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서양화가 박영숙의 신데렐라의 꿈
신데렐라는 짝이 없는 유리 구두를 소중히 보관하고 있다가 멋진 왕자님과 결혼하게 되고, 콩쥐는 물에 빠뜨린 고무신을 간직하고 있다가 마을 감사와 결혼한다.
"꿈은 100% 이루어지지는 않는 것 같아요. 신데렐라가 왕자님과 결혼하게 된 것은 유리 구두를 갖고 있었기에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죠. 신데렐라가 유리 구두 한 짝을 끝까지 갖고 있었던 것은 자신의 신분이 바뀌게 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알았던 게 아닐까요?

"박영숙 씨는 하이힐을 하이패션의 완성이자 여성의 신체를 암시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 기호로 바라본다. 4월호 <행복>의 표지 작품 '슈홀릭Shoeaholic - 신데렐라의 꿈'에는 신분 상승을 꿈꾸는 여성들의 무의식적인 욕망이 표현되어 있다. 이 그림의 주인공인 빨강 하이힐을 신는 여성은 어떤 사람일까. 그는 하이힐의 주인에 대해 키는 약 165cm이고 몸무게는 45kg 정도이고, 화려한 직업을 가진 섹시하고 에로틱한 여성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이 그림을 보고 어떤 이는 화사하고 예쁘다고 하고, 어떤 이는 슬프다고 하며, 또 다른 이는 공허하다고 이야기한다. 그림 감상평이므로, 보는 이의 마음이 그러하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처음 그림을 그리기 시작할 때부터 여성에 대한 관심이 많았어요. 정물화나 풍경화 작업에는 별로 재미를 느끼지 못했고, (재미가 없으니) 그리지 못하겠더라고요. 여성의 성 정체성을 도상圖像으로 표현하다 지금처럼 여성의 문화적 기호를 소재로 한 작업을 시작한 것은 3년 전이었어요."

그가 하이힐을 소재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데에 특별한 이유는 없다. '그냥 좋아서' 시작하게 되었을 뿐이다. "여성 문화 자체를 즐기고 보여주는 포스트 페미니즘을 추구한다"고 설명하는 그는 비슷한 성향을 가진 스위스 작가 실비 플러리를 좋아한다. 실비 플러리가 쇼핑을 예술 활동의 소재로 끌어들였다면, 그는 여성이 바라보는 여성의 신분 상승 욕망을 하이힐 그림으로 표현한다.

그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레이스, 하이힐, 꽃, 리본 등은 여성을 상징한다.
그는 작품 소재를 인터넷과 잡지에서 찾는다. 인터넷을 서핑하다, 잡지를 읽다가 눈에 띄는 상품을 스크랩하거나 프린트해서 보관하는 스크랩 파일에서 찾는다. 어떤 하이힐 모델(?)은 가로 길이가 3cm도 되지 않는데도, 그것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들어가며 진짜 같은 하이힐을 완성한다.

"이야기는 아주 작은 이미지에서 시작돼요. 자료를 보다 보면 필이 꽂히는 하이힐이 있거든요. 이미지를 보고 있으면 '이 하이힐은 이야기가 되겠다' 하는 생각이 들거든요. 그리고 열심히 이미지를 들여다보면서 이야기를 만들죠. 장만위와 양조위가 출연한 영화 <화양연화>를 보면서 느낀 장만위의 이미지와 의상의 느낌이 강렬하게 남아서 그 느낌을 하이힐로 표현한 적도 있습니다."

그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은 소위 디자인이 '뜨던'때. 따로 미술학원을 다닌 적이 없다는 그는 시각디자인학과에 입학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대학원에 진학해 서양화를 전공했고, 디자이너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디자인도 상품 영역에 있는 일이라 자신의 예술성을 발휘하기가 쉽지 않았던 모양. 1%도 반영할 수 없었다고 한다. 직장 생활은 자신의 성향이 회화에 더 어울린다는 것을 확인하는 시간이었던지, 그는 회화의 길로 들어선다. 그의 작품이 디자인적인 느낌을 주는 것은 이러한 이력 덕분이다.

여성의 문화 자체를 즐기고 보여주는 걸 즐긴다지만 정작 자신은 하이힐을 신지 않는다. 몇 번 신어보았으나 걷기 불편해 적응하지 못했단다. 요즘 일주일에 2~3회 정도 통굽 힐을 신는 경우가 있지만 '여전히 (뾰족한 하이힐은) 신는 것보다 그냥 바라보는 게 좋다'고 한다.
"저는 일을 하는 여성이고 하이힐을 신고 일하기는 힘들거든요. 제게 신분 상승이란 작가로 인정받는 것이겠지요. 부의 쟁취는 그저 그림에 담고 싶어요."
몇 년 동안 하이힐을 연구했으니, 하이힐 전문가라고 이야기해도 좋을 그의 분석에 따르면 요즘 우리나라는 하이힐의 굽 높이가 굉장히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여성들의 명예, 행복, 꿈을 이루고자 하는 열망이 더 높아졌다는 것일까?

"저는 '여성이 바라보는 여성의 성性'이라든가' '일상성으로 바라보는 여성의 성 정체성' 등 여성에 대해 깊이 천착해왔어요. 그 이유는 아마도 어릴 적 어머니로부터 발원된 저의'미美의식'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짐작해요. 제가 표현하고 싶은 아름다움은 제 어머니의 모성이며 여성만의 감성이에요. 그것은 곧 저 자신에 이르는 성 정체성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초등학교 시절 어느 가을, 오후반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그를 장독대에서 일을 하던 어머니가 일손을 멈추고 환한 웃음으로 맞아주었다. 말로 형용할 수 없이 아름답게 느껴졌던 그때 그는 '잠시 말을 잃고 멍하니 눈이 부신 듯 어머니와 큰 장독들을 바라보며 서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 아마도 그는 장독대 위의 어머니를 쳐다볼 때처럼 하이힐과 꽃과 리본과 레이스를 쳐다보고 있는 것 같다.

1 <행복>4월호 표지 작품인'슈홀릭'-신데렐라의 꿈'(2006) 옆에 선 작가 박영숙 씨.
2 '슈홀릭- 그리움의 길을 가다'(2006)
3 '슈홀릭-신데렐라의 꿈(2006)

프로필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난 서양화가 박영숙 씨는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와 미국 노던 일리노이Northern Illinois 주립대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1999년부터 회화 작업을 시작한 그는 2000년 서경갤러리에서 열린 <누드크로키전>을 시작으로 다섯 번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말레이시아 MGH 갤러리에서 개최한 <한국 현대미술 초대전>(2006년) 등 50여 차례 단체전을 가졌다.

김선래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07년 4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