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2008년 프리츠커 상 수상 건축가 장 누벨 건축으로 도시와 문화의 한 장면을 만든다
프랑스 대표 건축가 장 누벨. 그는 빛과 그림자, 투명함으로감동을 전하는 첨단 건축의 대표주자이며 건축계의 노벨상 프리츠커 상의 2008년도 수상자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리움,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의 집을 설계했고, 한화건설의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갤러리아 포레’의 인테리어 디자인도 맡고 있다. 그의 건축을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는 같은 재료와 방법으로 매번 전혀 다른 건축을 만들어내는 특별한 재주가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아부다비 루브르 박물관의 컴퓨터 그래픽 이미지. 2012년 완공 예정인 이 건축물은 빛과 그림자, 투명함이 만들어내는 감동이 절정에 이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몇 해 전 파리로 향하는 비행기에서 세계적인 건축가 장 누벨을 소개하는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다. 렘 콜하스, 마리오 보타와 함께 삼성미술관 리움 설계를 마친 직후여서인지 마치 영화배우처럼 익숙해진 그는 ‘얼굴만 봐도 알 수 있는 건축가’가 되어 있었다. 다큐멘터리에서 장 누벨은 울창한 나무와 도로가 내다보이는 유리 벽 앞에 서 있었다. “19세기 오스만 양식의 길과 샤토브리앙이 심은 삼나무를 배경으로 들어설 건물이 역사적인 맥락과 동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8m 높이의 강화유리 벽을 쌓았다. 그 뒤로 내가 서 있는 정원을 만들고, 뒤로 건물을 세웠다. 레이어가 있는 건축물을 만든 것이다.” 그가 도로 쪽에 있는 8m 높이의 유리 벽을 가리키며 이야기했다. 그 유리 벽 밖으로 늘어선 삼나무가 보였다. 그곳이 바로 장 누벨의 대표작 중 하나로 파리 몽파르나스 타워 남쪽에 있는 ‘까르띠에 재단 현대미술관’이다. 2008년도 프리츠커 상(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하얏트 재단에서 재능과 비전, 뛰어난 책임의식을 갖고 건축의 발전에 기여한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상) 수상자 장 누벨은 1945년 프랑스에서 태어났다. 대학에 다니면서 남들보다 조금 먼저 건축 실무를 경험한 그는 졸업 후 1984년 자신의 이름을 내건 스튜디오를 오픈하고 1994년에 지금의 이름 ‘아틀리에 장 누벨’로 바꿨다. 그는 처음에 20세기 모던 건축의 아버지인 르코르뷔지에의 방식을 답습하지 않고 이를 뛰어넘는 건축을 꿈꿔왔다. 모더니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은 언어로 건축을 설명할 수 없었다. 1976년에는 프랑스 건축에 새바람을 일으키고자 현대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에 도전하는 건축 운동 ‘마르스 Mars’를 일으키고, 1977년에는 ‘건축조합(Syndicat de L’Architecture)’을 결성하기도 했다.

(위) 장 누벨. 프리츠커 상의 심사위원들은 “장 누벨은 인습적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이 안고 있는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다. 그는 한결같은 방식을 고수하거나 정해진 유형의 것들을 받아들이지 않고 항상 자신만의 방식으로 대처하는 데 뛰어나다”라고 평가했다.


1 삼성미술관 리움 중 장 누벨이 설계한 근・현대 미술관의 외부 모습. 부식 스테인리스와 유리로 지은 이 건물은 나무숲을 배경에 두고 나직이 앉은 형세이다. 2층에 유리 사이로 드러나는 넓은 면적의 부식 스테인리스, 그 안쪽이 ‘전시 박스’이다.


2 파리의 케 브랑리 뮤지엄. 원시미술과 토착 문화를 전시하는 이 뮤지엄에는 리움과 달리 강렬한 색을 사용했다. 리움에서는 정돈된 모습으로 드러났던 전시 박스가 케 브랑리 뮤지엄에서는 불규칙적으로 드러난다.

장 누벨 건축으로 파리, 서울, 바르셀로나를 여행하다 장 누벨이 생각하는 건축이란 ‘문화의 한 장면(순간)을 붙들어 매는 것’이다. 그는 ‘지리적・역사적 연속성을 담아 도시건 시골이건 그곳의 정신, 사람들의 욕망, 이전에 있었던 건물의 정신적 가치를 계승하는 작업을 하고 싶다’고 말한다. 보통 사람들은 여행을 통해 자연을 감상하거나, 사람을 만나거나, 건축물을 보고 체험한다. 건축을 본다는 것은 장 누벨의 생각처럼 문화의 한 장면을 보는 것이다. 파리에서 잊지 말고 챙겨 봐야 할 장 누벨의 건축이 있다. 그를 세계적인 건축가로 만들어준 ‘아랍 문화원(Arab World Institute)’이다. 미테랑 전 대통령이 야심 차게 기획한 ‘그랑 프로제 Grand Project’의 하나로 1981년에 열린 설계 공모에 장 누벨의 안이 당선되어 1987년 완공했다. 그랑 프로제는 현대 건축을 통한 파리 재개발 계획으로 루브르 박물관의 유리 피라미드,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도 그때 만들었다. 아랍 문화원은 과거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을 식민 통치했던 프랑스가 아랍 문화를 유럽 전역에 알리기 위해 지은 것이다. 도서관, 전시장, 강당으로 이루어진 이 건축물은 그랑 프로제 중에서도 가장 작은 규모였다. 그러나 세계 건축계에 화제를 불러일으킬 만큼 혁신적이었다. 아랍 문화원의 핵심은 창으로, 남쪽에서 바라보면 그 특징이 잘 드러난다. 유리 파사드 안에 금속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배치해 카메라 조리개처럼 햇빛의 실내 유입량을 조절하게 했다. 단지 채광 조절 효과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연속적인 패턴은 아랍 전통 문양의 표현이기도 하다.파리에는 아랍 문화원과 대조되는 원색적 느낌의 케 브랑리 뮤지엄 Quai Branly Museum도 있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원시미술과 토착 문화를 전시한 이 박물관에서는 장 누벨 건축의 다른 스타일을 볼 수 있다. 까르띠에 재단 현대미술관에서 유리와 철골을 이용한 투명한 건축이 케 브랑리 뮤지엄에서는 붉은색의 불투명한 건축으로 바뀌었다. 매끈한 외형 대신 ‘전시 박스’를 불규칙하게 돌출시켰다. 내부에도 원색적인 느낌이 강하게 드러난다.

3 리움 근・현대미술관 내부에서 바라본 바깥 모습. 양옆으로는 작품 전시 공간인 전시 박스가 있고 그 사이로 자연이 보인다. 장 누벨은 땅을 파낼 때 나온 돌과 흙을 철망에 넣어 창밖에 쌓아두었다.



케 브랑리 뮤지엄과 비교할 수 있는 박물관 건축이 서울에도 있다. 바로 리움이다. 장 누벨, 마리오 보타, 렘 콜하스라는 개성 강한 건축가들이 한 장소에 각각 건물을 지었다. 케 브랑리 뮤지엄의 외관에는 원시미술의 원색적인 색감처럼 강한 색을 사용했지만 리움은 무채색의 건축이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그는 부식 스테인리스를 개발했다. 케 브랑리 뮤지엄에 적용한 전시 박스는 리움에서 좀 더 정돈된다. 도널드 저드나 데미안 허스트같이 현대미술계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스케일과 형식을 파괴한 작품을 전시하기 때문이다. 리움에서 눈여겨볼 장 누벨 건축의 또 다른 특징은 주어진 자연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는 것이다. 먼저 건물을 짓기 위해 경사진 대지를 파낼 때 그 안에서 나온 흙, 돌 등을 철망에 담아 쌓아놓았다. 또한 대지에서 솟아나온 듯한 형상과 지붕이 나무와 나란히 뻗어나가는 것처럼 지형과 지세를 살렸다.


1, 3 아그바르 타워. 바르셀로나 구도시와 신도시 경계 지역에 서 있는 아그바르 그룹 빌딩으로 외관은 2개의 레이어로 되어 있다. 4천5백 여 개의 창문과 유리 블라인드로 된 이 건축을 가까이에서 보면 픽셀 아트처럼 보이기도 한다.


2 미국 미니애폴리스에 있는 ‘거스리 시어터 Guthrie Theater’. 2006년 완공한 이 건축은 미네소타 공연 문화의 전당이기도 하다. 건물 안에 3개의 극장이 있다. 건물에는 미시시피 강을 향해 캔틸레버 구조의 브리지 bridge가 있어 전망대 역할을 한다.

빛으로 건축을 살리다 장 누벨은 까르띠에 재단 현대미술관, 아랍 문화원, 케 브랑리 뮤지엄에 리움까지 각기 개성이 다른 박물관을 완성했다. 하지만 그의 박물관 건축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또 다른 개성의 건축이 있다. 바르셀로나에 있는 ‘아그바르 타워(Torre Agbar)’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 건축물은 바르셀로나 구도시와 신도시의 경계에 서 있다. 콘돔을 부풀려놓은 형상에 비유되기도 하지만 사실은 바르셀로나 근교의 몬세라트 Montserrat 산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아그바르 그룹 빌딩이다. 높이 142m,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4천5백여 개의 창문과 유리 블라인드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유리 블라인드에는 LED 반사 장치와 열 감지 센서가 있어 외기 온도에 따라 블라인드가 통제된다. 2005년 9월 완공한 이 건물은 바르셀로나에서 세 번째로 높다. 도시의 랜드마크로 매년 12월 31일이면 이곳에서 이벤트가 열린다. 서울에 보신각 타종 행사가 있듯이, 바르셀로나에서는 피아니스트나 기타리스트의 연주에 맞춰 아그바르 타워 외벽에 LED 조명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리듬을 따라 건물에 형형색색의 빛이 흐르고, 카운트다운과 함께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건축물이 하나의 거대한 전광판이 되는 것이다. 아랍 문화원에서 카메라 렌즈를 응용한 기술과 자연광으로 보여준 빛의 감동이 바르셀로나에서는 최첨단 기술과 인공의 빛이 만들어내는 감동으로 바뀌어 있다. 파리 생 샤펠 St. Chapelle 성당, 장 누벨은 그 성당 안에 앉아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보며 빛으로 감동을 주는 건축을 연구했다. 1932년에 지은 유리의 집(Maison de Verre)에서는 빛, 그림자 그리고 투명한 건축에 심취했다. 이런 장소에서 받은 영감을 21세기적으로 해석한 것, 그것이 지금 우리가 살펴본 장 누벨의 건축에 녹아 있다. 그리고 2012년에 완공하는 아부다비 루브르 박물관에서는 장 누벨이 펼쳐 보이는 빛의 건축이 절정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4 파리의 아랍 문화원 내부. 카메라 조리개 방식을 이용해 햇빛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창이 있다. 창에 내장된 조리개가 모여 만든 규칙적인 패턴을 바깥에서 보면 아랍 전통 문양처럼 생겼다.



김명연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09년 4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