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2236, Hongcheon, 2010, Laserchrome Print, 135.6x257.2cm
북극, 설악, 돌에게, 구름 위에서. 그동안 권부문이 찍은 사진들이다. 이 사진들은 작가를 풍경 사진작가로 범주화하게 해준다. 그러면서도 그 풍경의 의미와 범주가 예사롭지 않다.
이를테면 북극 오지를 탐험하면서 빙산과 빙하를 찍은 일련의 사진에서 작가는 풍경을 극단까지 밀어붙여 비현실적 비전을 이끌어낸다. 주지하다시피 북극은 유한에서 무한을 꿈꾼 낭만주의자들의 이상향이었고, 현실 세계 너머로 도피를 감행하게 해주는 상징적 좌표였으며, 죽음의 메타포였다(롤랑 바르트 역시 사진의 본질을 죽음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북극을 탐험한다는 것은 유한한 삶과 무한한 세계, 현실적 삶과 내세의 경계 위에 서는 것을 의미하며, 작가의 북극 사진은 눈이 시리도록 파란 그리고 투명한 그 경계 위의 색깔을 감지해낸다. 그리고 또 다른 결정적인 사실 하나를 덧붙이자면 파란색은 낭만주의의 상징 색이었고, 그 색은 죽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죽음은 현실에 오염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순수하다. 작가의 북극 사진은 그 순수한 영토에 발을 들여놓고 있다는 어떤 의외성과 알 수 없는 낯섬 앞에 서게 만든다.
그리고 설악의 속살을 드러낸다거나, 가장 흔한 돌에서 사물 초상화의 개념을 감지해낸다거나, 비행기 시점과 같은 시점을 그 극한까지 끌어올려 하늘과 바다의 경계를 지운다. 말하자면 하늘 바다라고 하는, 어쩌면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유의 풍경을, 비전을 열어놓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풍경은 일종의 개념으로, 자연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자연이 저절로 주어진 것이라고 한다면, 풍경은 인문학적 소산이다. 자연을 자신의 안쪽으로 불러들여 재차 게워낸 것이며, 주관적이고 개인적이 면서 사사로운 비전이 덧붙은 것이 풍경이다. 한마디로 풍경은 해석된 자연이다. 현실과의 감쪽같은 닮은꼴 탓에 사진은 영락없는 현실 자체인 것 같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가 않다. 사진의 특수성을 말해 주는 계기들이 여럿 있지만, 가장 결정적인 차이로는 프레임의 유무를 보면 된다. 이를테면 보통의 시각 경험은 결코 프레임을 통해서 이루어지지가 않는다. 프레임은 세계의 특정 부분을 한정하는 것이며, 자연의 어떤 속성을 부각하는 장치다. 세계에, 자연에, 현실에 주체가 개입하고 간섭하게 해주는 인공적이면서 미학적인 매개 장치인 것.
(왼쪽) Untitled #3271, Seorak 2010, C-Print, 305.6x124.6cm
Naksan #8160, 2010, Laserchrome Print, 237.2x167.2cm
Naksan #4270, 2010, Laserchrome Print, 155.6x195.6cm
그렇다면 권부문은 이 매개 장치를 통해 자연을 어떻게 풍경으로 전환하고, 그로부터 어떤 인문학적 소양을 끄집어내는가. 이번 전시의 주제는 ‘산수와 낙산’이다. 산수는 장르 개념이고 낙산은 지명이다.
편의상 구분해본 것이지만, 사실 산수 역시 실재하는 어떤 지점을 찍은 것이란 점에서 지명과 통한다. 산수와 낙산이란 지명은 이번 전시의 두 축인 셈인데, 산수를 통해 특유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지명을 통해 그때 그곳에 내가 있었음을 증명하는 것. 미학적 경험과 함께 존재의 증명이 수행되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존재의 증명은 사진의 또 다른 본질이다).
주지하다시피 산수는 수묵화의 전통적이고 전형적 장르다. 산수 시리즈를 통해 작가는 마치 수묵화와도 같은 깊고 심원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그리고 그 분위기는 겨울에 특히 잘 드러난다. 겨울의 자연은 한층 더 산수답다. 겨울에 산은 헐벗고 나무도 헐벗고 색깔도 헐벗는다. 그래서 무채색 일색인 겨울 산은 성글고 그 골기가 더 잘 드러나 보인다. 여기에 눈이라도 내리면 검은 나무와 흰 눈의 대비가 뚜렷해지고, 골짜기 사이에 흐르는 희뿌연 눈발이 그 대비를 더욱 두드러지게 하면서 원근을 만든다. 이렇게 겨울 산은 첩첩이 중첩돼 쌓이면서 수직 구조를 강조하고, 화면 안쪽으로 열린 것 같은 깊숙한 느낌을 자아낸다.
그리고 작가의 시점은 낙산 시리즈의 경우 산에서 바다로, 올려다 보던 것에서 멀리 내다보는 것으로 옮아온다. 산수 시리즈에서 수직 구도와 함께 적막감을 강조하고 있다면, 낙산 시리즈에서는 옆으로 무한정 연장된 것 같은 수평 구도와 함께 막막함을 떠올리게 한다. 막막함이 적막감을 집어삼키고, 가없음이 숭고한 골기를 끌 어안는다. 가없다는 것, 끝없다는 것, 무한정 연장돼 있다는 것, 그것의 성질은 삼킴이며, 끌어안음이며, 포용력 속에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작가는 그리고 우리는 무엇을 내다보는가. 멀리 내다보이는 그것 또는 그곳은 밤이며, 어둠이며, 심연이며, 죽음이며, 무한이다. 무한한 어떤 지경 위에 내가 서 있다는 것, 그것은 세계가 지워지고 재편되는 경험이다. 그 지경 안쪽으로부터 마치 시간의 전령인 양, 무한한 세계의 화신인 양 눈발들이 표표히 건너오고 있다.
(왼쪽) Untitled #1799, Seorak, 2010, C-Print, 305.6x158.6cm
산수의 전통적 미덕은 와유다. 내가 그림 속에 들어가서 노니는 것. 실제로 노닌다기보다는 그 경지를 암시한 것. 그리고 낙산은 무한한 세계에 직면해 있다는 존재의 증명을 암시한다. 작가의 풍경 사진은 큰 편이다. 마냥 큰 것이 아니라, 산수의 와유와 낙산의 무한을 담아낼 만큼 크다. 그래서 그 큰 사진(풍경) 앞에서 우리는 사실 사진(풍경) 속에 들어가 있다고 느낀다.
|
||
문의 학고재 갤러리(02-720-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