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 물기가 도는 오후 4시 무렵, 박수근의 납작 지붕 그림처럼 야트막한 산에 안긴 납작한 집에서 이 그림을 보고 누웠으면 참 좋겠다. 풀과 벌레와 공기가 뒤섞인 봄의 냄새가 훅 끼쳐 오고, 뻐꾸기는 비현실적으로 청명하게 울고. 눈물 그렁해지는 졸음을 즐기며 이 그림 아래 다듬잇돌 베고 누워 있고 싶다.
4월호 표지 작품인 ‘비움과 채움’은 이렇게 서정의 미 가득한 그림이다. 군더더기 없는 단아한 형상들, 맑은 색채, 그림을 떠도는 사색의 기운 때문이다. 그런데 좀 자세히 들여다보니 파격이 보인다. 토마토 열매 하나하나, 도자기 그릇, 나무판이 모두 따로따로의 조각인 그림이다. 그 조각들이 한지 바탕 위에 퍼즐 맞추듯 끼워져 있다. “한지 바탕에서 그릇이 들어갈 자리, 나무판이 들어갈 자리, 토마토가 올라갈 자리를 조각하듯이 칼로 파내는 거죠. 그 홈과 똑같은 크기로 토마토, 그릇, 나무판을 그리고 파낸 그 홈에 짜 맞추듯 끼우면 작품이 완성됩니다.” 그 날카로운 테두리 선의 맛은 그렇게 얻어진 것이다.
이 ‘짜 맞춤’은 다른 작품에서도 드러난다. 달항아리가 놓인 탁자는 바탕을 파내고 그 안에 진짜 나무를 끼워 넣은 것이고, 공중에 뜬 막사발도 따로 그린 그림을 바탕에 끼운 것이다. 우리 도자기의 상감기법(금속이나 도자기 따위의 표면에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겨서 그 속에 같은 모양의 금, 은, 보석, 뼈, 자개 따위를 박아 넣는 기법)과 비슷하다. 게다가 달항아리, 막사발, 분청사기 그림은 진짜 유약을 바른 듯 반짝이고(돌가루와 안료를 혼합해 그리고 코팅 처리한다), 도자기 표면의 갈라진 틈새까지 보인다. 흙과 유약과 나무가 뜨거운 불 속에서 혈투를 벌이다 만들어낸 균열, 유약의 흘러내림도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이렇게 그리기까지, 아니 이렇게 만들기까지 그야말로 고초의 시간이었어요. 한지가 숨을 쉬는 소재이기 때문에 짜 맞춘 후 마르고 나면 틈이 벌어지거나 뒤틀리곤 했죠. 그 노하우를 알아내는 데 한세월, 똑같은 크기로 잘라내는 데 한세월, 또 평면처럼 보이게 끼워 넣는 데 한세월…. 그냥 평면 위에 일필휘지로 그리면 되지 뭐하러 이 짓을 하나 싶다가도 어느 순간 나도 모르게 무아지경에 빠져버리는 겁니다. 그리고, 자르고, 끼워 넣는 데 몰두하다 보면 시간도 초월하고 내 미망도 초월해 있죠. 이 작업이 내게 수련의 시간이겠다 싶어서 이제 기쁘게 합니다.” 그렇게 무아지경으로 몰입하다 보면 어느 순간 투명한 말들이, 마음들이 그의 중심에 고요하고 격렬히 쌓이는 걸 느낀다.
최근 그의 작품 제목이 ‘비움과 채움’으로 여일한 이유가 있다. 그는 ‘파내고(비움)’ ‘끼워 넣는(채움)’ 작업을 통해 자신을 비우고 채우는 이치를 깨달았다. “내가 큰 그릇이 되는 것에만 눈을 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가 중요함을 이제야 안다. 담기 위해선 그 전에 그릇을 비워야 한다.” 그가 쓴 전시 서문에 그 마음이 불도장처럼 찍혀 있다. 그는 “허명의 덫에 스스로를 가두지 않아, 더 아이 같고 더 어른 같은 사람이 되리라” 결심하고 자기 수련 중이다.
경계를 넘어서 도자기 그림 표면에 코팅 작업을 하든 하지 않든 그의 그림은 수수하고 질박하다. 화장 안 한 누이의 얼굴 같다. 그리고 그림 안에 공명이 있다. 하늘 위에 두둥실 뜬 달항아리, 후광을 발하며 공중에 뜬 토마토 그릇, 황톳물 들인 한지 위로 떠오른 청화백자까지 공간을 부유하며 나지막한 음을 만들어낸다. 빈 항아리를 두드릴 때 나는 공명. 그의 작품에서 초현실을 발견했다면 이 공명 때문이리라. 그의 작품을 오래 들여다봐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동양화와 서양화 기법을 한데 쓰기 좋아하는 그는, 토마토는 동양화 기법으로 농담을 그윽하게, 그릇과 나무판은 서양의 수채화 기법으로 물감을 겹쳐가며 그렸다. 또 자로 잰 듯한 테두리 선의 정확한 기하학은 서양화 기법이라 할 수 있고, 상감기법은 동양의 것이다. 동양화와 서양화의 경계, 그림과 조각(잘라내고 끼워 넣는 행위를 거치므로)의 경계, 그리고 삼라만상의 경계가 그림 안에 다 있다. 그의 그림 한 조각 한 조각처럼 삼라만상은 독립된 소우주다. 그래서 그 경계가 칼로 자른 듯 날카롭지만 그것이 한데 어우러지면 또 하나의 몸이 된다. 나와 너의 경계는 엄연하지만 함께 만나 사랑하고 한몸이 되듯이. 그의 그림은 이 깊숙한 깨달음을 준다.
(위) ‘비움과 채움’, 한지・혼합 재료(상감기법), 2009
(왼쪽) ‘비움과 채움’, 한지・혼합 재료(상감기법), 2008
(오른쪽) ‘군자의 향 4호’, 한지・혼합 재료, 2009
4월호 표지 작품인 ‘비움과 채움’은 이렇게 서정의 미 가득한 그림이다. 군더더기 없는 단아한 형상들, 맑은 색채, 그림을 떠도는 사색의 기운 때문이다. 그런데 좀 자세히 들여다보니 파격이 보인다. 토마토 열매 하나하나, 도자기 그릇, 나무판이 모두 따로따로의 조각인 그림이다. 그 조각들이 한지 바탕 위에 퍼즐 맞추듯 끼워져 있다. “한지 바탕에서 그릇이 들어갈 자리, 나무판이 들어갈 자리, 토마토가 올라갈 자리를 조각하듯이 칼로 파내는 거죠. 그 홈과 똑같은 크기로 토마토, 그릇, 나무판을 그리고 파낸 그 홈에 짜 맞추듯 끼우면 작품이 완성됩니다.” 그 날카로운 테두리 선의 맛은 그렇게 얻어진 것이다.
이 ‘짜 맞춤’은 다른 작품에서도 드러난다. 달항아리가 놓인 탁자는 바탕을 파내고 그 안에 진짜 나무를 끼워 넣은 것이고, 공중에 뜬 막사발도 따로 그린 그림을 바탕에 끼운 것이다. 우리 도자기의 상감기법(금속이나 도자기 따위의 표면에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겨서 그 속에 같은 모양의 금, 은, 보석, 뼈, 자개 따위를 박아 넣는 기법)과 비슷하다. 게다가 달항아리, 막사발, 분청사기 그림은 진짜 유약을 바른 듯 반짝이고(돌가루와 안료를 혼합해 그리고 코팅 처리한다), 도자기 표면의 갈라진 틈새까지 보인다. 흙과 유약과 나무가 뜨거운 불 속에서 혈투를 벌이다 만들어낸 균열, 유약의 흘러내림도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이렇게 그리기까지, 아니 이렇게 만들기까지 그야말로 고초의 시간이었어요. 한지가 숨을 쉬는 소재이기 때문에 짜 맞춘 후 마르고 나면 틈이 벌어지거나 뒤틀리곤 했죠. 그 노하우를 알아내는 데 한세월, 똑같은 크기로 잘라내는 데 한세월, 또 평면처럼 보이게 끼워 넣는 데 한세월…. 그냥 평면 위에 일필휘지로 그리면 되지 뭐하러 이 짓을 하나 싶다가도 어느 순간 나도 모르게 무아지경에 빠져버리는 겁니다. 그리고, 자르고, 끼워 넣는 데 몰두하다 보면 시간도 초월하고 내 미망도 초월해 있죠. 이 작업이 내게 수련의 시간이겠다 싶어서 이제 기쁘게 합니다.” 그렇게 무아지경으로 몰입하다 보면 어느 순간 투명한 말들이, 마음들이 그의 중심에 고요하고 격렬히 쌓이는 걸 느낀다.
최근 그의 작품 제목이 ‘비움과 채움’으로 여일한 이유가 있다. 그는 ‘파내고(비움)’ ‘끼워 넣는(채움)’ 작업을 통해 자신을 비우고 채우는 이치를 깨달았다. “내가 큰 그릇이 되는 것에만 눈을 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가 중요함을 이제야 안다. 담기 위해선 그 전에 그릇을 비워야 한다.” 그가 쓴 전시 서문에 그 마음이 불도장처럼 찍혀 있다. 그는 “허명의 덫에 스스로를 가두지 않아, 더 아이 같고 더 어른 같은 사람이 되리라” 결심하고 자기 수련 중이다.
경계를 넘어서 도자기 그림 표면에 코팅 작업을 하든 하지 않든 그의 그림은 수수하고 질박하다. 화장 안 한 누이의 얼굴 같다. 그리고 그림 안에 공명이 있다. 하늘 위에 두둥실 뜬 달항아리, 후광을 발하며 공중에 뜬 토마토 그릇, 황톳물 들인 한지 위로 떠오른 청화백자까지 공간을 부유하며 나지막한 음을 만들어낸다. 빈 항아리를 두드릴 때 나는 공명. 그의 작품에서 초현실을 발견했다면 이 공명 때문이리라. 그의 작품을 오래 들여다봐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동양화와 서양화 기법을 한데 쓰기 좋아하는 그는, 토마토는 동양화 기법으로 농담을 그윽하게, 그릇과 나무판은 서양의 수채화 기법으로 물감을 겹쳐가며 그렸다. 또 자로 잰 듯한 테두리 선의 정확한 기하학은 서양화 기법이라 할 수 있고, 상감기법은 동양의 것이다. 동양화와 서양화의 경계, 그림과 조각(잘라내고 끼워 넣는 행위를 거치므로)의 경계, 그리고 삼라만상의 경계가 그림 안에 다 있다. 그의 그림 한 조각 한 조각처럼 삼라만상은 독립된 소우주다. 그래서 그 경계가 칼로 자른 듯 날카롭지만 그것이 한데 어우러지면 또 하나의 몸이 된다. 나와 너의 경계는 엄연하지만 함께 만나 사랑하고 한몸이 되듯이. 그의 그림은 이 깊숙한 깨달음을 준다.
(위) ‘비움과 채움’, 한지・혼합 재료(상감기법), 2009
(왼쪽) ‘비움과 채움’, 한지・혼합 재료(상감기법), 2008
(오른쪽) ‘군자의 향 4호’, 한지・혼합 재료, 20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