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일이다. 생활이 여유롭고 먹을거리가 풍부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인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져 있으니 말이다. 요즘 식단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일까? 한국 사람은 1인당 식품 첨가물을 일년에 4kg씩이나 먹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 화학 성분이 첨가된 조미료나 오염된 식재료를 써서 만든 음식은 건강을 해치는 가장 큰 요소이다. 최근 직업별 평균 수명을 조사한 결과, 스님을 포함한 종교인이 79세로 가장 높게 나온 것은 이를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불가에서는 전체식이라고 하여 모든 식재료를 버리는 것 없이 다 먹으라고 한다. 채소는 뿌리에서 잎까지, 열매는 과육과 껍질까지 먹으며, 재료를 걸러내고 남은 물까지 국이나 찌개 같은 음식을 만드는 데 이용하는 것이다. 식재료를 낭비하지 않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이보다는 식품의 영양소를 빠짐없이 섭취하려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 도정하지 않은 현미로 지은 밥, 표고버섯 불린 물로 끓인 찌개, 나물 데친 물로 끓인 국은 영양과 향미가 훨씬 높다. 뿐만 아니라 화학 조미료 대신 다시마 가루, 들깨 가루, 송화 가루, 재피 가루, 백년초 가루 등 천연 조미료만을 이용해서 음식의 맛을 낸다. 반면 우리의 일상식은 자극성 강한 양념이 잔뜩 들어간 음식과 인스턴트 식품이 주를 이룬다. 당장 집 안에 있는 냉장고를 열어보자. 먹다 남은 치즈, 초콜릿, 콜라, 햄, 냉동 식품 등이 뒤섞여 마치 거대한 음식물 쓰레기통처럼 보이지 않는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화두인 21세기, 사찰 요리의 지혜를 생활 속으로 끌어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