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뜨거운 물에 저어 마시는 가루차인 말차를 만드는 찻사발과 찻솔(앞).
2 차의 성질은 본래 냉 冷하므로 여름에도 뜨겁게 해서 마신다.
천년 고도의 향기가 흐르는 경주 시내, 나지막한 빌딩 사이에서 숨 쉬고 있는 전통 다원 & 갤러리 ‘아사가 我思佳’의 사립문 앞에 서면 한국 전통 차와 ‘차 정신’을 살리는 데 이바지한 지허 스님(선암사 주지)의 글귀 “찻집(茶室)은 볕이 잘 드는 한옥으로 지붕 위에는 항상 그늘이 드리워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이면 좋다. 이는 자생 차 밭의 자생 차가 좋아하는 환경과도 같다”를 떠올리게 된다.
맑고 고운 차 꽃을 연상시키는 김이정 대표가 아사가의 문을 연 것은 2002년, 계절이 여름으로 접어들 무렵이다.
“제일 처음 이 집에 와서 추녀 끝에서 떨어지는 낙숫물을 보면서 ‘여기에서 찻집을 해보고 싶다’는 발원 發願을 했어요. 친구가 와서 보고 폐허 같으니까 ‘꼭 해야 되겠냐’고 물을 정도였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저는 마당이 있어서 좋고, 그 마당에 꿈을 심을 수 있어서 좋고, 한지 같은 것도 오래돼서 좋았어요. 오래된 맛이 좋아요.”
인류의 음식 가운데 차만큼 오래된 것이 또 있을까. 기원전 2737년, 중국의 전설 속 황제 신농씨가 처음 차를 마셨다고 하고, 한편으로는 선종의 창시자인 달마대사가 깨어 있기 위해 자신의 눈꺼풀을 잘라 땅에 묻었는데 이것이 뿌리를 내려 각성 효과가 있는 두 그루의 차나무가 되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차가 유입된 것은 아유타야 국의 공주인 허황옥이 가야 왕비로 시집오면서 차와 씨를 가져오면서부터라고 한다.
“스물네 살 때쯤 직장 일과 관련해서 경주의 사찰인 기림사에 갔다가 그곳에서 처음 차를 마시게 되었어요. 그러면서 차차 차와의 인연이 깊어지면서 차의 질을 선별하고 함양하며 자기만의 차 생활을 즐기는 분들도 만나게 되었지요. 차 생활을 하면서 저 자신의 오만함과 이기심 등 모난 부분들을 다듬어가게 됩니다. 저에게 차는 말없는 스승이요, 찻자리는 스스로 가르침을 찾아서 체득하는 자리입니다.”

3 기획전이 없을 때 골동 다구를 상설 전시・판매하는 갤러리 ‘아사가’.

4 좋은 물, 좋은 차, 좋은 찻주전자가 만나면 좋은 차가 만들어진다.
5 빈속일 때는 차에 다식을 곁들여 먹는다. 위부터 사과・대추・송화 다식.
아사가에서는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차 밭에서 손으로 채취하여 수작업으로 법제한 뒤 아홉 번 덖고 아홉 번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차의 독성이라 할 수 있는 냉한 성질을 중화시킨 지리산 차를 비롯하여 중국의 보이차, 일본의 말차 抹茶 등의 전통차와 대추탕, 오미자차, 매실차 등 김이정 대표가 직접 담근 대용 차,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화차를 내놓는다. 차와 함께 먹는 다식도 일일이 손으로 만든 것이고, 겨울철에는 흰 가래떡 구이가 별미다.

아사가에서는 1개월에 한 번씩 차회 茶會가 열리고, 1년에 한 번씩 가을 음악회가 개최된다. 차회는 차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차를 마시고 음미하는 자리로, 인터넷 다음 카페 ‘아사가’를 통해 예약을 받는다. 정례 차회도 뜻깊은 자리이지만, 김이정 대표가 개인적으로 즐기는 차회는 날씨 좋은 날 새벽 왕릉에서 차를 마시는 것이다. 새벽 4시 30분, 김 대표는 차와 물과 찻주전자를 챙기고 지인들은 감자나 고구마, 김밥 등을 챙겨가 왕릉에서 만난다. 인적 없는 왕릉에서 안개 걷히고 해 뜨는 광경을 보는 기쁨이란 과연 어떠한 것일지…. 어쩌면 ‘자연이 가득한 집’은 누구라도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비워진 아사가 정원의 의자처럼,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차회를 만들어 즐기는 김이정 대표의 차 생활처럼, 마음의 빈자리에서 시작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웰빙 음식, 좋은 음식을 먹더라도 내 생각, 내 마음 자리 하나가 오염돼 있다면 아무 소용이 없겠지요. 찻자리는 차를 통해서 끝없이 마음을 공부하며 다듬어가는 자리입니다. 차 자체도 웰빙이잖아요.”
자연이 주는 대로 먹고 자라서 사람을 일깨우기 위해 자기를 헌신하는 차의 일생이 가리키고 있는 웰빙은 무엇인가? 아사가의 차와 다식은 주문 구매도 가능하다. 문의 054-771-7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