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박지은&김정미 모녀 [엄마의 맛을 기록하다] 엄마의 맛을 ‘요리책’으로 기록하다
“밥은 먹었니?” 엄마는 늘 끼니 걱정부터 하십니다. 자식 입에 밥 들어가는 것 보는 게 가장 행복한 일인 것이 부모의 마음이니까요. 삼시 세끼 밥해 먹이는 일을 숙명처럼 여기며 이른바 부엌데기를 자처하는 이들이 바로 우리의 어머니, 엄마입니다. 자식을 위해 몸과 마음을 다해 정성껏 만든 음식이니 세상 모든 아들딸에게 엄마의 맛은 배속과 마음속을 가득 채우는 행복한 먹거리인 동시에 최고의 미식美食일 수밖에요. 고단한 세상살이를 견디게 하는 위로이자 “괜찮아, 괜찮아” 하며 엄마가 넌지시 건네는 응원이 기도 합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마음이 시리고 아플 때, 홀로 적적할 때 가장 먼저 엄마가 해준 따뜻한 집밥이 떠오르는 것도 당연한 일이지요. 미식이 범람하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요즘 한창인 집밥 신드롬은 집에서 엄마가 해준 밥을 먹고 싶다는 현대인의 절절한 호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뿐인가요. 엄마의 음식은 입맛의 기준이기도 합니다. 태어나서부터 내내 길들여진 입맛인지라, 어떤 음식이든 맛의 기준은 엄마의 손맛에 따라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부엌에서 문지방을 넘어 안개처럼 부옇게 스며들던 찌개 냄새, 그 냄새와 맛에 홀려 밥 한 그릇 뚝딱 먹어치운 기억은 ‘우리 엄마’의 된장찌개와 김치찌개를 천상의 맛으로 등극시키기도 합니다. 가슴을 아련하게 하는 추억이라는 이름으로 말이지요. 레시피 카드로, 사진으로, 그림으로, 스크랩북으로, 요리책으로… 삶의 근간이 되는 엄마의 맛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기록하는 이들을 만났습니다. 그들이 추억하는 엄마의 음식도 거창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엄마의 맛을 기록하는 순간을 치유의 시간이라고 입 모아 말합니다. 엄마가 해준 밥 한 그릇을 뚝딱 비우고 나서야 비로소 배뿐 아니라 영혼의 허기를 달랜 경험, 당신이라고 없을까요? 언젠가는 엄마의 김치, 엄마의 찌개를 절절하게 그리워할 날이 오겠지요. 내 입에 달고 내 몸에 약이 되는 우리 엄마의 손맛을 기록해보세요. 가족을 위해 헌신한 엄마에게 바치는 헌사로 내게는 물론 우리의 엄마에게도 마음 훈훈한 선물이 될 겁니다.


“엄마는 세상의 모든 딸이 처음 경험하는 여성성이며, 최초로 관찰하는 역할 모델이다.” <엄마와 딸>의 저자 폴린 페리의 말처럼 엄마는 딸에게 생명을 준 창조자이고, 첫 숨을 쉴 때부터 도와준 구원자이며, 함께 의지하고 걸어갈 동료이기도 합니다. ‘마더스고양이’라는 닉네임으로 더욱 잘 알려진 <아기가 잘먹는 이유식은 따로 있다> <아이가 있는 집에 딱 좋은 가족밥상>의 저자 김정미에게 엄마는 소원을 들어주는 요술 램프 지니이자 궁금증을 풀어주는 백과사전이기도 하지요. 최소한 음식에 관해서는 말입니다.

“엄마는 매끼 다른 반찬을 만들어주셨어요. 심지어 결혼할 때는 폐백 음식과 이바지 음식까지 죄다 배우셔서 직접 해주셨어요. 음식을 만들고 밥상을 차리는 일은 엄마가 가족에게 표현하는 사랑인 셈이에요.” 결혼하고 나서도 끼니때만 되면 엄마에게 전화해 시시콜콜 묻는 일이 일상이었습니다. “엄마, 불고기는 어떻게 만들어? 돼지갈비 양념은?” 물으면 엄마는 기다렸다는 듯이 비법인 양념 공식을 일러주셨다지요. “불고기는 고기 100g에 간장 1큰술을 기본으로 하고, 거기에 설탕은 반 큰술 정도 넣어. 갈비는 뼈 무게를 감안해서 간장을 줄이고.” 물론 그의 엄마 박지은 씨가 처음부터 각종 양념의 비율을 수학 공식처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알려준 것은 아닙니다. 여느 엄마들처럼 이러저러한 재료가 ‘적당하게’ ‘알맞게’ ‘조금’ 들어간다는 두루뭉술한 손맛 계량법으로 알려주었지요.

세월 속에서 익혀낸 엄마의 경험과 ‘감’의 주문을 짧은 세월을 산 딸이 알아들을 리 만무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비율로 알려달라고 부탁드렸더니 언젠가부터 무침, 볶음, 조림, 찜, 구이, 국물 등 온갖 요리에 들어가는 양념의 재료와 비율을 정리해 양념 노트를 만들기 시작하셨어요. 모두 제가 이해하기 쉽고 오래 기억하라고 수학 공식처럼 정리하신 거죠.” 그가 요리 잘한다는 칭찬을 들으며 이유식 전문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엄마 덕인 거지요.

자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내공이 깊은 엄마의 요리 비법을 책으로 만들어 요리를 어렵게 여기는 사람들과 나누는 바람을 그는 최근에 이뤘습니다. 엄마 이름 석 자 ‘박지은’ 지음으로 <고마워! 엄마 양념>을 출간했지요. 정미 엄마, 지민이 할머니가 아니라 딸과 나란히 요리책을 낸 작가로 고운 엄마 이름 석 자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딸에게 일러주던 양념 비율과 집밥 공식으로 세상의 이름 모를 딸들을 응원합니다. “낯선 재료라도 정확한 방법만 알면 어렵지 않으니 걱정하지 마라. 엄마가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것은 가족을 응원하고 위로하는 중요한 일이란다. 딸아, 오늘도 가족을 위해 앞치마를 두르고 부엌에 서길 바란다.”


양념 공식으로 맛깔난 꽁치구이와 팽이겨자냉채
“엄마의 음식은 모두 특별해서 한 가지를 꼽을 수 없을 정도입니다. 봄이 되면 ‘정미야, 엄마가 봄을 보낸다’라는 메모와 함께 진달래화전을 보내주시기도 하고, 엄마가 해주신 약과는 시판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맛있어요. 고추장, 고춧가루, 양조간장, 청주, 올리고당은 같은 양으로 넣고, 설탕은 절반 넣는 기본 고추장 양념장은 꽁치나 황태를 구울 때 바르는 양념장이 되는데, 여기에 약간의 양념을 더해 만든 양념장을 올린 꽁치구이나 매콤한 겨자냉채를 좋아해요. 엄마 음식의 한 끗 차이도 결국 양념이에요. 김치찌개나 꽃게탕 등에 된장 1큰술을 넣는 것, 콩 통조림을 넣어야 제맛인 부대째개에 재료가 없으면 케첩으로 대신하는 것, 진미채무침에는 마요네즈 넣는 것 등이지요. 책에도 다 담지 못한 것들이에요.”

<행복> 음식문화팀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5년 9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