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이 휴식만 취하는 게 아니라 창조적 작업도 함께 이뤄질 수 있는 공간이라는 믿음을 실현한 김학중ㆍ하초희 씨 부부의 구기동 주택. 1층은 사무실과 회의실, 주방으로 구성했다.
요즘 레노베이션을 했다고 하면 낡은 것을 고쳐 쓴다는 의미가 무색할 정도로 뼈대든 디테일이든 과거의 것을 완전히 지워버린 사례가 대부분이다. 건물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최소한의 구조체만 남기고 싹 털어버리는 것, 이는 물론 비용 대비 효과적일 수는 있으나 옛것과 새것 사이의 대비와 긴장에서 오는 그 집만의 고유한 가치를 저버리는 일이기도 하다. 오래된 주택을 레노베이션하기로 마음먹었다면 기존 건물을 둘러싼 대지, 건축 과정, 그 속에 배어 있는 삶의 궤적까지 재해석해 공간 속에 담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건축가 김학중 씨. “동네 버스 정류장 앞에 야트막한 계단이 있었어요. 단순히 시멘트 계단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 고향 사람들 대부분의 추억이 담긴 장소였죠.
액세서리 디자이너로 활동하다 홈 패션 브랜드 ‘트랄랄라’를 운영하는 하초희 씨와 ‘안팍건축’을 운영하는 김학중 씨.
야간 자율 학습을 마친 고등학생들에게는 친구들과 고민을 나누던 벤치였고, 연인들의 약속 장소이자, 오랜만에 마주친 아주머니들이 해가 지는 줄도 모르고 자식 얘기며 농사 얘기를 풀어놓던 곳이니까요. 그런데 몇 년 전, 유학을 마치고 오랜만에 고향을 찾았더니 그 계단이 한껏 모양 낸 대리석 계단으로 바뀌어 있더라고요. 그때 느낀 상실감이란…. 오래된 건축물이 품고 있는 ‘시간’이라는 값어치를 무시하고 단순히 노후된 무엇으로 판단하는 것이 도시를 점점 차갑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어요.” 그의 말처럼, 우리가 기억하는 것은 단순히 지나간 시간 자체가 아니라 시간이 담긴 공간일지도 모른다.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낡은 것을 흔적조차 없애버리는 일에 너무나 익숙한 요즘, 그저 건물을 되살리는 것뿐 아니라 그 안에 살아 숨 쉬던 생활도 함께 되살리고 싶었다는 이 젊은 건축가의 도전이 궁금해졌다.
1 주거 공간의 침실은 양쪽 여닫이문을 설치해 개성을 더했다. 2 단열과 사생활 보호를 위해 통창 일부를 합판으로 막아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기본에 충실한 레노베이션 젊은 부부가 새로 짓는 편리함 대신 노후된 집을 개조하는 수고스러운 과정을 선택한 이유가 궁금했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께 ‘터무니 있게 살아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었어요. 그래서인지 아파트나 빌라보다 ‘터’에도 자취나 흔적이 있는 주택에서 땅을 밟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 부부는 우선 서울 서촌과 부암동, 구기동과 신영동 일대의 오래된 주택을 찾기 시작했다. 도심지 노후 주택은 대부분 건축물의 가치를 제외한 땅의 가치만으로 거래되고 간혹 작은 땅도 찾을 수 있어 부부가 가진 한정된 예산으로 구입할 수 있고, 건축가인 김학중 씨가 직접 레노베이션하면 합리적 예산으로 주택의 가치를 얼마든지 새롭게 창출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했다. 게다가 오래된 주택의 레노베이션은 새로 집을 짓는 것과는 또 다른 묘미가 있지 않은가.
인테리어를 하면서 가장 즐거운 순간 중 하나가 철거하거나 벽면을 뜯어냈을 때 뜻밖의 공간을 만나는 것이라 하니 부부가 30년 된 2층 주택을 만난 것은 여러모로 운명적 일이었다. “2층으로 오르는 계단의 구조, 2층 테라스, 자그마한 다락방까지 재미있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들이 눈에 띄었어요. 오래된 집이기 때문에 구조는 물론 골조도 꼼꼼히 체크했죠. 우선 벽체가 두꺼웠고, 벽돌 역시 그 시대에 꽤 고가의 자재를 사용해 아직까지 내구성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튼튼했어요. 기둥이 없고 벽체로 올라가는 조적식 구조라 천장에 보가 있을 거라는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1층 천장을 철거하고 보니 보가 세 개나 나오더라고요.” 김학중 씨는 구조 보강 역할을 하던 보를 제거하지 않고 디자인적 요소로 활용했다.
현관과 주방 바닥재는 컬러풀한 빈티지 타일을 사용. 타일은 키앤호에서 구입했다.
무엇보다 38평의 작은 땅에 지은 주택인데도 전혀 좁아 보이지 않고 여백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사무실과 거실이 있는 1층은 계단 골조와 천장의 보를 드러내 노출 느낌을 내면서 나무와 철판 소재를 섞어 내추럴한 감각을 살렸고, 침실과 작은 거실이 있는 2층은 화이트를 바탕으로 낮은 원목 가구를 배치해 아늑하게 완성했다. 또한 오래된 집은 지나친 증축으로 채광성이 좋지 않거나 환기가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아 창문의 재배치가 필수다. 그는 2층의 통창을 부분 창으로 막아 단열을 보완했고, 1층 거실의 부분 창을 통창으로 개방해 채광성을 높였다. 1층 사무실 벽면, 주방 맞은편에 작은 창을 낸 것도 채광 확보를 위한 아이디어. “무엇보다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하는 데 비용을 집중하는 게 좋아요. 살면서 얼마든지 교체할 수 있는 인테리어 마감재에 투자하는 것은 최대한 줄이는 식으로 예산을 조율했지요. 단열과 환기 등 벽과 바닥, 소재와 컬러 모두 기본에 충실하면 누구나 공간을 쉽게 꾸밀 수 있어요. 콘셉트가 분명하게 잡히면 많은 가구도, 많은 컬러도 필요 없고요.”
1 독립해 첫 작업으로 자신의 집을 레노베이션한 김학중 씨. 아내 하초희 씨는 직접 디자인한 쿠션, 러그로 공간에 따스함을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 2 1층 주방에서 안팍건축 오피스를 바라본 모습.
집과 일터를 하나로 두 가지 기능이나 역할을 하나로 합치는 하이브리드가 각광받는 시대. 사람들이 단독주택에 열광하는 이유 중에는 주거 공간과 사무 공간(상업 공간)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점도 있을 것이다. 아주 넓지 않아도 쓸모 있게 나누고 몇 가지 아이디어를 더하면 주거는 물론 개성 있는 사무 공간까지 얻을 수 있으니 일석이조 아닌가.
“건축가와 패브릭 디자이너, 둘 다 ‘디자인’이 직업이고, 프리랜서이다 보니 집과 작업실을 굳이 분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죠. 집에서 작업실로 이동하는 시간까지 아껴 밀도 있게 일하면서 가사와 육아는 적절히 분담할 수도 있으니까요.” 일과 생활이 함께 또 따로 하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유연한 공간 배치에 중점을 두었다는 김학중 씨. 1층은 공용 공간, 2층은 개인 공간으로 역할을 나눈 뒤 1층 공용 공간은 다시 사무 공간과 거실ㆍ다이닝룸으로 분리했다. 사무실 현관과 주거 공간의 현관을 따로 배치하고, 사무실과 거실 사이에는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해 오픈 공간과 닫힌 공간을 완성.
1 계단은 목공 마감을 없애고 골조를 그대로 디자인 요소로 활용했다. 난간 일부를 없애 개방감이 느껴진다. 2 다용도실을 게스트 화장실로 변형한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폭이 작은 문, 미니 욕조 등 작은 집에 활용하기 좋은 예다.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조리대와 조명등, 그리고 스틸의 차가운 느낌을 상쇄하는 고재 나무 테이블과 선반, 노출 천장이 조화를 이루며 다채로운 매력을 풍긴다. 틈새 공간을 활용한 아이디어도 돋보인다. 패브릭 디자이너로 의상과 리빙 제품을 디자인해 판매하는 쇼핑몰을 운영하는 아내 하초희 씨의 업무 공간은 1층 계단 아래. 2층에서 다락방으로 올라가는 계단 아래는 딸 지이의 놀이 공간이다. 지이가 좀 더 자라면 3층 다락방은 지이 방으로 꾸밀 예정이다. 김학중 씨는 그간 쓸모없이 방치되던 2층 테라스와 마당에 덱을 깐 뒤 아웃도어 가구를 두었다.
3 김학중 씨는 세월이 더께로 쌓인 콘크리트 보, 나무, 철제 등 가장 자연스러운 물성 자체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했다. 4 주방 뒤편으로 조리 시설을 분리해 오피스로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다. 5 3층 다락방에서 2층을 내려다본 모습. 6 2층은 방 하나를 없애고 미니 거실을 만들었다.
캠핑 열풍이 부는 요즘, 덱에 텐트를 치고 인도어 캠핑을 즐길 계획이란다. “설계 사무소, 시공사를 거쳐 독립한 후 제 첫 작업이 바로 이 집이에요. 무엇보다 고재 나무, 구로 철판 등 좋아하는 재료를 마음껏 쓸 수 있어 좋았지요. 한국의 선에서 모티프를 얻어 가구도 제작했고요. 주방의 동선을 짤 때, 욕실 위치와 가구나 마감재 소재를 결정할 때는 아내의 의견을 존중했어요. 디자이너인 저보다 더 섬세하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해 많이 도움이 되었죠.” 김학중 씨는 주거 공간과 오피스가 함께 있다 보니 일을 하는 데 집중도가 떨어질 때도 있다고 말한다.
7 계단 아래 딸 지이의 놀이 공간. 더 자라면 창고로 쓰는 3층 다락방을 지이 방으로 꾸며줄 계획이다. 8 2층 테라스는 천연 방부목을 깔고, 난간은 부식되어도 자연스러운 동판으로 마감했다.
하지만 여유 시간을 조절하는 게 자유롭고, 또 가사와 육아를 병행하는 아내의 고충도 알게 되었다고. 그와 가족에게 이 집은 배려와 유연함이 깃든 주거 공간 그 이상이다. 아이와 온종일 씨름하다 잠만 자는 집이거나 도면만 바라보며 씨름해야 하는 답답한 사무실이 아닌 곳, 가족은 물론 이곳을 오가는 사람들과의 잔잔한 에피소드가 차곡차곡 쌓여가는 곳, 딴생각할 여지가 많아 즐거운 곳…. 이것이 사는 재미고 행복한 일상을 모색할 수 있는 에너지의 원천이 아닐까.
평범한 빨간 벽돌 집을 레노베이션해 주거와 오피스로 사용. 야트막한 담장 라인을 2층 테라스까지 박스 형태로 확장한 파사드가 인상적이다.
디자인과 시공 안팍건축(02-3417-8000)
- 김학중・하초희 부부의 낡은 주택 개조기 새로 지을 것인가, 고쳐 지을 것인가
-
요즘 도심 속 노후 주택을 레노베이션해서 여유를 즐기며 사는 이가 많다. 구기동의 30년 된 주택을 개조해 집과 사무실로 사용하는 김학중・하초희 부부. 예상치 못한 구조에서 발견한 디자인 요소에 ‘시간’이라는 가치가 더해져 주거 그 이상, 개성 있는 공간이 탄생했다.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4년 2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