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롱&린’ 실루엣 무드의 출발점은 바로 뉴 욕 ― 런던 ― 밀라노 ― 파리로 이어지는 유명 패션 브랜드의 2006년 가을 ?겨울 컬렉션이라 할 수 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개성이 무대 곳곳에 넘쳐나긴 했지만 대체적으로 블랙과 그레이의 모노톤 컬러에 상의와 하의가 모두 길어지고 늘어지는 듯한 실루엣 의상이 주를 이루었다. 발목까지 늘어지는 저지 원피스를 덮은 거대한 블랙 코트와 벨트로 허리를 강조한 질 스튜어트, 상 ?하의가 붙어 있는 니트 소재의 긴 점퍼 수트에 롱 카디건과 베레모로 멋을 낸 소니아 리키엘, ‘통짜 몸매’를 드러냈던 H라인 실루엣과 벨트를 응용한 X자형 실루엣까지 믹스한 지방시…. 이들의 컬렉션 쇼에서 선보인 의상들은 ‘롱&린’ 실루엣의 노하우를 찾기에 충분했다. 전체적으로 과장된 요소와 장식을 없애고 심플한 것이 특징. 어떠한 장신구도 배제한 채 블랙 수트와 스키니 팬츠로 절제된 모더니즘을 보여주었던 질 샌더의 컬렉션이나 벌키bulky한 니트 상의에 블랙 레깅스를 연출한 파코라반 컬렉션을 참고하면 또 다른 유행 키워드인 ‘블랙 고딕’룩을 ‘롱&린’ 실루엣과 절묘하게 매치하는 센스도 발휘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자. 가늘고 긴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아이템으로는 스키니한 실루엣의 팬츠와 레깅스, 힙을 덮는 루스한 길이의 니트 소재 상의, 폭이 좁은 머플러 등이 있다.
‘롱&린’ 실루엣이 세계 4대 컬렉션을 점령한 후 국내 브랜드 역시 좀 더 ‘입을 수 있는’ 현실성 있는 아이템을 속속들이 출시하면서 스트리트 패션까지 가늘고 긴 실루엣의 연장선으로 패션계를 장악하였다. 하지만 패션 유행을 따른다고 66사이즈를 입는 통통한 몸매의 여성에게 체형이 드러나는 니트와 레깅스, 좁은 폭의 스키니 팬츠를 입으라고 감히 강요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포기하기는 아쉬운 일. 유행이란 여자라면 누구나 한번쯤 욕심낼 ‘달콤한 솜사탕’과 같은 마력이기에 약간의 패션 센스를 이용해 도전해볼 만한 일이다. 힌트는 바로 ‘눈속임’을 통한 착시 코디법. 컬러와 디자인, 소재 등의 믹스 매치를 통해 완벽한 ‘위장 패션’을 연출해보자. 먼저 시도해볼 만 한 스타일은 바로 컬러 코디.
마침 이번 시즌 블랙이 유행 컬러란 사실은 가늘고 길게 연출하고 싶은 여성의 욕망에 절호의 기회를 제공한다. 도회적인 세련미를 품고 있는 블랙 컬러는 원래 눈에 보이는 것보다 몸이 축소되어 보이게 하는 착시 현상을 가지고 있다. 2006년 가을 ?겨울 컬렉션 중 블랙 와이드 팬츠에 무릎까지 내려오는 저지 코트를 같은 컬러로 매치하여 당당한 여성 룩을 연출한 샤넬의 파리 컬렉션이나 시폰 블라우스와 울 소재의 팬츠를 믹스하여 블랙 컬러로 조화를 이룬 DKNY 뉴욕 컬렉션을 참조하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단 올 블랙은 잘못하면 지루하거나 무거워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티셔츠 정도는 빛바랜 듯한 오트밀 컬러의 아이보리나 화이트로 포인트를 주고 신발은 반짝이는 페이턴트patent 소재를 매치하는 것이 좋다.

이 정도 패션 노하우만 명심한다면 블랙커피와 차가운 샐러드로 끼니를 대신하는 ‘말라깽이’ 신드롬에 당당히 맞서면서도 패션 유행 센스를 발휘할 수 있다. 패션은 이미지를 파는 산업이라 무대에 선 마른 모델이 입은 옷을 보며 ‘나’와 동일시하고 싶은 것이 모든 여자의 자연스러운 욕망이다. 하지만 그 이미지를 만든 것은 현실 세계의 ‘나’라는 사실 또한 잊지 말자. 지난 10월에는 2007년 봄 ?여름 패션을 미리 선보이는 파리 컬렉션이 열렸는데 그중 장 폴 고티에 쇼에 등장한 모델 중 132kg의 체중이 나가는 모델이 등장해 최근 패션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빼빼 마른 모델을 풍자했다. 이런 소식을 미루어 짐작해보건데 내년 봄쯤이면 여성의 실루엣은 두루뭉술한 또 다른 실루엣이 탄생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생겨난다. 계절마다 변해가는 유행 스타일 의상에 몸을 맞추지 말고 자신의 몸에 어울리는 세련된 스타일 노하우를 터득한다면 옷 입기에 대한 해법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답이 되는 비밀의 열쇠만 찾는다면 더 이상 ‘패션 추종자’가 아닌 ‘패션 리더’의 자리에 오르는 것은 시간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