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 속에 광릉요강꽃이 속살대며 피어난다. 표표히 잎 위에 앉아 있는 여린 꽃대, 거기서 훅 끼쳐오는 풋가시내 내음에 정신이 아찔하다. <행복> 4월호 표지를 장식한 광릉요강꽃. 야생화 전문가들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예쁜 꽃으로 첫손가락에 꼽는, 사진가들이 평생에 한번 만나보고 싶어 몸살이 난다는 꽃이다. 뿌리에서 지린내가 나서 광릉요강꽃이라 하는, 짓궂은 남정네들은 꽃 모양이 여인의 은밀한 그곳 같다고들 하는, 희귀하고 어여쁜 꽃. 야생동식물보호법으로 지정된 멸종위기종 1급 식물로 식물도감에서나 볼 수 있는 그 귀한 꽃이 칸디 하우스 Conde House의 서랍장 위에서 고고히 피었다. 반그늘이 지는 비옥한 땅에서나 자란다는 이 1급 식물이 왜 서랍장 위에 올라앉은 걸까. 그것도 이국의 냄새 물씬한 세간 위에.이 서랍장(칸디 하우스 제품으로 웰즈에서 판매하고 있다)은 일본 브랜드이면서도 스칸디나비안 디자인과 독일 문화, 여기에 동양적 감성을 버무린 칸디 하우스의 정신을 그대로 담은 제품이다. 광릉요강꽃 그림은 어떤가. <행복> 2010년 9월호 표지 작가인 세밀화가 송훈 선생이 가는 붓과 숫돌에 간 펜촉으로 그린 작품이다. 수명이 1천 년 이상 간다는 코튼지 위에 색이 좀처럼 변하지 않는 아크릴물감으로 한 점 한 점 그려나간 그림인데, 지름 1mm의 원 안에 또 다른 원 다섯 개를 그려 넣을 정도로 정밀함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선 하나를 제대로 긋기 위해 사격 선수처럼 일시에 숨을 멈춰야 하는, 진짜 ‘세밀한’ 그림. 그 때문인지 송훈 선생의 심혈관 두 개가 막혀 가슴을 여는 큰 수술까지 받게 한 노작이다. 잎사귀에 궁그는 물방울, 꽃 대궁의 흐릿한 반점까지 세심하게 잡아내는 과학과 예술 사이에 선 그림이라 하겠다(원래 식물 세밀화는 중세시대 약품에 들어가는 식물의 구분을 위해 그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다른 종과 식별할 수 있게 그 종의 특징을 정확하게 그려야 하는, 과학과 예술 사이의 그림이다). 똑같이 식물을 그린 기록화지만 송훈 선생의 세밀화는 서양의 보태니컬 아트 botanical art가 따라올 수 없는 경지의 그림이다. 그 까닭은 자연을 본떠 그리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그림에 작가만의 심상과 정신을 담아내는 고고한 그림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이 광릉요강꽃 그림과 칸디 하우스의 서랍장은 그 맥이 닿아 있는 듯하다. 정신을 담아, 체열을 담아 손으로 다듬고 매만진 것이 그렇다. 거기에 캘리그래퍼 강병인 선생의 손글씨 ‘자연이 가득한 집’이 화룡점정으로 찍혀 있다.

이렇게 손맛과 마음의 멋이 담긴 세 ‘작품’이 만나 <행복> 4월호의 표지가 되었다. 이 표지 이미지는 3월 24일부터 열리는 서울리빙디자인페어의 홍보용(포스터, 인쇄 매체 광고, 배너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홍보용 이미지로 사용하는 작품은 송훈 선생의 세밀화 ‘연과 물총새’에 인디테일의 레트로풍 가죽 암체어를 조합한 그림(왼쪽 페이지), 역시 세밀화 ‘자목련’에 호사컴퍼니의 접시 모양 시계를 조합한 그림이다. 이 이미지들은 ‘자연이 가득한 집’이라는 2011년 테마를 제대로 드러낸 것이라 할 만하다. ‘꽃’이라는 자연의 창조물과 ‘집’이라는 인공의 창조물이 한 몸처럼 어우러진 이미지다. 인간의 일상은 자연에 뿌리박은 채 인공의 삶을 소비하고 향유하는 것 아니겠는가. 정리하자면 인공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공생의 터전, 그것이 바로 ‘집’인 것이다.
1994년, “<행복이 가득한 집>에 소개되는 인테리어 관련 제품을 어디에서 구입할 수 있느냐?”는 독자들의 빗발치는 문의를 보면서 “지면에서만 보던 생활 인테리어 디자인을 실제로 보여주고 체험할 수 있게 해줘야겠다. <행복>이 독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디자인, 제품을 연결하는 거간꾼이 되어야겠다”는 마음으로 시작한 것이 서울리빙디자인페어다. 1994년 3월 4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첫 번째 서울리빙디자인페어는 ‘국내 최초의 인테리어 대전’ ‘공간 꾸밈 아이디어와 지혜의 잔치’라는 정겨운 수식과 함께였다. 무엇보다 ‘어떻게 편안한 공간을 꾸밀 것인가’에서 머무는 게 아니라 ‘그 공간 속에서 어떻게 의미 있는 삶을 살 것인가’라는 철학까지 담고 있었다. 여기에서 출발해 매년 봄 열리는 이 전시는 이제 아시아 최대 규모의 리빙 비즈니스 전문 전시회로 성장했다. 무엇보다 <행복> 독자들이 얼마나 현명하고 감각 있는 소비자인지를 여실히 보여주는데, 코엑스의 성공 전시 중 랭킹 5위 안에 드는 전시로 자리잡은 것이 그 증거다. 특히 올해 서울리빙디자인페어는 ‘자연이 가득한 집’이라는 메인 테마에 맞춰, 집이라는 울타리에서 우리가 ‘자연스럽게, 자연답게, 인간답게’ 사는 법을 보여주는 ‘아이디어와 지혜의 잔치’가 될 것이다. 편안하게 꾸민 공간에서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싶은 독자라면 이 ‘자연이 가득한 잔치’에 꼭 들러보시길. 2011년 서울리빙디자인페어는 3월 24일부터 28일까지 코엑스 A, B 홀에서 열린다. www.livingdesignfair.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