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임춘분&이송희 모녀 [엄마의 맛을 기록하다] 엄마의 맛을 ‘사진’으로 기록하다
“밥은 먹었니?” 엄마는 늘 끼니 걱정부터 하십니다. 자식 입에 밥 들어가는 것 보는 게 가장 행복한 일인 것이 부모의 마음이니까요. 삼시 세끼 밥해 먹이는 일을 숙명처럼 여기며 이른바 부엌데기를 자처하는 이들이 바로 우리의 어머니, 엄마입니다. 자식을 위해 몸과 마음을 다해 정성껏 만든 음식이니 세상 모든 아들딸에게 엄마의 맛은 배속과 마음속을 가득 채우는 행복한 먹거리인 동시에 최고의 미식美食일 수밖에요. 고단한 세상살이를 견디게 하는 위로이자 “괜찮아, 괜찮아” 하며 엄마가 넌지시 건네는 응원이 기도 합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마음이 시리고 아플 때, 홀로 적적할 때 가장 먼저 엄마가 해준 따뜻한 집밥이 떠오르는 것도 당연한 일이지요. 미식이 범람하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요즘 한창인 집밥 신드롬은 집에서 엄마가 해준 밥을 먹고 싶다는 현대인의 절절한 호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뿐인가요. 엄마의 음식은 입맛의 기준이기도 합니다. 태어나서부터 내내 길들여진 입맛인지라, 어떤 음식이든 맛의 기준은 엄마의 손맛에 따라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부엌에서 문지방을 넘어 안개처럼 부옇게 스며들던 찌개 냄새, 그 냄새와 맛에 홀려 밥 한 그릇 뚝딱 먹어치운 기억은 ‘우리 엄마’의 된장찌개와 김치찌개를 천상의 맛으로 등극시키기도 합니다. 가슴을 아련하게 하는 추억이라는 이름으로 말이지요. 레시피 카드로, 사진으로, 그림으로, 스크랩북으로, 요리책으로… 삶의 근간이 되는 엄마의 맛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기록하는 이들을 만났습니다. 그들이 추억하는 엄마의 음식도 거창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엄마의 맛을 기록하는 순간을 치유의 시간이라고 입 모아 말합니다. 엄마가 해준 밥 한 그릇을 뚝딱 비우고 나서야 비로소 배뿐 아니라 영혼의 허기를 달랜 경험, 당신이라고 없을까요? 언젠가는 엄마의 김치, 엄마의 찌개를 절절하게 그리워할 날이 오겠지요. 내 입에 달고 내 몸에 약이 되는 우리 엄마의 손맛을 기록해보세요. 가족을 위해 헌신한 엄마에게 바치는 헌사로 내게는 물론 우리의 엄마에게도 마음 훈훈한 선물이 될 겁니다.


집 떠나면 고향 집 엄마가 해준 음식 생각이 유난히 간절해집니다. 오죽하면 “향수병은 음식에서 시작한다”는 말이 다 있을까요. 그랑씨엘과 마이쏭의 오너 셰프인 씨엘쏭컴퍼니 이송희 대표는 경주 친정으로 내려가 엄마가 해준 음식을 먹어야 고단한 서울살이에 시름시름 앓는 향수병을 치유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친 몸과 마음을 ‘엄마 손맛’으로 위로받는 것이지요. 그래서 그는 엄마의 음식을 ‘삶의 치유제’라고 이야기합니다.

“경주 집에는 이름이 있어요. 연허당煙虛堂이라고, 허한 곳을 채운다는 뜻이지요. 그래서인지 힘든 일이 있어도 엄마가 해준 집밥을 먹으면 속이 개운해지는 기분이에요. 엄마표 음식은 재료가 푸짐해서 한눈에도 먹음직스러운데, 셰프로서 레시피가 탐날 정도로 음식 맛도 일품이에요.” 이탤리언이나 아메리칸 요리는 자신 있지만, 한식은 영 자신이 없어서 엄마 레시피를 모으기 시작했다는 그는 몇 년 전부터 엄마의 음식을 사진으로 남기고 있습니다. 사진은 포토그래퍼 출신의 남편 박근호 대표가 촬영하고, 그는 옛날 방식대로 재료와 순서만 알려주는 엄마의 비법을 레시피화해 정리하고 있지요. 그의 노트에는 쇠고기뭇국, 궁중떡볶이 등 엄마표 음식을 만드는 방법이 빼곡히 적혀 있는데, 엄마의 맛을 기록하는 일은 그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마흔둥이 막내딸인 엄마는 외할머니가 보고 싶을 때마다 친정엄마가 해주시던 음식을 상상하면서 만들어 먹었다고 해요. 엄마가 외할머니의 음식을 추억하면서 상상해 대물림한 손맛을 저는 사진과 레시피로 기록해 책으로 엮고 싶어요. 제가 엄마의 맛을 기억하는 일은 엄마가 친정엄마의 맛을 추억하는 일이기도 하니까요.” 엄마의 손맛 요리책을 손수 만들어주고 싶은 딸의 마음 씀씀이가 참 곱지요? 이송희 대표에게 엄마는 요리 스승이기도 하지요. 맛집 순위에 늘상 오르는 레스토랑의 셰프지만, 사실 그는 요리 학교에 다닌 적이 없습니다. 대신 그에겐 어릴 때부터 옆에 두고 재료 손질하는 법부터 가르친 엄마가 계셨지요. 딸은 엄마를 닮는다더니 그도 엄마처럼 머릿속에 맛을 그려본 뒤 자신만의 방식대로 음식을 만듭니다. 엄마에게 솜씨는 물론 기질도 물려받은 것이지요.

자식 입에 음식 들어가는 것만큼 기쁜 일이 없다는 여느 엄마처럼 이송희 대표의 엄마, 임춘분 씨에게도 밥상 차리는 일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입니다. 요즘은 딸의 쿠킹 클래스에서 종종 한식을 가르치기도 하는데, 딸내미 덕분에 요리 선생님 소리도 듣는다며 만개한 꽃처럼 활짝 웃습니다. 모녀지간은 세상에 둘도 없는 친구라더니 이들 모녀는 손맛으로 행복한 인생을 사는 진정한 동반자입니다.
글 신민주 기자


멸치 국물로 맛을 낸 엄마표 부추국수
“엄마는 늘 가족을 위해 음식을 한 상 차리시고도 당신은 부추국수를 삶아 드셨어요. 여름에는 국물을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끈하게 먹던 우리 집 별미지요. 엄마가 유난히 좋아하시는 음식으로, 국수에 부추를 넣는 것은 경주만의 방식이에요. 기본 식재료를 푸짐하게 넣고 조미료를 일절 사용하지 않지요. 맛 내기 비법이 있다면 기장산 멸치로만 우린 국물이에요. 찌개는 물론 떡볶이 국물에도 넣을 정도로 두루 사용하지만, 우려놓은 멸치 육수는 이틀만 지나도 맛이 떨어지므로 친정집 냉장고엔 늘 똥 뺀 멸치가 가득해요. 부추와 국수를 삶아 3년 묵은 김치를 송송 썰어 고명으로 듬뿍 얹고는 양념간장을 곁들여 먹으면 맛이 일품이지요. 집간장에 멸치 국물, 파, 양파, 마늘 등을 넣고 두 시간 정도 끓여 만든 것으로, 연허당 간장이라고 이름 붙였어요.” 

<행복> 음식문화팀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5년 9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