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아기는 남녀 간의 육체적 결합으로 태어난다.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다. 그러나 새 생명의 탄생은 단순히 동물적 교합의 결과물이 아니다. 흔히 사람은 ‘아버지로부터 뼈를 빌리고 어머니로부터 살을 빌려 태어난다’고 한다. 또 ‘아버지는 하룻밤 신세고, 어머니는 열 달 신세’라는 말도 있다. 이처럼 새 생명은 부모의 의지와 노력에 의해 태어난다.
하지만 부모의 의지만으로 생긴다고 말하는 건 너무 단편적 이야기다. 우리 조상은 아무리 부모가 아이를 갖고자 해도 신의 점지가 없으면 안 된다고 믿었다. 아이는 삼신할미의 숨을 빌려 태어난다고 믿었다. 그래서 선조들은 아기의 탄생을 신의 뜻이라 여겼다. 아이를 낳으면 ‘얻었다’고 한 것도 그런 까닭에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없는 아기’ 점지해주고, ‘있는 아이’ 수명 장수토록 키워주는 삼신할미를 집안 시렁 위에 모신 경우를 보기가 어렵지 않았다. 삼신할미가 아기를 점지해 태중에서 열 달 동안 잘 키워주고 순산시킨 후 아무 탈 없이 길러주고 복을 내려준다고 믿었다. 한마디로 삼신할미는 아기를 점지 해주고(生), 명을 주고(壽), 키워주는(育) 신이다. 그런데 이 삼신할미는 한 명의 임신부만 돌본다고 한다. 그래서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산달이 같을 경우 며느리는 반드시 친정으로 돌아가서 아이를 낳았다. 삼신은 순산을 위해서도, 엄마의 젖이 부족해도, 아기가 잔병치레를 해도 극진히 모셨다. 아기 엉덩이에 있는 푸른 몽고반점도 삼신할머니가 어머니 배 속에서 빨리 나가라고 때린 자국이라고 여겼다. 예나 지금이나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불임은 가장 큰 고통이요, 불행이다. 옛날에는 ‘불효삼천 不孝三千에 무후위대 無後爲大’라 하여 3천가지의 불효 조목 가운데 아들 낳지 못한 것처럼 큰 것이 없다고 했다. 따라서 여인들은 아들을 낳기 위해 명산대천이나 바위, 샘, 돌, 서낭당, 칠성당 등에 빌고 또 빌었다. 공자님도 어머니가 산에 가 지성으로 기도를 올린 후 태어났다고 한다. 공자의 아버지 숙량홀은 70세 때 공자를 얻었다. 숙량홀은 본래 노나라의 시씨 집안의 딸과 혼인해 아홉 명의 딸을 낳았다. 아들이 없어 첩을 들였지만 태어날 때부터 다리가 불구인 맹피라는 이름의 아들을 낳았다. 후사가 걱정된 숙량홀은 70세의 나이에 친구의 셋째 딸인 안징재라는 10대 소녀와 새장가를 들었다(무려 50여 년의 나이 차이가 나는 70대 영감과 젊은 처녀의 결합으로 태어난 이가 바로 공자시다). 아들을 간절히 바란숙량홀은 어린 부인 안씨와 중국 산둥성 곡부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니구산 尼丘山에 가 산신께 기도를 드렸고, 드디어 아들을 얻었다. 그래서 이름도 산 이름을 따 ‘구 丘’로 지었고, 관례할 때 지은 자字도 ‘중니 仲尼’라 지었다 한다. 사마천은 공자의 출생을 두고 <사기 史記>에 ‘야합 野合’, 즉 불륜 관계로 태어났다고 적기도 했다.
우리 선조는 아기가 삼신에게서 숨을 빌려 태어난다고 믿어 임신이 안 될 때에는 아들을 여럿 낳은 산모의 옷을 가져다 입으면 삼신이 옮겨와 자식을 낳을 수 있다고믿었다. 정월 초하룻날 낳은 달걀을 먹으면 아이를 잉태한다고도 여겼다. 또한 황소나 수퇘지의 생식기를 몸에 지니거나 삶아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고 믿어, 아들 낳기를 바라는 집에서는 아예 암컷은 먹지 않고 수컷만 먹기도 했다. 경상북도 지방에서는 남의 논에서 1백 개의 이삭을 주워밥을 짓기도 했다. 심지어 돌부처나 돌장승의 코를 갈아 그 가루를 마시기도 했다. 코를 가루로 만들어 먹는 것은 코가 남성의 성기에 비유되기 때문이었다. 또한 비석에 새긴 글자 중 아들과 관련한 한자만 떼어 가루로 만들어 먹기도 했다. 서양에서도 성인 조각상의 성기 부분에서 긁어낸 가루를 물에 타 마시면 임신할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남성의 성기를 연상시키는 마르멜로(장미과의 과일나무)와 무화과, 열매 씨가 많은 석류를 먹으면 임신하는 특별한 효능이 있다고 믿었다. 심지어 갓난애의 태를 훔쳐다 밥을 지어 먹거나 산모의 월경대를 몰래 훔쳐다 몸에 두르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기도 했다.
아들을 잘 낳는 여인상은? 여인은 어떤 상이어야 자식을 여럿두고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을까. 조선 영조(1766년) 때 유중림은 <증보산림경제 增補山林經濟>에서 여인이 자식을 두고 영화와 부귀를 누릴 상을 이렇게 기술했다. “우선 눈동자가 길고 눈이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으며, 살갗이 부드럽고 윤택해야 한다. 얼굴은 거위 알처럼 생기고, 어깨는 둥글고 등은 두꺼워야 한다. 코는 오뚝하고, 눈은 봉황의 눈이어야 하고 눈썹은희어야 한다. 이마는 평평하고 목소리는 화하고 기가 충만해야 한다. 그리고 손은 봄에 돋아나는 죽순과 같아야 하며, 손바닥은 피를 뿌린 듯 붉고, 젖꼭지는 검고 단단해야 한다. 배꼽은 깊숙하고 뱃살은 두꺼우며 볼기는 펑퍼짐하고 배가 커야 한다.” 결코 현대 미인의 조건으로서도 손색이 없다. 그렇다고 반드시 여인의 미색이 반반하다고 해서 아들을 잘 낳는다고 여기지는 않았다. 비록 얼굴이 못났더라도 눈이 샛별 같고, 입술이 주홍색처럼 붉고, 복부가 도톰하고, 배꼽이 깊숙하고, 허리가 곧고 몸이 단단하면 귀한 아들을 낳을 상으로 보았다. 또한 여인이 비록 마르고 여위었더라도 입술이 붉으면 아이를 잘 낳고, 행실을 갖출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반면 입술이 창백하거나 엷은 여인은 아이를 잘 낳지 못한다 하여 며느리로서 결격 사유가 되어 기피 대상으로 여겼다.
반면 투기와 시기가 심한 여인은 아이를 못낳는다고 하였다. 투정이 심하면 피가 건조해지고 기가 막히며, 월경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이라 보았다. 또한 평소 남과 다투지 않고, 어려운 일이 있어도 원망하지 않으며, 음식을 절제할 줄 알고, 무슨 이야기를 들어도 놀라지 않으면서 기뻐하며, 남을 존경할 줄 아는 네가지 덕성을 갖추면 반드시 귀한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했다. 또 예부터 여인의 상을 볼 때 이마는 부모, 코는 남편, 입은 자식, 눈은 귀천 貴賤을 상징하여 이 네 가지를 잘 갖추어야만 복을 받는다고 여겼다. 그래서 네 가지 상에 복과 덕을 상징하는 등이 바르고, 자식이 실려 있는 배꼽과 배가 두꺼워야만 아들을 잘 낳을 수 있는 여성이라고 판단했다.
아들을 낳기 위한 잠자리 방법 선조들은 부부가 언제 잠자리를해야 잉태를 잘할 수 있다고 여겼을까. 젊다고 밤낮없이 함부로 정사를 하고 색욕을 탐하는 것을 극히 삼갔다. 그러하면 여인의 음도 陰道가 훼손되어 월경이 나오지 않아 병이 생기고 아이를 가지지 못하게 된다고 했다. 밤하늘이 개고, 바람이 온화하며 달이 밝은 날은 음양이 교합하기 좋은 날로 여겼다. 반면 초하루나 보름, 그믐날, 바람부는 날이나 비가 오고 안개 낀 날, 천둥 번개가 치는 날 성교를 하면 사람의 정신이 손상을 가져온다고 믿었다. 특히 남성의 손해가 백배나 되고, 여성도 병을 얻는다고 했다. 그뿐만 아니라 이날 교합을 해서 태어난 아이는 성질이 사납고 간질병이나 귀머거리가 되거나 사팔뜨기가 되는 등 병이 많고 명이 짧아 일찍 죽거나 불효하고 어질지 못하다고 여겼다.유중림은 아들 낳는 잠자리 방법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남자는 여인이 눈을 감고 몸을 뒤틀며 양쪽 볼이 붉어지고 열이 나고, 코와 입의 기운이 서늘해지면, 양손으로 죄듯이 포옹하고 여인의 입과 코에 맞댄다. 그런 다음여자는 불고, 남자는 들이마시면서 진기를 빨아들여 정신적 교접을 한 후 힘을 써남근을 질 속에 깊이 삽입하면, 여자는 사지를 못 쓰면서 미끄러운 정액이 흘러넘치면서 자궁이 벌어지게 된다. 이때 남자가 사정을 하게 되는데, 사정을 할 때는 여인의 윗입술을 깨물어 여인을 스스로 놀라게 한다. 이어 남자는 불고 여자는 빨아들이기를 대변과 소변을 참는 모양같이 하면 남자의 정액이 비로소 섞이게 되어 임신을 하게 된다.”(<증보산림경제> 중에서)
태몽 없이 태어난 이는 하나도 없다 임신에는 늘 태몽이 따르게 마련인데 태몽은 임신 중이나 출생 직후에 많이 꾼다. 조상들은 태몽이 태어날 아기의 성별뿐만 아니라 장래의 인물됨과 운명까지 좌우한다고 믿었다. 정몽주는 태몽이 난초였다 하여 아명 兒名을 몽난夢蘭이라 지었다고 한다. 이율곡의 어머니 사임당은 검은 용의 태몽을 꾸고 율곡을 낳았다 해 아명을 현룡 見龍이라 짓고, 산실도 현룡실이라고 했다.
지금도 임신을 하면 무엇보다 배 속 아이가 아들인지 딸인지를 가장 궁금해한다. 꿈에 해를 삼키거나 달을 몸에 받아들이면 아들이라고 여겼다. 구렁이, 호랑이, 뱀, 돼지, 장닭 같은 동물이 나와도, 호박,무, 고추, 호두, 송이버섯, 은행, 오이, 밤, 가지 등이 나와도 아들이라 여겼다. 반면 암소, 고양이, 말, 실뱀 등은 딸을 상징한다 여겼다. 또 꿈에 금반지를 보거나 밤송이가 뚝뚝 떨어지면 아들이고 쭉 벌어지면 딸, 젓가락을 얻으면 아들이고 숟가락을 훔쳐 오면 딸, 고추를 따면 아들이고 애호박을 따면 딸이라 여겼다.
태몽 외에 임신부의 생김새와 행동을 보고 태아의 성별을 분별하기도했다. 임신부의 배가 펑퍼짐하고 둥글면 아들이고 뾰족하면 딸, 임신부의 엉덩이가 펑퍼짐하면 아들을 잘 낳고, 뾰족하면 딸을 잘 낳는다고 여겼다. 산모의 배를 쓸어보아서 술잔을 엎어놓은 것 같으면 사내고, 팔꿈치와 목처럼 울퉁불퉁 일어나면 계집, 배 속 아이가 부산하면 아들이고 얌전하면 딸, 임신부의 왼쪽 유방에 핵이 있으면 아들이고 오른쪽 유방에 핵이 있으면 딸이라짐작했다.
산모의 입덧을 보고 판단하기도 했는데, 입덧이 거의 없으면 아들이고 심하면 딸이라 믿었다. 또한 임신부를 뒤에서 불렀을 때 왼쪽으로 돌아보면 사내아이요, 오른쪽으로 돌아보면 딸이라 여겼다. 특히 임신부가 뒷간에 갈 때 이방법을 쓰면 영험이 있다고 믿었다. 임신부가 마음대로 누울 수 있으면 아들이라고 믿기도 했다.
이처럼 태어날 아기의 성별을 미리 점치는 방법은 비단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프랑스에서는 임신부의 가슴 사이로 동전을 던져보아 동전이 오른쪽으로 떨어지면 아들이고, 왼쪽으로 떨어지면 딸이라 여겼다. 다만 서양의 경우 아들과 딸을 상징하는 방향이 우리와는 정반대이다. 임신부가 집에 들어가는 것을 몰래 관찰해서 오른발을 먼저 들여놓으면 아들, 왼쪽일 경우는 딸이라고 해석했다. 동양에서는 왼쪽을 양 陽으로 여겨 남성적이라 판단하고, 오른쪽을 음 陰으로 여겨 여성적이라 본 철학의 차이 때문이다. 임신부가 즐겨 먹는 음식을 두고서도 남녀 태아를 판정하기도 했다. 가령 쇠고기를 좋아하면 아들이고, 돼지고기나 비빔밥을 좋아하면 딸이다. 송편에 솔가지를 넣어서 임신부로 하여금 씹게 한 다음 뾰족한 부분이 나오면 아들, 밑둥 부분이 나오면 딸이라 여기는 방법도 있었다. 이 밖에도 부부의 나이를 더해서 홀수가 되면 남이고 짝수면여아, 산모의 나이가 짝수고 산달이 5월 이전이면 아들을 낳고, 산달이 단오 이후면 딸을 낳는다는 속설도 전해진다.
- [우리 문화 들여다보기] 조상들이 생각한 아기 탄생의 비밀 비나이다, 비나이다 삼신할미께 비나이다
-
우리 선조가 아기 탄생에 대해 가진 믿음만큼 흥미진진한 것도 없다. 아들 낳는 여인네의 생김새, 아들 낳게 하는 잠자리 방법, 태몽의 세세한 뜻풀이까지 한 생명의 탄생에 얽힌 선조의 믿음은 비록 비과학적 속설일망정 세상의 이치를 꿰뚫는 지혜가 담겨 있다.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0년 10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