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2010<행복>캠페인] 생각과 음미의 시간-한칸 다실 갖기 녹차 綠茶, 가장 아름다운 그린 워크
갖기영롱한 찻물처럼 맑은 사람이 되게 하는 힘은 가족에게 있습니다. 그리고 차 한잔에 있습니다. 한잔의 차를 마시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는 단순히 마신다는 행위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정신적 기쁨, 인생의 향기로움을 얻을 수 있는 이 시간을 위해 <행복>에서 ‘한 칸 다실 갖기’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인사동 쌈지길 맞은편에 문을 연 ;'’설록 티하우스. 인테리어는 디자이너 마영범 씨가 다구와 소품은 멱 컬렉션의 김윤경 씨가 맡았다.


멀티 컬처, 특히 동양 문화에 관심이 많은 미국인에게 ‘녹차’는 아직 낯선 문화다. 제대로 우려낸 녹차가 아닌 그저 텁텁한 맛의 ‘가짜 녹차’밖에 경험하지 못한 미국인에게 부드러운 색향미와 약용 효과까지 지닌 ‘진짜 녹차’를 알리는 것이야말로 가장 아름다운 녹색 운동이다. 녹차 전문가 이근수 씨가 머물고 있는 미국의 청정 지역 오리건 주에는 이 신비한 차의 세계를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하나둘씩 늘고 있다.

워크지구촌 어디를 가나 요즘은 녹색이 화제다. 녹색 산업에 그린 에너지에, 음식조차 오가닉을 찾는 사람이 많은 것을 보면 반갑기도 하고 한편으론 공해 문제가 심각하구나 하는 걱정이 들기도 한다. 서양에서 일고 있는 녹차에 대한 관심도 이와 무관치 않다. 녹차는 그린이고 생명이며, 이 시대의 대표 화두 話頭가 아닌가.
나뭇잎이 녹색이고 비상구도 녹색인 것을 보면 녹색이 생명의 빛깔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운전 중에도 녹색 신호등이 들어오면 가슴이 환해지는 것도 같은 이치일까. 차 茶는 그 자체가 자연의 산물이지만 녹차는 특히 자연과 친하다. 녹차 중에서도 일본처럼 수증기로 쪄내지 않고 가마솥에서 낮은 온도로 살짝 덖어내는 우리 녹차는 연녹색 잎 모양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 차의 주성분인 카테킨을 보존해준다.
<동의보감>이나 <다경>에 나와 있는 녹차의 효능이 과학으로도 밝혀지면서 이제 스타벅스는 물론이고 웬만한 커피 하우스에서 녹차를 찾기가 어렵지 않다. 물론 녹차라고 해봐야 머그잔에 뜨거운 물 가득 붓고 티백 두 개 띄워주는 게 전부이긴 하다. 얼마 전 주변에서 가장 고급 녹차를 판다는 ‘티존 Tea Zone’이란 미국 찻집에 들어갔다. 찬장엔 각 나라 다기가 골고루 진열되어 있고 메뉴판엔 일본산 녹차들과 용정이니 재스민이니 하는 중국산 발효차가 빼곡히 놓여 있었다. 한국 차를 찾을 수 없었기에 가장 비싼 가격이 매겨진 일본산 옥로차를 주문했다. 정종 주전자 크기의 차관에 거의 가루가 되다시피 부서진 찻잎이 거름망에 이미 우려진 채 나왔다. 물감을 풀어놓은 듯 칙칙한 색깔에 진짜 녹차의 맛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텁텁함뿐이었다.
스타벅스의 고향인 시애틀에서 3시간 거리에 있는 포틀랜드엔 유난히 커피숍이 많다. 1년의 반을 차지하는 우기가 되면 이틀에 한 번꼴로 내리는 비가 따뜻한 마실 거리를 더욱 그립게 한다. 다운타운 북쪽 구역을 차지한 ‘펄 디스트릭트 Pearl district.’ 한때는 공장과 창고가 즐비하던 곳이 문화 거리로 탈바꿈하면서 갤러리와 앤티크 숍, 부티크 살롱이 잇따라 문을 열고 코너마다 커피숍이 들어선 모양새가 뉴욕의 첼시를 연상케 한다. 그 가운데서 ‘녹 綠’을 발견한 것은 우연이었다. 연녹색 바탕에 ‘녹 綠’이라고 흰색으로 쓰여 있고 ‘ROK’이란 검은색 영문이 더해진 네모난 간판이 인도로 돌출되어 있었다. 나는 빨려들 듯 가게 안으로 들어섰다. ‘ROK’은 ‘Republic of Korea’의 약자이기도 하니 주인은 분명 한국 사람이리라. 예상은 들어맞았다. 30대 후반의 젊은 청년이 카운터에 서 있었다. 네 살 때 미국으로 와 대학을 졸업하고 은행에 근무하다가 한국에서도 4년쯤 일했다고 한다. 한국에서 만난 여자와 결혼해 미국으로 돌아와 낳은 딸이 벌써 일곱 살. 깨끗이 정돈된 진열대엔 한국산 그린 식품이 골고루 갖춰져 있고 구색을 맞추듯 선반 한쪽을 차가 차지하고 있었다. 거기에 녹차가 있었다.
“차를 많이 가져다 놓고 싶은데 사실은 차를 너무 모르고 또 녹차를 어떻게 조달해 오는지도 모르겠어요.” 겸연쩍어 하면서 그가 말했다. “이곳에선 요즘 웰빙 well-being 이나 리빙 웰 living well에 관심이 대단해요. 앞으로 한국 녹차가 좋다는 것을 많이 알릴 생각입니다. 그것이 이 가게를 연 이유기도 하고요.”
누군가 와인을 ‘신의 물방울’이라고 했지만 녹차야말로 ‘신의 녹색 물방울’이다. 신라시대 이전부터 오랜 시간 동안 우리와 함께하면서 한류의 뿌리가 된 고유하고 종합적인 차 문화. 블랙커피와 블랙티의 자리를 녹차로 대신하게 하는 일이 이제 어떤 산업보다도 우선되어야 할 듯싶다.
자연을 보존하고 아름다운 지구와 건강한 자신을 오랫동안 지키고 싶다면 녹차를 마셔라. 건강에 녹차가 좋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실제로는 찻잎을 본 적도 없고 차라면 모두 녹차인 줄 아는 사람이 우리 주변에 얼마나 많은가. 비록 모두가 한 칸의 다실은 갖지 못하더라도 탁자 위에 다기 한 벌쯤은 갖춰놓고 그리운 사람들을 떠올려보는 것도 운치 있는 일이 아닐까.
정세영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0년 5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