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다둥이 가족] 13남매 엄마 엄계숙 씨의 행복한 육아법 날고 있는 새는 걱정할 틈이 없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자녀를 둔 구미 황산교회 김석태 목사와 엄계숙 씨 부부. 아이를 기르며 이 부부는 깨달았다. ‘아이를 키우며 내 삶이 어디로 가버린 게 아니라, 이것이 나의 가장 화려하고 행복한 화양연화였다’고.

아빠 김석태 목사가 직접 지은 집 앞마당에는 역시 그가 직접 나무를 깎고 다듬어 만든 놀이터가 있다. 이 행복한 풍경 속, 아빠와 나란히 앉은 이가 이 가족의 든든한 뿌리인 엄마 엄계숙 씨다. 그리고 그의 보물 13남매. 사진 왼쪽의 신실해 보이는 여자아이가 이 집의 장녀인 빛나다.

13남매 엄마 엄계숙 씨의 행복한 육아법
날고 있는 새는 걱정할 틈이 없다

변덕 심한 봄바람에 새잎 흩날리며 흔들리는 가지 많은 나무를 본 적 있는가? 바람 잘 날도 없지만 그 많은 가지는 큰 그늘을 만들어내고, 바람에 나부끼는 소리도 그럴싸하다. 열매도 그만큼 많이 맺는다. 열세 명의 아이를 낳아 키우며 엄계숙 씨는 가지 많은 나무의 깊은 뿌리로 살았다. 아이 하나하나를 뜨겁게 낳아, 가슴으로 품어 젖을 먹이고, 웃는 낯으로 어르고, 살 비비며 키워냈다. ‘지금 제대로 사는지, 아이가 웃고 있는지, 내가 행복한지’를 살폈다. ‘이대로 내일 인생이 끝난다 해도 여한이 없도록 오늘을 살았는가?’ 하루하루 되물었다.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한 장면처럼 커튼으로 아이들 옷 지어 입히는 꿈을 꾸던 교육 학도가 신학도를 만나 일사천리로 결혼에 도달했고, ‘하늘이 주시는 복된 선물’을 고이 받아 잘 길렀다. 그러다 보니 전국에서 가장 많은 자녀를 둔 다둥이 가족이 됐다. 첫째 빛나(22세), 둘째 다솜(‘사랑’의 고어, 20세), 셋째 다드림(17세), 넷째 모아(‘사랑’이란 뜻의 제주도 사투리, 14세, ), 다섯째 들(14세), 여섯째 바른(12세), 일곱째 이든(‘착한 이’란 뜻의 고어, 10세, ), 여덟째 라온(‘즐거운 이’란 뜻의 고어, 9세), 아홉째 뜨레(‘서로’란 뜻의 제주도 사투리, 8세), 열째 소다미(6세), 열한째 나은(‘더 좋은 이’란 뜻의 순 우리말, 5세), 열두째 가온(‘가운데’라는 고어로 세상의 중심이 되라는 뜻, 3세), 열셋째 온새미(‘언제나 변함없이 영원히’라는 뜻, 1세). 이 열세 아이를 기르며 정신없이 웃었다, 화냈다를 반복하고, 하루에 밥을 다섯 번 짓고, 세탁기를 세 번씩 돌리며, 매 끼니마다 3개 조로 나눠 밥을 먹게 하고, 누울 시간도 없어 빨래 개며 졸아야 한 날들이었다. ‘날고 있는 새는 걱정할 틈이 없다’는 어르신들 말씀 떠올리며 기쁘게 그 날들을 살아냈다. 그리고 그는 “태어나 무엇보다 잘한 일은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은 것”이라고 말하는 엄마가 됐다.



1 열셋째 온새미의 우유 타는 당번은 사내아이들이고 여자아이들은 기저귀 당번을 도맡아 한다. 능숙한 손놀림으로 분유의 정량을 맞추는 셋째 다드림.
2 월간 <사진> 과월호를 쌓아놓고 사진을 독학한 아빠 김석태 목사가 하나하나 기록한 가족의 역사.
3 이 집 마당에는 솜씨 매운 아빠가 직접 만든 그네가 자리한다. 그 앞에서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가족들.

<내 인생의 스승, 아이들“엄마, 온새미 입술은 토끼처럼 예쁘잖아요. 그런데 나는 왜 온새미 입술처럼 생기지 않았어요?” 선천성 상구순 파열(속칭 ‘언청이’)로 태어난 열셋째 온새미 입술을 보고 열째 소다미가 울먹였다. 엄마 엄계숙 씨는 그날 밤 일기장에 썼다. “마음이 그
지 없이 예쁜 소다미를 보고 눈물이 나왔다. 갈라진 온새미 입술이 예쁘다며 부러워하다 못해, 건조해 갈라진 자기 입술이 온새미 입술과 약간 비슷해지자 자랑 겸 원망 겸 칭얼대는 소다미를 껴안아주고 싶었다. 우리는 왜 다른 사람과 조금만 다르면, 아프지 않고 남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데도 장애인 취급을 하며 불쌍하게 보는 걸까? 소다미처럼 부러워하지는 못하더라도 말이다. 누구나에게 자신의 모습은 그것만으로도 아름다우며, 하느님의 섭리로 받은 것이라는 걸 이 아이의 작은 입을 통해 깨닫는다.”

그리고 그는 마지막 줄에 “네 보물 있는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라는 성경 구절을 꾹꾹 눌러 썼다. 병원에서 퇴원해 입술이 갈라진 아기를 안고 집에 들어섰을 때 아이들은 말했다. “엄마, 아기 입이 토끼 같아서 너무 귀엽고 예뻐요.” “아기 입은 왜 그래요? 참 아프겠다.” “엄마, 아주 심하진 않네요. 제가 커서 고쳐줄 거예요.” 행복을 만드는 힘, 걱정을 웃음으로 바꾸는 힘은 신경 정신과 병원의 긴 소파도, 명의의 탁월한 의술도 아니라 ‘가족이 함께’ 라는 위대한 힘임을,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에너지임을 아이들을 보며 배웠다. 이렇게 아이들을 기르며 인내와 용기, 배려를 하나씩 배워나갔다. “내가 아이들을 기른 게 아니라, 열세 명의 아이가 날 길렀습니다. 아이들을 통해 인생의 작은 철학들을 하루하루 깨쳐나가고 있고, 마음을 아름답게, 선하게 만지는 연습도 하고 있어요.”


4 일주일에 초등학생은 5백 원, 중학생은 2천 원, 고등학생은 3천 원의 용돈을 받는다. 그걸 모아 사내아이들은 좋아하는 이구아나도 사고 각자 교회에 십일조 헌금도 낸다.
5 솜씨 좋은 엄마는 아이들 머리끈도 만들어준다. 서로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흐뭇해하는 아홉째 뜨레와 열째 소다미.


형제자매라는 튼튼한 가지 저 홀로, 제 스스로 곧게 자라나려고 애쓰는 가지는 더러 바람에 가지가 부러지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함께 바람을 맞아주는 곁가지들이 있다면 좀 안심이다. “대학 4학년인 큰딸이 기숙사에 가 있는 동안 아이들은 일주일 내내 큰언니, 큰누나를 기다려요. 아이가 이렇게 많으니 한 명쯤 없더라도 모르고 지낼 만도 한데, 그렇지 않나 봐요. 부모가 울타리라면 형제자매는 하나라도 없어선 안 될 서로의 버팀목, 기둥인가 봅니다. 또 아이들은 서로 부대끼고 얼싸안으며 스스로‘좌절 훈련(좌절을 경험하고 극복하는 체험)’ 을 하는 것 같아요. 세상이 자기 중심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걸 형제 자매와 부딪히며 배우다 보니 아이들이 배려심 많은 아이로 컸어요. 열두째 가온이가 막내였을 때 차를 타면 엄마가 있는 앞자리로 오겠다고 늘 보챘어요. 그런데 열셋째가 태어나면서 그 투정이 자연스레 사라졌어요. 자신보다 더 어린 아이가 막내로 태어났으니 이제 저 자리는 자기 자리가 아니라는 걸 네 살짜리 꼬맹이가 벌써 깨달은 거죠. 아이들이 스스로 깨닫는 사회성이나 규율은 부모가 강요해서 배운 것보다 훨씬 힘이 센 것 같아요.”

그의 또 다른 일기를 읽고 나면 명치께가 뻐근해져 온다. ‘우린 모두 자신이 주인공처럼 살 것이다. 주인공이 된 온새미. 이 아이는 외모 때문에 자격지심, 외톨이가 된 기분을 느끼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진정 온
새미를 이해하고 아껴주는 사람이 있다면 온새미는 외롭거나 주눅들 일 없을 것이다. 주인공인 온새미에게 그런 사람이 한 명도 아닌 열두명이 있는데 무슨 걱정인가. 때론 방황할 수도 있겠지만 든든한 ‘편’들이 방황을 가만히 보고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럼 나는 무엇을 해야 하나?
열두 명이 온새미를 사랑하는 마음을 갖도록 사랑으로 본을 보이며 자연스럽게 사랑의 끈을 연결해주어야 한다. 그것이 내가 할 일이다.”
한 뼘짜리 작은 집을 다시 벌집처럼 나눠가며, 한방에서 모두 모여 잠을 자도 이 열세 남매의 행복 지수는 꽤 높다. “가족이 많으면 하나의 물질을 나눌 때 내 몫이 그만큼 줄어들지요. 하지만 내가 가진 물질을 함께 모을 땐 엄청난 양이 됩니다. 사랑도 마찬가지지요.” 이렇게 넓고 깊은 품의 엄마 밑에서 아이들은 서로를 튼튼하게 지탱하고 있는 것이다.


6 형제자매는 가끔 부모도 되고 보모도 되고 위로자도 된다. 열두째 가온이를 달래는 여덟째 라온.
7 아이들은 신발 벗어두는 댓돌에도 꽃그림 이름표를 그려놓고 자신들만의 질서를 만들었다.

“달색 꽃 색깔이 비록 좋다 한들 내 집 식구 웃는 얼굴색만 하랴” 엄계숙 씨는 ‘다 모여’란 말을 많이 한다. 사소한 일에도 아이들을 모아놓고 상의하고 기도한다. 여기엔 부모의 일까지 모두 포함된다. ‘다 모인’ 아이들은 토론하고 상의하며 스스로 해결 방법을 깨우친다. 또 부모는 ‘해주는 사람’이 아니라 그저 ‘도와주는 사람’이라는걸 아이가 스스로 터득하게 그냥 둔다. 모두 알 듯이 아이는 스스로 먹고 자란다. 스스로 해내는 것을 기뻐하는 아이를 보며 같이 기뻐해주는 것이 엄마 역할이라고 그는 다시 한 번 일기장에 써 내려간다. 아이들이 싸우더라도 무조건 수습하기보다 갈등이 무언지 잘 살핀다. 선을 그어줘야 할 때만 엄마 아빠가 개입한다. 선행학습이나 사교육을 시키지 않는 대신 독서를 통해 세상을 배우게 하는 교육법으로도 유명하다. ‘줄넘기 1백 번 하기’같이 결과가 눈에 안 보이는 숙제도 꼭 하게 한다. “숙제는 선생님이 네게 어떤 책임을 준 거다, 네게 필요 없는 일이라도 주어진 일이라면 책임을 다해야 하고, 그렇지 못하면 너는 책임감 없는 사람이다”라고 가르친다.

“열세 명이나 키우면서 느낀 건 아이를 키울수록 시행착오가 적어져 키우기가 조금씩 수월해진다는 거예요. 초보 부모들이 욕심을 부리다 아이에게 상처를 주는 경우가 많은데, 난 적어도 그렇진 않으니까. 부모의 시행착오를 덜 겪을 수 있는 복을 이 아이들이 타고난 거죠.” 다 키워놓고 나면 자식은 영원한 채권자라던데, 청춘의 절반을 아이 기르는 데 쏟은 이 엄마도 어느 날 문득 가슴 한구석에 모래바람이 불지는 않을까? 마냥 행복한 이 풍경 앞에서 왠지 B사감처럼 질투하고 딴죽 걸고 싶었다. “인생의 3분의 2 동안 사람은 ‘결혼의 삶’을 살아요. 결혼은 삶에서 얼마나 완벽하고 완전한 전환점인가요. 결혼을 하고 열 세 명의 아이를 키우며 깨달았어요. 아이를 키우며 내 삶이 어디로 가버린 것이 아니라, 이것이 나의 가장 화려하고 행복한 삶이었다고.” 이렇
게 자신의 행복을 스스로 매만지고 다독이는 그의 집 현관에는 이런 글귀가 걸려 있다. ‘월색화색불여 오가족화안색月色花色不如 吾家族和顔色’. 달색 꽃 색깔이 비록 좋다한들 내 집 식구 웃는 얼굴색만 하랴. 그는 여자 인생의 화양연화를 아이를 기르며 찾았다.

최혜경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08년 12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