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레노베이션 스토리 아파트 안으로 들어온 한옥
건축가와 두 번의 인연이 이어져 탄생한 집, 선연재는 부부가 바쁜 일상에서 한 걸음 벗어나 심신의 안정을 찾는 도심 속 별장이자 마음의 안식처다.

거실의 툇마루와 사비석 테이블 등 곳곳에서 한국적 미감이 돋보이는 집 풍경. 이들을 비롯해 찻물을 버리는 용도로 제작한 수도, 우수관이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목재 기둥은 모두 김동수 소장이 공간에 맞춰 직접 디자인했다.
한옥에서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듯 석재로 마감한 단 위에 툇마루와 소파를 얹었다. 부부는 이곳에서 차를 마시고 담소를 나누는 시간을 손꼽아 기다린다.

같은 한강을 내려다보아도 어떤 집은 화려하고 근사한 전망으로 느껴지고, 또 어떤 집은 수묵화처럼 고즈넉한 풍경으로 다가온다. 광나루에 자리한 박창선·허명희 부부의 집은 후자에 가깝다. 외식업에 오래 종사해온 부부는 번잡하고 부산스러운 일터에서 벗어나 온전히 쉬는 집을 늘 꿈꿔왔다. 각자 마음속에만 간직하고 있던 꿈이 이 집을 보자 와르르 쏟아져 나왔다. “처음에는 투자할 목적이었는데, 뷰를 보고 첫눈에 반했어요. 조용한 동네 풍경에 강물만 잔잔히 흐르는데, 마치 멈춰 있는 것 같은 그 순간이 너무 아름다웠습니다. 그 자리에서 아내도 저도 ‘그냥 우리가 살아야겠다’고 결심했죠.”

집을 구입하기로 마음먹고 설계를 맡길 건축가를 떠올리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박창선 씨가 독립해 지금의 가게를 열 때 인테리어 사무소 니드21의 직원으로 프로젝트를 담당했고, 지금은 스튜디오 태도라는 사무실을 열고 마찬가지로 독립의 길을 걷고 있는 김동수 소장이었다. “제 이름을 걸고 하는 첫 가게라 특히 열심히 하던 때였어요. 1백 일 정도 공사를 했는데, 내내 현장에 있더라고요. 집이 없는 사람인 줄 알았어.(웃음) 그때 같이 일한 기억이 좋았어요. 자기 일처럼 몰입하고 하나하나 세심하게 검토해주어서 우리 두 사람 모두 만족하는 결과물을 완성했죠. 그래서 이 집을 고칠 때도 첫 번째로 떠올렸습니다.”


북 카페 느낌이 나기를 바란 허명희 씨의 의견을 반영해 거실에 현관 벽을 겸하는 책장을 설치했다. 주방은 거실과 이어지며 전체 공간감을 좌우하기에 레이아웃을 특히 고민한 곳. 상부장을 없애고 아일랜드 식탁을 배치해 한층 여유로운 느낌을 자아낸다.
그렇게 이 곳은 스튜디오 태도의 첫 프로젝트가 됐다. 좋은 인연을 만났고, 앞으로 더 귀하게 만들어간다는 의미인 선연재善緣齋로 집의 이름을 지은 이유다. 27년 세월을 품은 구옥 아파트는 3개월의 인테리어를 거쳐 한옥을 닮은 모습으로 완연히 탈바꿈했다. “가게 근처 오피스텔에서도 지내기 때문에 이곳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지는 않지만, 올 때마다 온전히 쉬어 가는 장소가 되기를 바랐어요. 1년에 한두 번 무의도에 있는 가옥을 방문하는데, 비 오는 날 그 집 툇마루에서 한가롭게 누워서 보낸 시간이 정말 좋았어요. 다음에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까를 고민할 때 이런 집이 있으면 좋겠다고 그때 많이 이야기했죠.” 김동수 소장은 박창선 씨의 이야기를 들으며 ‘와유’와 ‘심온’이라는 단어를 떠올렸다. “와유는 누워서 명승고적을 그린 그림을 보며 그곳을 유람한다는 의미이고, 심온은 깊은 곳으로부터 얻는 평온을 뜻합니다. 두 단어를 콘셉트로, 군더더기 없는 공간에서 오롯이 쉬어 가는 모습을 상상했어요. 두 분의 추억을 담아 툇마루가 있는 집을 만들었습니다.”


욕실은 레노베이션을 거치며 가장 많이 변모한 공간이다. 가운데 벽을 철거하고 욕실 두 개를 합쳐 널찍하게 바꿨고, 스탠딩 욕조를 들였다. 박창선 씨는 이곳에서 보내는 시간을 오롯이 휴식하는 가장 소중한 순간으로 꼽는다.

30평대 2bay 평면은 아파트 중에서도 인테리어하기 까다로운 공간으로 꼽힌다. 창에 면한 면적이 넓지 않아 답답하게 느껴지기 쉽고,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에 가까운 비율이라 동선을 분리하기도, 어느 한쪽으로 집중시키기도 애매하기 때문. 부부는 스튜디오처럼 하나로 트인 공간을 원했지만, 아파트는 벽식 구조라 제한이 있었다. 김동수 소장은 꼭 필요한 벽만 남기고 대부분 철거하고, 문턱을 없애고 바닥재를 최대한 통일해 전체적으로 한 공간처럼 느껴지도록 했다. “오래된 아파트의 또 한 가지 단점은 타이트한 신체 치수입니다. 특히 욕실은 굉장히 밀도가 높아서 심리적으로 여유가 없어 보였어요. 가운데 벽을 없애고 욕실 두 개를 합쳤습니다. 그 결과 스탠딩 욕조를 놓고도 여유 있는 공간을 완성했어요. 현관도 신발장 하나 겨우 놓을 수 있을 정도로 크기가 협소했고, 벽이 따로 없어서 집에 들어오면 거실이 한눈에 보였어요. 거실 면적을 조금 포기하더라도 현관의 폭을 넓혀 깊이감을 줬고, 책장을 겸하는 벽과 중문을 설치해 공간을 분리했습니다.”


현관은 폭을 키우고 따뜻한 화이트 톤으로 도장해 넓어 보이는 효과를 냈다. 중문을 설치함으로써 현관을 지나 외부와 함께 보이는 거실의 조망이 보다 극적으로 다가오고, 중문의 목재 마감은 거실의 마루로 분위기를 이어간다.

공간을 합치고 비우는 대신 가구는 거실과 작은방 테이블부터 책장, 하나로 이어지는 안방 수납장과 침대까지 모두 건축가가 직접 디자인했다. 덕분에 마감재와 최대한 재료를 통일하면서 선 하나까지 세세하게 맞출 수 있었고, 한 몸처럼 공간에 녹아들어 집이 하나의 분위기로 수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중에서도 핵심은 거실의 툇마루다. 다도를 즐기는 부부의 취미를 반영해 들인 테이블과 찻물을 버리는 수도는 모두 사비석으로 제작했다. 물을 사용하거나 손이 자주 닿는 상부는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고, 나머지는 질감이 느껴지는 혼드honed나 잔다듬으로 마감해 같은 석재이지만 변화를 줬다.


로먼 셰이드의 리넨, 툇마루의 목재, 잭슨카멜레온 소파의 패브릭, 석재가 비슷한 색감으로 어우러지며 한옥의 무드를 더한다. 특히 툇마루와 소파 아래까지 석재로 마감한 것이 백미. 한옥의 정취가 제대로 느껴지는 데다 아래에 설치한 조명이 빛을 내며 질감을 아름답게 드러낸다.

“오피스텔은 일터의 연장선처럼 느껴지는데, 이곳은 완전히 분리되어 다른 세상에 온 듯한 기분이 들어요. 일주일에 3~4일 정도 쉬고 싶을 때 와서 아무 생각 없이 지냅니다. 여유를 가질 공간이 생기니 제 시간을 보내는 데에도 집중하게 되더라고요. 보통 별장은 도시 외곽에 짓는데, 저희는 도심에 그런 장소가 있다고나 할까요. 30년 동안 부부로 살면서 가장 합이 잘 맞은 순간이 이 집이에요. 이곳에 대해서만큼은 이견이 없어요.” 우연이 인연이 되어 다시 한번 함께 완성한 이곳은 부부에게 피정의 집이 되었다. 부부의 생활에 대한 건축가의 깊은 이해와 공감, 빠듯한 공간에서도 고군분투해 결국 선 하나까지 맞춰내는 집념, 건축가의 작업에 대한 부부의 존중이 만나 꽃피운 소중한 결과물이다.



스튜디오 태도(@studiotedo_official) 김동수 소장
은 10년 넘게 실무를 해오며 다양한 주거·상업 공간을 디자인했고, 올해 자신의 사무실을 개소하며 새로운 발돋움을 시작했다. 사람과 공간을 표피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사용자와 긴밀하게 소통해 이야기를 이끌어내며, 그들의 내면을 공간에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하여 오랫동안 그들과 더불어 성장하는 공간을 구현한다.

글 정경화 기자 | 사진 이우경 기자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23년 12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