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친환경 농법으로 억대소득 올린 농사꾼 12인 [지혜로운 부농들] 참외_박재원
<행복>은 그간 참으로 많은 식품 장인과 유기농 명인, 참된 농부를 소개해왔습니다. 그중에는 농촌을 지키는 꼴찌 주자로서 자신의 임무를 꿋꿋하고 정직하게 다하는 작지만 강한 강소농도 꽤 있지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에 따른 수입 개방으로 농촌이 위기에 처해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깨인 정신과 노력으로 성공한 부농富農들은 농촌의 희망이었습니다. 농업이 탄탄해야 나라가 튼실한 것은 물론 건강한 식문화도 가능한 법입니다. 우리 몸에 이로운 먹을거리는 이 땅에서 난 것들이니까요. 이에 <행복> 창간 26주년을 맞아 농촌진흥청과 함께 친환경 유기농법으로 연간 1억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부농들을 만나보았습니다. 그들은 자리 잡는 데만 족히 10년은 걸린다는 친환경 농법을 이뤄낸 뚝심 있는 농사꾼이요, 재능 아닌 열정으로 가득한 프로들이었습니다. 현대는 지식인의 시대가 아니라 학습인의 시대라고 합니다. 자신이 걸어가는 길에서 헤매지 않고 좀 더 빠르게 나아가기 위해 인내하며 끊임없이 공부하는 이들이 자연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지혜와 정성으로 키워낸 것들이니, 귀하게 작품처럼 즐기시기 바랍니다.

 

농장 규모 가야산공동체 회원 1인당 약 9917~1만 3223㎡(3천~4천 평)
주요 작물 참외
연간 소득 비닐하우스 1동(약 826㎡, 2백50평)당 8백만~9백만 원


참외 박재원
껍질까지 건강한 참외

성주가야산공동체 대표 박재원 씨가 무농약 농사를 짓기 시작한 것은 2004년. 무농약 농사에 관심 있던 농부 14명이 의기투합해 성주군무농약연합회를 만들면서부터였다. 당시만 해도 관련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곳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 3년 정도 큰 어려움을 겪었다. 그렇게 시행착오를 겪으며 무농약 농사를 지은 것이 3~4년. 그제야 본격 유기재배를 시작할 수 있었다. 한번 농약을 치면 땅에 길게는 15년까지도 농약이 남아 있다고 하니, 말은 쉽지만 ‘자연스러운’ 환경을 만드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성주가야산공동체의 참외는 까다롭기로 유명한 한살림에 80~90% 납품한다. 천적을 이용해 해충을 없애고, 생선을 발효시켜 만든 미생물 액비를 공급하며, 항생제가 들어있는 공장형 축분도 사용하지 않는다. 수정도 인공수정이 아닌 벌이 하며, 크고 좋은 놈만 고르는 선별 작업도 하지않는다. 물론 퇴비나 약제도 농업진흥청에서 유기 인증을 받은 것만 사용한다. 내 가족이 먹을 수 있는 으뜸 음식을 만든다는 생각으로 농사짓는다는 박 대표의 말에서 강한 자부심이 느껴진다. ‘유기재배만이 살길’이라 외치는 그와 공동체 식구들은 오늘도 함께 ‘모든 사람이 사는 길’을 고민하고 있다.

 

글 전은정 | 사진 민희기
디자인하우스 (행복이가득한집 2013년 9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