는 점에서 그렇다. 자연의 일부인 사람과 동물도 자연과 같은 생명력으로 충만한 상태를 가장 좋아한다는 그는 그 생명력을 추적하다 보니 나무에 이르게 되었다고 말한다. 생명력을 어떻게 정의하느냐는 물음에 그는 “동어 반복 같지만, 있는 그대로 자연스러운 기운”이라고 답한다.
좀 모호하다면 자연스러운 기운이 넘치는 그의 화폭 속으로 들어가보자. 나무가 우거진 숲의 어느 한쪽에 하늘을 나는 기이한 새가,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가, 그리고 애틋하게 서로를 바라보는 연인이 있다. 각 요소의 자유분방한 동세만큼이나 눈길이 가는 것은 색이다. 원색의 향연이다. “요즘 가장 아름답다고 여기는 색이 자연의 색이에요. 자연의 색은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것 같아요. 그럼에도 자연의 색을 구현하려다 보니 원색을 찾게 되었어요.”
1 키아프 전시회에 출품된 자신의 작품 ‘해바라기(내 어머니의 자장가)’(2006) 옆에 선 화가 박정민 씨.
2 ‘깊은 숲 속’(2006)
3 ‘언덕에서(사랑은 긴 기다림)’(2006)
박정민 씨에게 그림이란 ‘색의 예술’이다. “저는 그림을 그릴 때 색이 주는 느낌을 즐기려고 해요. 생소하게 들리겠지만, 저는 형태를 구상할 때도 그 색이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 형태를 택해 그립니다. 그러니까 형태란 색과 색이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실루엣이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의 그림에서 나무나 사람, 동물 등의 형태가 단순한 것도 그 때문이다. 그는 색과 색이 맞물릴 때의 아름다운 어울림을 추구하기 때문에 형태가 자세하거나 복잡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색이란 제 작품의 전부라고 해도 틀리지 않아요. 그래서 색을 쓰는 감각에 따라 제 작품이 계속 달라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리고 그 감각이 좀 더 자유로워지면 궁극적으로 언젠가는 형태가 사라질 것 같아요. 그러면 최대한 단순화된 형태 안에서 색이 좀 더 자유롭게 춤출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해요.”
박정민 씨가 색의 자유로움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유화다. 유화 물감을 한 면에 30~40번 정도 덧칠하는데, 같은 색이라도 겹쳐서 칠할 때마다 깊이감과 색감이 다르다. 다른 하나는 투명 아크릴 판과 비슷한 폴리 카바네이트 판의 앞뒤에 아크릴 물감으로 그리는 기법이다. 수성인 아크릴 물감 고유의 선명하고 경쾌한 느낌을 극대화하기 위해 그가 직접 고안했다. 우선 아크릴 물감으로 한 면에 밑그림을 그리고 뒤집어서 색을 메운다. 이렇게 하면 앞면의 밑그림뿐 아니라 뒷면의 작업도 투명하게 비쳐 보인다. 앞면과 뒷면 사이에 아크릴 판이라는 3mm의 간극이 있기 때문에 공간감도 느껴진다. “아크릴이나 유화 물감을 캔버스에 칠하면 가장 먼저 칠해서 밑에 깔렸던 색이 사라져요. 그런데 이 기법은 가장 먼저 그린 선이 제일 위에 남고, 그 뒷면에 색 메우기 작업을 하면 모든 색이 투명한 판에서 입체적으로 겹쳐지며 살아나지요.” 경쾌한 붓의 흐름을 읽을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아크릴 물감을 투명하고 매끈한 판에 그리면 붓 자국이 그대로 남기 때문이다. 1993년 첫 개인전을 열 때도 이 독특한 기법으로 주목을 받았다.
박정민 씨의 작품이 어딘가 낯익다면, <행복> 2004년 8월호의 표지를 기억하기 때문일 것이다. 요즘은 그때보다 자연을 모티프로 한 작품에 더욱 천착하기는 하지만, 인물상을 보면 박정민 씨 특유의 부드러운 곡선이 그대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인터뷰에서 그는 “내 작품의 영원한 테마는 사랑”이라고 말했다. 그 이야기가 지금도 유효할까? “그럼요. 사랑이 없으면 세상의 모든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그가 생각하는 사랑은 어떤 모습일까? “절대적인 사랑이 있다고 믿어요. 제 힘으로 어떻게 되지 않는 사랑, 의식하지 않아도 한없이 깊고 넓어지며 거부할 수 없는 사랑 말이지요.” 그의 가슴속 절대적인 사랑은 작품에서 어떻게 드러났을까? 여기, 만물이 약동하는 울창한 숲 속에 한몸이 된 연인이 있다. 그러니 박정민 씨에게 사랑은 자연의 생명력과 같이 자연스러운 기운이라는 뜻도 될 것이다.
프로필
1961년에 태어난 화가 박정민 씨는 동국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유화 및 그만의 독특한 기법으로 그리는 아크릴화에는 따뜻한 힘이 느껴진다. 모자母子, 집 안 풍경, 숲 속 나무와 동물 등 일상과 자연을 바라보는 화가의 애정 어린 시선도 읽을 수 있다. 1993년 관훈미술관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으며 작년 아트사이드에서의 전시까지 개인전을 여섯 번 더 열었고, 20여 차례 단체전에 참여했다. 1999년에는 가나아트갤러리의 후원으로 파리 아틀리에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