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행복 감각 좌식의 새로운 감각 - 오늘의 K-리빙
입식 시대에도 한국인의 생활은 여전히 바닥에서 시작된다. 온돌의 따스함과 좌식의 여유를 현대적으로 풀어낸 공간은 익숙하고도 새롭고, 낯설면서도 아름답다. 전통 소품과 모던한 가구가 어우러진네 가지 풍경 속에서 오늘의 K-리빙을 만나본다.

1 실의 높낮이를 활용해 섬세하게 짠 입체감 있는 체크 패턴의 플래드Plaid는 플랫포인트(1877-8720).

2 고요한 해변의 모래사장에서 발견한 조개의 곡선과 해양 생물의 형태 에서 영감을 받은 쉘Shell 컬렉션 화병은 이악크래프트(iaaccrafts.com).

3 한국 전통 소재인 한지와 대나무를 재료로 사용해 손으로 제작한 니트 램프 60은 양정모 작가 작품으로 챕터원(070-8881-8006).

4 단계별 섬세한 조절이 가능한 14단 리클라이닝 기능의 휴 모드 좌식 리클라이너 2인 세트는 한샘(store.hanssem.com).

5 블랙 무채색의 반광 옻칠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미세하게 변하며, 색의 풍부함을 보여주는 소반 변죽01은 백종환 디자이너 작품으로 WGNB(02-512-8291). 동양의 좌식 문화와 현대적 식탁 환경을 모두 아우른다.

6 보는 시각에 따라 살과 스툴 중앙의 원형이 나타나며, 공간에 힘과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는 원기둥의 부재 스툴은 반비우드웍스 작품으로 에이치픽스 (hpix.co.kr).

7 식물의 선적인 라인을 강조하기 위해 블랙 도자기 받침대를 사용, 여백의 미를 표현한 나선목 분재 조화 퍼넬포트는 펫플랜트(031-981-1815).

8 어린아이와 반려동물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저상형 소파로, 공간에 따라 구성을 자유자재로 배치할 수 있는 케렌시아Querencia 소파는 알로소(070-4169-2850).

9 1960년대 이후 건축과 인테리어, 아트에서 영감을 받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스노우맨22 V2 플로어 스핀 에디션은 일광전구 제품으로 에잇컬러스(02-6925-6866).
1 가장자리를 넓고 섬세하게 깎은 얇은 원목 상판과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다리를 조합한 사이드 테이블은 483크래프트(483craft.com).

2 새벽녘 안개 서린 산자락의 풍경을 한 폭의 산수화 이미지로 그려 넣은 듯 단색에 점진적 변주를 입힌 아이스 버킷은 하신혁 작가 작품으로 공예정원(kcdfshop.kr).

3 복을 부르는 무늬를 은은하게 새겨 넣은 양단 솜 방석은 호호당(02-704-0430).

4 조선 시대에 쌀 · 잡곡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하던 뒤주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화이트 노스탤지어 시리즈White Nostalgia Series 뒤주 Duiju는 김현희 작가(kimhoney.com) 작품.

5 상판에 일정한 규격의 홈을 파서 동적 쓰임과 활용을 계획한 지그재그Zigzag 소반은 한동엽 작가(handongyeop.com) 작품.

6 전통 주병 형태를 모티프로 천연 모시를 손바느질로 엮어 완성한 섬유 오브제 모시 주병은 챕터원(070-8881-8006).

7 소반을 만드는 양병용 작가의 아틀리에 반김크래프트?031-944-0776?에서는 4월과 10월, 우치다 요시코 선생이 제철 식재료로 빚은 정갈한 음식을 담아낸 소박하고 특별한 식사 ‘반김도시락’을 운영한다.

8 거창 유기의 술잔에 허명욱 작가의 옻칠을 더해 감각적 분위기를 자아내는 옻칠 유기 술잔은 허명욱 작가 작품으로 프린트베이커리(printbakery.com).

9 현대 생활에 맞춰 재해석한 ‘숨 쉬는 장’ 인 지장Ji Chang은 디자이너 장응복 작품으로 모노콜렉션(monocollection.com). 단아한 외부와 달리 내부는 화려한 비단과 서화를 발라 감상하는 멋을 더한다.
1 제주도를 상징하는 바람과 바다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보야지Voyage 선형 펜던트는 아고(agolighting.com). 텍스타일 소재의 갓을 통해 빛이 부드럽게 퍼진다.

2 얇은 스테 인리스 스틸 프레임에 원목 선반을 올린 간결한 구성의 스틸 선반장은 스탠다드에이(standard-a.co.kr). 책장이나 소품용 선반, 그릇장 또는 파티션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3 한옥 스타일로 디자인한 좌식 침실. 샐러드보울 스튜디오(salad-bowl.co.kr) 구창민 대표는 아파트에 한옥의 유기적 구조를 도입해 멋스러우면서도 사용자의 생활 방식에 꼭어울리는 공간을 완성했다.

4 자식들이 잠들 즈음 어머님이 호롱불을 끄는 이미지를 형상화해 덮개 형태로 제작한 전통 창살 무드등은 윤용한 작가 작품으로 공예정원 (kcdfshop.kr).

5 조선 시대 여인들의 생활공간과 가구를 재해석, 반투명 소재로 제작해 내부와 외부, 여성과 남성의 경계를 허문다는 의미를 담은 애프터 이미지 시리즈After image Series의 농Nong No.4는 김현희 작가(kimhoney.com) 작품.

6 E0 등급의 마린나무를 짜맞춤 기법으로 제작한 올리다Olida 베드 테이블은 도잠(dozamm.com).

7 제 32다호 경상북도 무형문화유산 이수자 김길산 작가가 가야산의 흙으로 빚은 백자 달항아리에 비 온 뒤의 숲과 흙 내음을 표현한 그린 리브즈Green Leaves 향을 담은 달항아리 백자 향초는 디스틸(070-4234-5678).

8 액운을 막고 행운을 불러온다고 전해지는 명태를 위트 있게 해석한 럭키Lucky 페르시안 오너먼트는 세이투셰(saytouche.kr).

9 침대 또는 바닥 생활 시 가드 역할을 해주는 프리미엄 리넨 원기둥 쿠션 커버와 투톤으로 고급스럽게 제작한 요 커버는 콤마씨(comma-c.com).
1 종이를 입체적으로 접어서 제작, 주름 사이로 음영이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오리가미Origami 조명등은 소동호 작가(sodongho.com) 작품.

2 미니멀한 디자인과 포근한 착석감, 실용적인 사이드 수납 포켓을 갖춰 1인 가구부터 좌식 공간, 아담한 서재에 두루 잘 어울리는 휴 회전형 좌식 리클라이너 스마트 패브릭은 한샘(store.hanssem.com).

3 전통적으로 복을 상징하던 소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포천 프로젝트의 일환인 민화 족자 호작도. 오이뮤(oimu-seoul.com) 제품으로 족자 4종을 업데이트한 버전으로 재출시할 예정이다.

4 벼루의 부드러운 곡선과 검은 먹물에서 영감을 받은 제스모나이트 벼루 인센스 홀더는 랩크리트와 협업한 제품으로 글로썸(glosome.kr).

5 심플하고 모던한 구조와 여유로운 너비감이 돋보이는 컬럼Column 벤치는 플로티카(plotica.kr). 취향을 담은 오브제를 수납하기에도 그만이다.

6 미니멀한 금속에 옻칠을 해서 만든 다도를 위한 조명은 작가 그룹 OD(Oriental Design)에 속한 김지호 디자이너 작업으로 ODCD(ocdc.or.kr).

7 공간과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모듈형 나왕 수납장 로우레스트 쉘브는 식스티세컨즈(60s.co.kr). 나왕 소재의 자연스러운 나뭇결이 편안하고 차분한 분위기의 공간을 연출한다.

8 고가구의 멋과 화려한 전통 장식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에이션트 피처 시리즈Ancient Future Series 책장은 김현희 작가(kimhoney.com) 작품. 모던한 공간에서 가구 자체로 오브제 역할을 한다.

9 작지만 커다란 존재감으로 서재를 고풍스럽게 연출해줄 애기호랑가시나무와 작은 그림 분은 오이뮤. 식물이 식재된 상태로 배송한다.


   <행복> 9월호를 통해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E-매거진 보러가기 

글 이새미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25년 9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