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지혜와 웃음의 보물 창고 <탈무드>


어떤 사람이 캄캄한 밤길을 걷고 있었다. 그때 반대쪽에서 등불을 들고 오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맹인이었다. “당신은 맹인인데 왜 등불이 필요합니까?” 맹인이 대답했다. “내가 이 등불을 들고 걸어가면 눈 뜬 사람이 내가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니까요.” 쇠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온 세상의 나무들은 두려워하며 말했다. “저 단단한 쇠가 우리를 해친다면 꼼짝없이 죽고 말겠지.” 그때 하느님은 나무들에게 이렇게 이르셨다. “걱정하지 마라. 너희들이 자루를 제공하지 않는 한 쇠가 너희를 해치지는 못하리라.”

<탈무드>에 나오는 짤막한 이야기다. 유대인 율법에 대한 학자들의 구전과 해설을 집대성한 <탈무드>는 성경인 토라와 함께 유대인 정신문화의 원천이 되어왔다. 그러나 한때 가톨릭교도가 유대인이 <탈무드> 읽는 것을 금지하고 수많은 <탈무드>를 압수하고 불태운 일도 있다. 당시에 검열관들이 <탈무드>의 내용을 찢거나 삭제한 곳이 많아서 지금 남아 있는 <탈무드>는 완전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지난주에 한 이스라엘 여성의 요청으로 함께 <탈무드>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예루살렘에 있는 대학원 학생이라는 그는 나를 만나자마자 우리가 나눈 이야기를 자신의 논문에 인용해도 좋다는 승낙을 문서로 받고 싶어 했다. 그는 얼마 전 이스라엘의 한 신문에서 “한국에서는<탈무드>와 관련한 책이 수백 권이나 출간될 만큼 <탈무드>의 인기가 높고, 심지어 교과서에서도 <탈무드>를 가르친다”는 기사를 보고 깜짝 놀랐다고 했다. 그래서 한국인이 왜 그토록 <탈무드>를 좋아하는지 알아보고 싶었고, 적당한 결론이 도출되면 그것을 자기 논문과 연계하고 싶어서 한국에 왔다는 것이었다.

그는 한국어가 서툴고 나는 영어가 그다지 유창하지 않지만 우리는 죽이 잘 맞았다. 내가 <탈무드>에 푹 빠져서 마빈 토케이어의 <탈무드>를 책장이 닳도록 읽은 적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인상 깊은 이야기 중 하나로 ‘구멍 뚫린 보트 이야기’를 꼽았다. 요약하면 이런 내용이다. 호숫가에 사는 한 남자가 여름에 보트를 타고 낚시를 했다. 어느 해 여름이 끝나고 배를 끌어 올리다가 배 밑창에 작은 구멍을 낸 그는 다음 해에 다시 사용할 때 수리를 하리라 생각하고 겨우내 배를 방치했다.

어느 날 마을의 칠장이가 찾아와서 일감을 달라고 청하자, 그는 보트에 페인트칠을 해달라고 했다. 다시 여름이 되자, 그의 두 아들이 보트를 타겠다고 졸라서 승낙했다. 아이들이 보트를 가지고 나간 지 두 시간쯤 지난 후에야 그는 보트에 뚫린 구멍이 생각났다. 혼비백산해서 호수로 달려가던 그는 무사히 돌아오는 두 아들을 보았다. 보트에는 누군가 꼼꼼하게 구멍을 막은 흔적이 있었다. 그는 칠장이를 찾아가 고마워하며 말했다. “내가 부탁하지도 않았는데, 당신이 보트의 구멍을 막아준 덕분에 우리 아이들이 목숨을 건졌습니다.”

때로는 작은 선행이 큰 힘을 발휘한다는 교훈이 인상적이다. <탈무드>를 읽으며 종교적 해석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 지혜를 주는 이야기를 읽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겁기 때문이다. 게다가 <탈무드>가 지닌 또 하나의 매력인 촌철살인의 수많은 유머는 얼마나 유쾌한가.

어떤 부자가 새 집을 지어 이사를 했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불러서 정원에서 파티를 열었다. 정원에 식탁이 놓이고 바비큐가 시작되었을 때, 초대받은 한 노인이 중얼거렸다. “오래 살다 보니 이상한 일도 있지. 옛날에는 화장실이 집 밖에 있고, 식사는 집 안에서 했는데, 지금은 반대가 되었으니 말이야.” - ‘가든파티’

초등학교 시절 밤마다 서로 상대의 곳간에 볏단을 날라다 주는 ‘의좋은 형제’ 이야기를 교과서에서 읽었다는(물론 그때는 그것이 <탈무드>에 나오는 이야기인 줄 몰랐다) 내 말에 그는 감격스러워하며 이스라엘에는 지금도 그 이야기의 배경이 된 장소를 기념하고 있다고 했다.

글을 쓴 한상남 작가는 글쓰기와 책 읽기가 삶의 팔할인 시인이자 동화 작가다.1979년 월간 <한국문학>으로 시인이 되었고, 1995년에 MBC창작동화대상으로 동화 작가가 되었다. 시집 <눈물의 혼><지상은 향기롭다> 등이 있고, 동화집 <단추와 단춧구멍>, 그림 동화집 <아기 거미의 생일 초대> 외에 어린이를 위한 책을 많이 썼다.

글 한상남 | 담당 김민정 수석기자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4년 9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