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비타민과 미네랄의 보고, 해조의 종류

photo01

파래 겨울에서 봄까지 나며 무기질이 풍부하다. 주로 무침이나 나물로 만드는데 전이나 죽을 만들 때도 사용할 수 있다.
말린 톳 물에 불려서 사용할 수도 있고 쌀에 섞어서 밥을 지어도 맛이 좋다.
모자반 다시마, 미역과 같은 갈조류로 긴 줄기에 얇고 작은 잎과 동글동글한 주머니 같은 것이 달려 있다. 나물, 무침, 국, 탕 등에 쓴다.
세모가사리와 갈래곰보 홍조류로 잎이 넓고 표면에 오돌토돌한 작은 돌기가 나 있다.
긴 줄기에 통통하고 뾰족하게 생긴 잎이 촘촘히 붙어 있다. 칼슘, 요오드, 철분이 풍부하고 다른 해조류에 비해 맛이나 향은 약한 편이다. 으깬 두부와 무쳐서 나물을 만들거나 조림, 국, 밥을 할 때 넣는다. 매생이 파래처럼 보이지만 줄기가 머리카락처럼 가늘고 길다. 12월~3월사이에 나는 해조류로 맛과 향이 독특하다. 소화가 쉽고 무기질이 풍부하며 굴을 넣고 국을 끓인다.
말린 우뭇가사리 우뭇가사리는 주로 가공하여 한천을 만든다. 길게 뽑아낸 한천은 물에 불려 샐러드 등에 넣으면 쫄깃쫄깃한 맛이 좋고, 하얀 한천 가루는 젤라틴 가루처럼 액체를 굳힐 때 사용한다. 가공하지 않고 말린 우뭇가사리는 불려서 요리의 재료로 쓴다.
진두발 가느다란 줄기가 나뭇가지처럼 뻗어있는 홍조류. 색과 모양이 좋아 다른 해조류와 섞어 샐러드에 넣으면 잘 어울린다.
감태 밝은 초록색을 띠며 파래와 비슷하게 생겼다. 독특한 향이 나며 김처럼 말려서 구워 먹기도 하고 나물로 무치거나 죽이나 전, 떡을 만드는 데도 쓴다.
미역 뼈와 이를 튼튼하게 하고 장 운동을 돕는다. 주 성분인 알긴산은 체내 콜레스테롤의 배출을 돕고 대장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이유진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05년 3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